[include(틀:해군교육사령부)] [목차] == 개요 == [[해군교육사령부]] 예하 실습전대(實習戰隊)는 항해·장비실습을 담당하는 부대로, 장교의 함정초군반과 [[부사관]]의 초·중·고급반 등의 정규교육과 보직전 교육 등의 보수교육을 지원한다. 1995년 '실습대'로 탄생했고, 1996년에 [[전대(군대)|전대]]급으로 개편되었다. 필요 시 함정을 차출하는 [[해군사관학교]]의 순항훈련과는 달리, 실습전대에는 다른 부대 예속 함정[* 예를 들면 52전대 [[원산급|원산함]]]들이 장기적으로 배속[* 타 부대에 일시적으로 소속되는 것]돼 실습함 역할을 한다. 일본 [[해상자위대]]의 [[연습함대]]와 비슷하다. 지휘관은 해군 함정[[병과]] [[대령]]이다. == 연혁 == * 1994년 12월 06일: '선교육후보직' 시행지침 시달(해군본부) * 1995년 01월 01일: 실습함 교육사 배속(울산함 등 9척) * 1995년 01월 23일: 실습대 창설 * 1996년 11월 01일: 「실습대 → 실습전대」 개편, 실습전대 창설 * 2005년 01월 01일: 실습함 추가 배속(원산함) * 2012년 01월 01일: 실습함 배속 변경(금화함 → 강진함) * 2012년 02월 01일: 실습함 추가 배속(신성함) * 2012년 03월 16일: 초계함 배비 조정에 따른 함정교체(신성함 → 순천함)[[https://www.edunavy.mil.kr:10003/themes/basic/sub1/6_2_5_3.jsp|#]] == 교육 == 주요 교육으로 장교 함정병과 초등군사반에 대한 해상전술 숙달 훈련, 부사관 초급반에 대한 함정적응 실습, 학군사관후보생 함정실습 등을 주관하여 이론과 실무의 숙달을 지원한다. == 실습함 == 실습전대에는 현역 함정들이 일정기간 배속되는데, MLS(원산함), FF(울산함), PCC(순천함), MHC(강진함)에서 [[남포급 기뢰부설함]] 남포함, [[울산급 호위함]] 마산함, [[강경급]] 기뢰탐색함 고령함으로 교체됐고, 마산함 퇴역 후 LST(고준봉함)가 2020년 1월 배속됐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200108/1/BBSMSTR_000000010024/view.do|#]] FF, PCC는 퇴역을 앞둔 함정들이 주로 배치된다. 이전에는 3함대 전력을 차출하여 배속시켰으나, 3함대 작전공백을 우려 퇴역 예정함정으로 조정된 듯하다. 울산급 네입쉽 울산함과 그 다음 서울함이 퇴역할 때까지 차례로 고정배치되었고 동해급 초계함의 막내였던 안양함(2011년 9월 퇴역)도 이곳에서 말년을 보냈다. 15년도에 서울함과 함께 있다 퇴역한 김천함, 그리고 16년 말 퇴역한 충주함도 실습전대에 배치되어 활용되었다. == 기타 == 수병의 경우 [[진해]] 지역 부대 소속 미승함병과 혹은 승함병과라도 육상 1차 발령지에서 근무해 함정 근무 경험이 없는 이들이 함정실습[* 해군은 수병들 중 함정 승조 경험이 없는 이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주일 정도([[PCC]]가 한 번 초계 나갔다 오는 기간) 출항함정에 승조시켜 실습을 시킨다. 보통 전역 몇 개월 전에 행하며, 근무지와 가장 가까운 해상 부대 함정에 승함시킨다.]을 위해 탑승한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해군]] * [[해군교육사령부]] [[분류:대한민국 해군]][[분류:해군교육사령부]][[분류: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