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판 명칭''' || '''Experimental Frenzy''' ||<|6>[[파일:Experimental Frenzy.png]]|| || '''한글판 명칭''' || '''실험적인 광분'''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부여마법 || || '''마나비용''' ||<#f00> {{{#fff {3}{R} }}} || ||||당신은 서고 맨 위 카드를 언제든지 볼 수 있다.[br][br]당신은 서고 맨 위 카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br][br]당신은 손에서 카드를 플레이할 수 없다.[br][br]{3}{R}: 실험적인 광분을 파괴한다.|| |||| ''커피가 발명의 이상한 이모라는 것이 밝혀졌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유명한 격언을 '''극한까지''' 비튼 문구.]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라브니카의 길드]] || 레어 || 서고 맨 위의 카드를 플레이할 수 있는 청색 부여마법 [[미래를 보는 눈]]을 적색으로 바꾸고 저렴하게 약화시킨 버전. 자신의 핸드를 포기하고 서고 위의 카드를 핸드처럼 쓰는 카드로 사실상 상시 자신의 손에 카드 한장이 남아있는 효과를 가진다. 처음에는 내 손의 카드를 플레이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사실상 뭐가 나올지 모르는 서고 맨 위의 카드에만 모든 운명을 거는 '''[[운빨좆망겜|운빨좆망카드]]'''로 여겨졌으나, 프로 투어에서 이 카드의 세 가지 특징이 가능성을 보이면서 평가가 뒤집어졌다. 첫째는 '''마나가 남아있는 한 서고 위의 대지를 2장 볼 때까지 내 서고를 통째로 손인 것처럼 쓸 수 있다는 점.''' 레드 어그로덱의 한계가 손의 카드를 모조리 소모한 뒤의 후반전에 오는데, 이 카드가 떨어지면 마나가 바닥나거나 플레이 불가능한 두번째 대지가 나올때까지 서고를 긁을 수 있다. 때문에 중후반전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둘째는 '''[[고삐 풀린 증기생명체]]의 존재.''' 카드를 아무리 많이 쓸 수 있어도 마나가 없으면 할 수 있는 게 적은데, 이 고삐 풀린 증기생명체는 적색 주문 3개 쓸때마다 {R}{R}{R}을 마일리지로 주는 점에서 시너지가 굉장하다. 마일리지 채울때마다 마나 뽑고 적색 주문 쓰고 이 적색 주문은 또 증기 +1/+1카운터 마일리지가 쌓이는 루프를 만든다. 셋째는 '''스스로 파괴 가능하다는 점.''' 이 효과가 없었으면 안썼을거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중요한 능력으로 취급된다. 핸드에 중요 카드가 모였을때 바로 파괴하고 내 핸드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 결과적으로 초반에 각광받았던 [[위험 인자]] 같은 드로우스펠을 제치고 적색 기반 덱에서 제일 많이 쓰는 카드가 되었다. RDW는 3-4장이 들어가고 RW어그로 역시 사이드로 2-3장까지 넣는 중.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등장한 비슷한 종류의 드로우 엔진인 [[화염의 장인, 찬드라]]와는 상호호환 관계인데, 찬드라는 매 턴 1장씩만 추가로 써주게 해주고 플레인즈워커라 파괴될 수단이 더 많지만 대신 피해를 받으면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 효과가 있고, 광분은 그런 효과는 없지만 부여마법이라 조금 더 안전하며 탑덱만 잘 받쳐주면 몇 장 씩이고 쓸 수 있다. 오히려 어느 한 쪽을 쓰기보다는 둘을 조금씩 섞어주면 상승효과가 있는데, 만약 광분과 찬드라가 동시에 필드에 있다면 광분이 의외로 발목을 잡는 상황인 '덱 맨 위에 대지가 2장 이상 나올 때'를 찬드라의 +1 효과로 보정해줄 수 있다. [[잔해 가라앉히기]]를 메타해서 도태시킨 카드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카드 덕에 잔해 상관없이 레드가 적극적으로 공격을 할 수 있게 됐고[* 일단 서고에 남은 대지를 줄여줘서 앞서 언급된 '덱 맨 위에 대지가 2장 이상 나올 때'의 경우가 줄어들고, 전장에 깔린 대지로 질이 좋아진 서고의 주문들을 마구 날리는 식.] 잔해를 맞은 다음 턴에 이걸 깔아버려서 버틸 수 있는 컨트롤덱은 그리 많지 않다. 모던에서는 [[Mox Opal]], [[Memnite]]와 같은 저발비 마법물체를 손 사정 안 보고 늘어놓다가 [[Arcbound Ravager]]로 다 씹어먹은 뒤 [[Inkmoth Nexus]]로 피니시를 내는 프렌지 [[어피니티 덱|어피니티]]라는 아키타입이 등장했다. 마나는 [[봄나뭇잎 북]]으로 충당한다. == 달빛장막 섭정 == || '''영어판 명칭''' || '''Moonveil Regent''' ||<|6>[[파일:달빛장막 섭정_mid.pn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달빛장막 섭정''' || || '''마나비용''' ||<#ff0000><:>{{{#ffffff {2}{R}{R}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생물 — 용 || ||||비행 당신이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당신은 당신의 손을 버릴 수 있다. 그렇게 한다면, 그 주문의 각 색마다 카드 한 장을 뽑는다. 달빛장막 섭정이 죽을 때, 원하는 목표를 정한다. 달빛장막 섭정은 그 목표에게 피해 X점을 입힌다. X는 당신이 조종하는 지속물들이 가지고 있는 색의 총 수이다. || || '''공격력/방어력''' || 4/4 || |||| '''[[매직 더 개더링/블럭|수록세트]]''' || '''희귀도''' || ||||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 || 미식레어 || 한밤의 사냥에 등장한 유사한 능력을 가진 생물. 실제로 능력 자체가 많이 다르고 그에 따른 응용 양상도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할 경우 주문을 발동하면서 손의 카드를 전부 버리면(= 손에서 다른 주문을 발동할 여지를 없애면) 서고 맨 위 카드를 뽑아 손에 넣는(= 그리고 마나 여유가 있으면 바로 발동할 수 있는) 루틴이 되어 실험적인 광분과 거의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다른 기능이 없는 부여마법인 광분과는 달리 본체가 4마나 4/4 비행에 죽을 때 애니타겟 딜까지 있는 생물이라는 점에서 광분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의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미식레어. 보너스로 다색 지향이라면 뽑는 카드의 수도 죽을 때 피해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다색 덱을 굴린다면 더더욱 이득을 볼 수 있다. 버리는 능력이 선택이라 손에 이미 좋은 카드가 있다면 그대로 보존할 수도 있으며, 둘 이상 깔리면 오히려 운용에 방해만 되는 광분과 달리 여럿이 나와있으면 원하는 카드가 나올 때까지 버리고 뽑는 루틴을 그 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는 점도 좋다. 다만 섭정으로 땅을 뽑아버리면 광분과는 달리 엔진이 돌아가지 않아 그대로 망해버리기 때문에, 스탠다드 환경에서는 [[매직 더 개더링/카드 일람/젠디카르 라이징/선택적 양면 카드|주문 대지]]와 섞어 대지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RG 베이스의 [[뻔뻔한 무법자, 마그다]]를 사용하는 미드레인지 덱에서 3~4장까지 채용된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