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심기리편.png]] [목차] == 개요 == 心氣理篇. [[조선]] 초기의 문신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태조(조선)|태조]] 3년, 1394년에 저술한 [[숭유억불]]론 유학서. 현재 1464년([[세조(조선)|세조]] 10년)에 복원한 책이 전해지고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정문형 본이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조선의 대표 개국공신 중 한 명인 삼봉 정도전이 1394년에 유가(儒家)의 입장에서 불가(佛家)와 도가(道家)를 비판한 글이다. 책의 서문은 [[권근]]이 썼다. 훗날 [[1차 왕자의 난]] 당시 정도전이 사망하면서 그의 작품들 또한 모두 사라졌으며, 현재 전하는 것은 1464년에 조선 [[세조(조선)|세조]]의 명으로 증손 문형(文炯)이 과거 소멸된 정도전의 문집과 작품들을 복원할 때 처음으로 안동부(安東府) 간행본에 실린 버전이다. 심난기(心難氣), 기난심(氣難心), 이유심기(理諭心氣)의 3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조의 국책인 배불숭유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 사료로 인정받는다. 1300년대 한국의 대표적 혁명가였던 정도전의 정치 철학과 조선 초기 유가론에 대해 자세히 연구해 볼 수 있어 그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세조 때 처음 복원된 후 성종, 정조 때 중간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0901&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심기리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57793&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삼봉선생심기리삼편]] [[분류:조선의 도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정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