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심어스}}}'''[br]SimEart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imearth-box.jpg|width=100%]]}}} || || '''개발''' ||[[Maxis(게임 스튜디오)|[[파일:Maxis(게임 스튜디오) 로고.svg|height=24]]]] || || '''유통''' ||[[Maxis(게임 스튜디오)|[[파일:Maxis(게임 스튜디오) 로고.svg|height=24]]]]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아미가, PC엔진/듀오, 매킨토시, X68000, 세가CD, SFC, DOS || || '''장르''' ||[[시뮬레이션 게임]] || || '''출시''' ||199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0년에 [[윌 라이트]]가 [[맥시스]]에서 만든 시뮬레이션 컴퓨터 게임. == 상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imEarth_IBM_PC.png]]|| ||<:>위 사진은 [[IBM PC]]버전이다|| [[가이아 이론]]에 입각하여 만든 것이 특징이며, [[심시티]]가 대박나니까 좀 더 스케일 크게 지구단위로 스케일을 넓혀 개발한 게임을 플레이어는 지구 전체를 관리해야 한다. 지형, 생태계, 문명단계까지 조절할 수 있는 궁극적 게임으로 발매되자 마자 엄청난 칭송을 들었지만 심시티보다는 인기가 없었다. 또한 이 게임의 특징은 모든 종들은 전부 지성을 가질 확률이 있다는 것이다. 박테리아, 아메바를 제외하고는 어떤 동물이든 지성을 가질 확률이 똑같다. 거기에 이스터 에그격으로 곤충이 많아지면 육식성 식물(식충식물)이 탄생[* 생물계 메뉴에서 '변이'수치를 높이면 촉진 가능]하고 그것들도 지성을 가질 수 있다. 거기에 고 기술력 도시들이 핵전쟁을 하다가 망하면 로봇이 탄생[* 나노기술 도시에 핵전쟁 이벤트를 유발해도 가능]할 수 있고 그 녀석들도 지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 두 종은 삼엽충이나 고래처럼 더 이상의 진화가 불가능하다. 다만 로봇의 경우 문명이 생기면 바로 기술 수준이 공업 문명으로 점프한다. 거기에 잘 보면 이 게임에도 [[모노리스]]가 있다. 같은 제작사의 [[스포어(게임)|스포어]]를 떠올릴 수 있지만 좀 많이 다르다. 차라리 [[WorldBox - God Simulator|월드박스]] 쪽이 정신적 계승작에 가깝다. * 진화가 불가능한 종 : 삼엽충, 고래, 식충식물, 로봇 == 조절 가능 수치 설명 == 일부 시나리오 모드에서는 문명계를 제외한 모든 수치의 조절이 금지되어 있다. ↑는 높게 조절한 경우, ↓는 낮게 조절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 지질계(Geosphere) || || 명칭 || 영어 || 설명 || 비고 || ||화산활동||Volcano||화산활동의 정도||↑ : 육지 생물 멸종|| ||풍화||Erosion||비나 바람으로 지형을 깎는 정도||↓ : 고저차 심화|| ||유성충돌||Meteor||유성 충돌의 정도||↑ : 생물 멸종|| ||지각이동||Continental Drift||지각의 이동 정도||마그마 이동의 영향을 받음|| ||내부열||Core Heat||핵에서 나오는 열||↑ : 온실효과[br]↓ : 대동결|| ||핵형성||Core Formation||핵의 크기 조절||↑ : 화산활동 저하[br]↓ : 화산활동 활발 || ||자전축 기울기||Axial Tilt||자전축의 기울기||↑ : 생물 멸종[br]↓ : 계절변화 없어짐|| |||||||| 대기계(Atmosphere) || ||태양열||Solar Impact||태양열이 들어오는 정도||↑ : 온실효과[br]↓ : 대동결|| ||구름 반사율||Cloud Albedo||구름이 태양열을 반사하는 정도||↑ : 대동결||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온실효과의 정도||↑ : 사막화[br]↓ : 대동결|| ||구름||Cloud||구름의 양||구름 반사율을 조절하기도 함|| ||강수||Rainfall||평균 강수량||↑ : 온실효과[br]↓ : 사막화|| ||표면 반사율||Surface Albedo||표면이 태양열을 반사하는 정도||↓ : 온실효과|| ||온도 순환||Thermal Transfer||물의 순환에 따른 온도 순환의 양|| || |||||||| 생물계(Biosphere) || ||내열성||Torelance||열을 견디는 능력|| || ||CO2 흡수||CO2 Absorption||식물로 흡수되는 CO2의 양||↑ : 대동결[br]↓ : 온실효과|| ||번식||Reproduction[* SNES에서는 Reploduction으로 오기]||생물의 번식 능력||↕ : 생태계 파괴|| ||진화||Advnace||생명의 진화 정도|| || ||변이||Mutation||생명의 돌연변이 정도||↑ : 식충식물 탄생|| |||||||| 문명계(Civilization) || ||생물에너지||BioEnergy||나무를 태우거나 육체노동|| || ||태양열/풍력||Sun/Wind||태양열이나 풍력을 이용||풍차, 태양열 집열판 포함|| ||수력/지열||Hydro/Geo||수력이나 지열을 이용||댐, 물레방아, 지열 발전 포함|| ||화력||Fuel||화석연료를 이용||'''환경오염''' 주의|| ||원자력||Nuclear||원자력 에너지||'''방사능 오염''' 주의|| ||도덕||Moral||도덕성이나 법의 확립||↓ : 전쟁 발생|| ||기술||Tech||과학이나 기술의 발전||↑ : 기술 발전|| ||식량||Food||농업 발달 정도||↑ : 인구 증가[br]↓ : 기아 발생|| ||의약||Medic||의학 발달 정도||↓ : 전염병 위험|| ||예술||Art||예술 창작의 정도||↑ : 삶의 질 향상[br]↓ : 전쟁 발생|| == 연대 설명 == 1턴당 시간은 SFC 기준으로, Windows용은 시간의 흐름이 연속적이다. 모노리스로 연대 촉진이 가능하나 성공할 가능성은 적으며, 100억년이 지나면 태양 폭발로 행성이 사라질 수 있으니 조심. 지질연대 : 행성의 탄생부터 연체류 탄생까지의 시간을 일컫는다. 1턴당 750만년 진화연대 : 연체류 탄생부터 석기문명 탄생까지의 시간을 일컫는다. 1턴당 25만년 문명연대 : 석기문명부터 산업문명 탄생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1턴당 10년 기술연대 : 산업문명부터 대이주(Exodus)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1턴당 1년이며, 대이주가 끝나면 다시 진화연대로 돌아간다. == 시나리오 설명 및 공략 == 에너지가 무한으로 주어지는 "체험", 5000오메가를 가지고 시작하는 "쉬움", 2000오메가를 가지고 시작하는 "보통", 2000오메가와 조언 금지 제약이 걸린 "어려움"난이도가 있다. 다만 슈퍼 패미컴 버전은 난이도가 고정되어 있어서 매 시나리오마다 주어진 양의 에너지만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시나리오들은 모두 슈퍼 패미컴 버전 기준이다. L+R+Y를 동시에 누른채 "첫 시나리오" 메뉴를 선택하면 원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할수 있다. * 물의 행성(Aquarium) : 탄생 30억년 후, 진화연대 게임의 첫 시나리오로, 땅이 없어 육지 생물이 자랄 수 없는 환경이다. 이 환경에서 땅을 만들고 문명을 구축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모노리스를 쓰면 매우 쉬우나, 성공률은 낮다. 모노리스 없이 클리어 하고자 한다면 화산 폭발을 일으키거나 지질계를 건드려서 육지를 만들면 된다. * 캄브리아대 지구(Cambrian Earth) : 탄생 39.5억년 후, 진화연대 악 5억 5천만년 전의 지구, 생물을 진화시켜 산업혁명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역시 모노리스 사용 가능 * 오늘날의 지구(Modern-day Earth) : 탄생 45억 1990년 후, 기술연대 서기 1990년의 지구로, 전쟁, 환경오염, 질병의 위험에 도사리고 있다. 기술을 나노테크까지 끌어올린 뒤 대이주를 성공해야 한다. 역시 모노리스 사용 가능. * 화성(Mars) : 200년 제한, 기술연대 건조하고 차가운 화성에서 25000 생물과 1000 인구를 달성해야 한다. 인구가 없기 때문에 모노리스는 사용 불가능. 거기다 이 시나리오부터 지질계와 대기계를 건드릴수 없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CO2와 수증기를 이용해 식물을 성장시키는 것이 주요 공략. * 금성(Venus) : 500년 제한, 기술연대 뜨거운 행성, 금성에서도 25000 생물과 1000 인구를 달성해야 한다. 화성과는 반대로 산소를 이용해 온도를 떨어뜨리는 것이 주요 공략. * 얼음의 별(Ice Planet) : 500년 제한, 기술연대 얼어붙은 행성에서 역시 25000 생물과 1000 인구를 달성해야 한다. 화성과 비슷하게 공략할 것. * 사막의 별(Dune, Desert Planet) : 500년 제한, 기술연대 파충류와 공룡만이 사는 행성에서 25000 생물과 1000 인구를 달성해야 한다. 다른 별들과는 달리 의외로 공략하기 쉬운데, 이 파충류들도 나름대로의 문명이 있기 때문.[* 심어스의 특성상, 문명이 있는 종은 '인구'에 들어간다.] 수증기로 더 이상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것이 주요 포인트. * 지구 - 2XXX년(Earth 2XXX) : 탄생 후 45억 '''[[황시|2222년]]''', 기술연대 서기 2XXX년, ~~[[홍진호]]가 콩 까는 동안~~ 다른 행성을 테라포밍하는 사이에 로봇들이 지구를 점령했다! 이 로봇들을 모두 파괴하는 것이 주된 목적. 25000 생물과 1000 인구를 달성해야 하나, 제한 시간은 사실상 없다.(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100억년이 지나면 태양폭발로 끝나기 때문에 제한시간은 '''54억 9999만 7778년''') == 여담 == 게임중에 맵화면에서 지질계정에 맨 왼쪽의 버튼을 연타하면 가이아가 나온다. [[분류:건설 경영 시뮬레이션]][[분류:심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