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arkKingoftheAbyss-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심연의 명왕'''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深淵, ruby=しんえん)]の[ruby(冥王, ruby=めいおう)]'''|| || 영어판 명칭 ||<-4>'''Dark King of the Abyss'''||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4.] || 흑마족 || 악마족 || 1200 || 800 || ||<-5>명계의 왕. 일찍이 어둠을 전부 지배할 정도의 힘이 있었다고 한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DarkKingoftheAbyss-BE1-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심연의 명왕'''|| || 일어판 명칭 ||<-4>'''[ruby(深淵, ruby=しんえん)]の[ruby(冥王, ruby=めいおう)]'''|| || 영어판 명칭 ||<-4>'''Dark King of the Abyss'''||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악마족]] || 1200 || 800 || ||<-5>명계의 왕. 일찍이 어둠을 전부 지배할 정도의 힘이 있었다고 한다.|| 별로 특이점은 없는 평범한 저레벨 [[일반 몬스터]]. 강대한 힘을 지녔다는 것은 과거 이야기인지 웬만한 리크루트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낮은 일반 몬스터로 나왔다. 악마족 중에서는 일반 몬스터를 포함해도 이 카드를 능가하는 상위 호환들이 다수 포진되어있다. 그래도 레벨 3 이하 / 악마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공격력이 높다.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나 [[레스큐 래빗]]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어 일반 몬스터를 다수 투입하는 형식의 악마족 덱에서는 활약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 외에도 [[고등의식술]] 등으로 묘지로 보내거나 [[다크 네크로피어]] 소환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로우 레벨]] 덱에서는 악마족이라는 이점을 살리기 힘들어 우선도는 낮아진다. 1기에 제조된 이 카드는 STARTER BOX 극장한정 발매판 및 [[V점프]] 1999년 8월호 프레젠트 B 세트 등의 한정 카드로 발매된 적이 있으며, 이들의 시세는 높다. 2기 이후에 나온 것은 일반 부스터 팩에 봉입된 지극히 일반적인 카드라 가치가 극단적으로 떨어진다. 활용도와는 별개로 다른 [[일반 몬스터]]들에 비해서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데, [[코잣키]]나 [[고블린의 돌격 부대]]까지는 아니더라도 다른 카드의 일러스트에 자주 출연하기 때문이다. 특히 [[명계의 마왕 하데스]]와 같이 등장하는데, 심연의 명왕이 단독으로 나오는 카드보다는 둘이 함께 등장하는 일러스트가 오히려 더 많을 정도. 이 카드가 나온 카드들의 일러스트로 미루어 짐작하면, 심연의 명왕은 심연의 지명자 일러스트에서의 삿대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명계의 권력을 쥐고 있는 마왕이었으나[* 하데스에게 강격처분을 당한 후 지명자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명계의 마왕 하데스에게 강격처분을 당해 지위를 빼앗기고, 여기저기서 고생하다가 자살 폭탄 테러를 해 하데스를 제거한다. 그리고 되살아나 더욱 강해진 듯하지만…. 얼마 후에 [[언데드화]]해 [[소생 마왕 하데스|부활한 하데스]]에게 또 당한다. 그야말로 불행하기 짝이 없다. 멀쩡히 명계 잘 다스리고 있었는데 하데스 때문에 나라도 빼앗기고 급기야 자살 테러([[헤이트 버스터]])까지 하는 등 완전히 몰락했다. 부활했는데도 다시 죽는 상황은 두 번 다시 없을 슬픈 광경. 그래도 리즈시절에는 일찍이 어둠을 전부 지배할 정도의 힘이 있었던 모양인데 지금은 측은하기까지 한 불쌍한 명왕님. 그러나 초기 카드에는 능력치에 비해 과장된 설명이 많이 있었으니 이것도 그냥 뻥카라고 볼 수도 있다. [[붉은 눈의 흑룡]]이나 [[블랙 매지션]] 같은 경우처럼... 물론 저들은 그래도 상급은 상급인 데 비해서 이놈은 공격력 1200, 수비력 800에 서포트도 전무하므로 이쪽이 수백 배는 암울하다. 애초에 리즈시절이고 뭐고 간에 저 능력치라면 하데스가 아닌 누가 오더라도 막장 테크를 탔을 것이다. ~~아 옛날이여...~~ 어쩌면 텍스트대로 '''옛날엔''' 정말 강했는데 쫓겨난 후 저런 비참한 스텟이 되었을지도. 그건 그거대로 더 처량하지만. 다음 팩인 강철의 습격자에서는 '[[명계의 수호자]]'라는 [[일반 몬스터]]가 나온다. 허가를 받지 않고 명계에 출입하는 자는 용서치 않고 처단한다는데, 공격력이 1000이고 수비력이 1200으로 일개 경비병 주제에 명계의 왕보다도 능력치 총합이 높다. [[리젝트 리본]]의 일러스트에선 명왕을 부활시키기 위해 하데스의 군세에 맞서 처절한 사투를 벌이는 것으로 보아 명왕의 참된 부하인듯. 그러나 [[강화소생]]/[[리젝트 리본]](명왕 시점의 강화소생)에서 다시 부활한 다음,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에 등장하는 카드인 [[멘탈 드레인]]에서, [[소울 드레인]]의 일러스트에서 하데스가 영혼을 흡수하려 할 때에 '''영혼을 빼앗았다.''' 그리고는 [[스킬 프리즈너|하데스의 반격을 막아내고]], 오히려 [[명왕결계파|하데스를 반격하기까지 한다]]. 이런 카드 일러스트 사이의 연계를 좋아하는 유저들 입장에서는 다음에 명왕이 이걸로 파워 업 한 모습이 등장할지, 아니면 또 털리는 일러스트가 나올지 기대를 해봄직한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그다음엔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한테 [[데몬이 부르는 소리|털리고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무토우 유우기]]가 진입한 퍼즐 던전의 레벨 3의 관문의 수호자로 등장한다.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으로 유우기가 꺼낸 [[질풍의 암흑 기사 가이아]]를 털어버리고 [[속성 장착 마법|어둠의 파신검]]을 장착해 공격력을 올렸지만, 유우기가 융합 소환한 [[유익환상수 키메라]]에게 박살 난다. 플라이벌 텍스트의 초기 국내 수입판에선 '일찍이'가 '일찌기'로 잘못 표기됐었다. 그 때문에 유희왕을 접한 어린 학생들이 '일찍이'를 '일찌기'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 관련 카드 == === [[명계의 마왕 하데스]] === === 일러스트 관련 === * [[강격처분]] * [[심연의 지명자]] * [[심연의 선고자]] * [[헤이트 버스터]] * [[디스트럭트 포션]] * [[강화소생]] * [[리젝트 리본]] * [[멘탈 드레인]] * [[스킬 프리즈너]] * [[데몬이 부르는 소리]] * [[명왕결계파]] [[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