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싸이)] ||<-2><#06dde0> '''{{{+1 {{{#ffffff 싸이6甲 Part 1}}}}}}'''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싸이 6집.jpg|width=100%]]}}} || ||<-2> '''싸이 정규 6집''' || ||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7월 15일]] || || '''기획사''' || [[YG엔터테인먼트]] || || '''유통사''' || [[KT뮤직|[[파일:kt music_Logo.png|height=20]]]] → [[YG PLUS]] || || '''곡 수''' || 6곡 || || '''재생 시간''' || 22:37 || || '''프로듀서''' || [[싸이]], [[유건형]] || || '''타이틀 곡''' || '''[[강남스타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2년]] [[7월 15일]]에 발매된 [[싸이]]의 정규 6집 앨범. 이 음반은 당초 Part 1과 Part 2로 나뉘어 발매될 예정으로 2012년 7월 25일 Part 1이 발매되었지만 Part 2는 발매가 되지 않았는데, 싸이가 [[무한도전]]에서 밝히기를 Part.2를 2012년 11월로 예정했으나 강남스타일이 워낙 대히트를 친데다가 이를 뒤늦게 접한 국가들이 많다보니 홍보를 위해 내지 않았다고 한다. 그 앨범을 위해 만들어 놓은 곡이 바로 [[GENTLEMAN]]. 때문에 Part 2는 영영 [[베이퍼웨어]]가 되었다.[* 다만 Part 2를 위해 만들어 놓았던 곡을 이후의 앨범에 수록했을 가능성은 있다.] YG 엔터테인먼트와 KT 뮤직에 의해 기획, 제작되어 발매되었고, 해외에서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 YGEX에 의해 발매되었다. '''싸이에게 [[월드 스타|진정한 전성기]]를 가져다 준 앨범'''으로, 타이틀 곡 '''강남스타일'''은 2012년에 전세계를 휩쓴 최고의 인기곡이다. 그렇다고 강남스타일만을 위한 앨범은 절대 아닌 것이, [[유희열/토이|토이]]의 곡을 리메이크한 '''뜨거운 안녕'''과 [[박정현]]이 피처링한 '''어땠을까'''를 필두로 한 다른 수록곡도 버릴 곡 하나 없이 손에 꼽는 명곡이며, 상업적으로도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강남스타일 유행이 끝난 뒤의 한국 내에선 오히려 타 수록곡을 더 높게 평가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77학개론 개리 파트는 인터뷰 영상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초기 버전에 썼던 가사가 수정되어서 발매되었다. 너무 수위가 강해서 그런 듯. == 수록곡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재생 시간''' || || '''1''' || 청개구리 (Feat. [[G-DRAGON]]) || [[싸이]], [[G-DRAGON]] || [[싸이]], [[유건형]] ||<|6> [[유건형]] || 3:28 || || '''2''' || [[Thank You(음반)|뜨거운 안녕]] (Feat. [[성시경]])[* 싸이의 파트는 5집의 미치도록을 재탕했다.] || [[유희열]], [[싸이]] || [[유희열]], 김태훈 || 3:29 || || '''3''' || '''[[강남스타일]]'''^^{{{#darkviolet '''타이틀'''}}}^^ || [[싸이]] ||<|4> [[싸이]], [[유건형]] || 3:39 || || '''4''' || [[19금|[[파일:19금 아이콘.svg|width=17]]]] 77학개론 (Feat. [[리쌍]], [[김진표(가수)|김진표]]) || [[싸이]], [[김진표(가수)|김진표]], [[개리(래퍼)|개리]] || 4:39 || || '''5''' || [[어땠을까]] (Feat. [[박정현]]) ||<|2> [[싸이]] || 4:04 || || '''6''' || NEVER SAY GOODBYE (Feat. [[윤도현]]) || 3:22 || === 청개구리 (Feat. G-DRAGON) === || '''{{{+1 청개구리 (Feat. G-DRAG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jIrL7ivEyk)]}}}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Black 싸이}}} {{{#Red G-Dragon}}}^^''' 나 아주 어렸을 때부터 남 얘기가 안 들려 어려서 그랬을까 하지만 지금도 잘 안 들려 살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 너 그러다 뭐 될래 살면서 가장 많이 하고픈 말 내가 알아서 할게 yeah 그래 나 청개구리 그 누가 제아무리 뭐라 해도 나는 나야 우물 안의 개구리라도 나 행복하니 그래 그게 바로 나야 그래 그게 바로 나야 청개구리 ha 청개구리 ha 맞다고 생각해도 누가 해라 하면 안 들어 아니라고 생각해도 누가 맞다 하면 막 우겨 살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 너 걱정돼서 그래 살면서 가장 많이 하고픈 말 제발 네 걱정이나 해 yeah 그래 나 청개구리 그 누가 제아무리 뭐라 해도 나는 나야 우물 안의 개구리라도 나 행복하니 그래 그게 바로 나야 그래 그게 바로 나야 청개구리 ha {{{#Red (Ah yeah)}}} 청개구리 ha {{{#Red (Ah yeah)}}} {{{#Red Let's go 개굴개굴개구리가 고래고래고래 소리친다 청개굴개구리 두 마리가 노래 불러 숨 막힌다}}} {{{#Red 꼭 하지 말라는 짓 넌 어쩜 그리 골라 하는지 무관심에 상심이 컸던 아이 날 아는지 넌 몰라 네 생각 따윈 whatever 난 내 맘대로 해 난 돌아이 남 시선 따윈 누가 뭐라던 내 방식대로 ay 두고 봐 끝에 가 누가 잘 되나 봐 부끄러워 부러워할 걸 날 좋아할 걸}}} 그래 나 청개구리 {{{#Red (청개구리)}}} 그 누가 제아무리 {{{#Red (제아무리)}}} 뭐라 해도 나는 나야 {{{#Red (그래 나는 나야)}}} 우물 안의 개구리라도 나 행복하니 그래 그게 바로 나야 {{{#Red (그게 바로 나야)}}} 그래 그게 바로 나야 청개구리 {{{#Red 틀린 게 아니야 다른 것뿐이야 문제라면 문제아}}} }}}}}} || === 뜨거운 안녕 (Feat. 성시경) === || '''{{{+1 뜨거운 안녕 (Feat. 성시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D3MbtUBuTM)]}}}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White 싸이}}} {{{#Brown 성시경}}}^^''' [[싸이|P S Y]] Collaboration [[유희열|T O Y]] Introducing [[성시경|성발라]] 불타올랐던 남과 여 나 없이 괜찮니 넌 [* 이 가사는 미치도록이라는 노래에서 재탕된다.] 죽기 아니면 까무러칠 줄 알았어 미칠 줄 알았어 지칠 줄 알았어 그리워 너 미워 근사했고 감사했고 자기야 자기야 밤새 했고 이젠 오래돼버린 한 조각조각이 나도 너무 나서 하도 오래된 일이라서 나도 사는 게 바빠서 그만 맘에도 없는 말 그만 숨어서 한숨만 그만 우리 함께 했던 날 나만 미쳐 가는 걸까 {{{#Brown 소중했던 내 사람아 이젠 안녕}}} (그래 그래 이젠 안녕) {{{#Brown 찬란하게 반짝이던 눈동자여}}} (그대 그대 눈동자여) {{{#Brown 사랑했던 날들이여 이젠 안녕}}} (그래 그래 이젠 안녕) {{{#Brown 달빛 아래 타오르던 붉은 입술 떠난다면 보내드리리 뜨겁게 뜨겁게 안녕}}} Yo 같이 베었던 베개에 배어있는 너의 흔적을 버려 미련을 버려 남는 건 사진이야 다 지워버려 미팅 소개팅으로 재부팅해버려 너의 모든 걸 삭제 맘대로 안돼 가슴과 머리가 따로 논다는 소리 Baby I am sorry 아침부터 밤까지 하나부터 열까지 다 같이 했기 때문에 너무 힘들어 입술을 깨무네 술김에 억지로 잠을 재우네 술도 수면제도 너를 못 이겨 또 밤을 새우네 왜 헤어졌냐 자존심 때문에 {{{#Brown 소중했던 내 사람아 이젠 안녕}}} (그래 그래 이젠 안녕) {{{#Brown 찬란하게 반짝이던 눈동자여}}} (그대 그대 눈동자여) {{{#Brown 사랑했던 날들이여 이젠 안녕}}} (그래 그래 이젠 안녕) {{{#Brown 달빛 아래 타오르던 붉은 입술}}}}}} (그대 그대 붉은 입술) 그리워 어지러워 서러워 기분 더러워 One more time 그리워 어지러워 서러워 기분 더러워 하나뿐인 목숨을 바치고 같은 날 생을 마치고 나 같은 놈에게 이 모든 건 사치고 다치고 닥치고 아디오스 {{{#Brown 소중했던 내 사람아 이젠 안녕}}} (그래 그래 이젠 안녕) {{{#Brown 찬란하게 반짝이던 눈동자여}}} (그대 그대 눈동자여) {{{#Brown 사랑했던 날들이여 이젠 안녕}}} (그래 그래 이젠 안녕) {{{#Brown 달빛 아래 타오르던 붉은 입술 떠난다면 보내드리리 뜨겁게 뜨겁게 안녕}}} {{{#Brown 잘자요}}} }}} || === '''[[강남스타일]]''' === || '''{{{+1 강남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AgDYTuZWOw)]}}}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오빤 강남스타일 강남스타일 낮에는 따사로운 인간적인 여자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아는 품격 있는 여자 밤이 오면 심장이 뜨거워지는 여자 그런 반전 있는 여자 나는 사나이 낮에는 너만큼 따사로운 그런 사나이 커피 식기도 전에 원샷 때리는 사나이 밤이 오면 심장이 터져버리는 사나이 그런 사나이 아름다워 사랑스러워 그래 너 hey 그래 바로 너 hey 아름다워 사랑스러워 그래 너 hey 그래 바로 너 hey 지금부터 갈 데까지 가볼까 오빤 강남스타일 강남스타일 오-오-오-오 오빤 강남스타일 강남스타일 오-오-오-오 오빤 강남스타일 Eh Sexy Lady 오-오-오-오 오빤 강남스타일 Eh Sexy Lady 오-오-오-오 정숙해 보이지만 놀 땐 노는 여자 이때다 싶으면 묶었던 머리 푸는 여자 가렸지만 웬만한 노출보다 야한 여자 그런 감각적인 여자 나는 사나이 점잖아 보이지만 놀 땐 노는 사나이 때가 되면 완전 미쳐버리는 사나이 근육보다 사상이 울퉁불퉁한 사나이 그런 사나이 아름다워 사랑스러워 그래 너 hey 그래 바로 너 hey 아름다워 사랑스러워 그래 너 hey 그래 바로 너 hey 지금부터 갈 데까지 가볼까 오빤 강남스타일 강남스타일 오-오-오-오 오빤 강남스타일 강남스타일 오-오-오-오 오빤 강남스타일 Eh Sexy Lady 오-오-오-오 오빤 강남스타일 Eh Sexy Lady 오-오-오-오 뛰는 놈 그 위에 나는 놈 Baby Baby 나는 뭘 좀 아는 놈 뛰는 놈 그 위에 나는 놈 Baby Baby 나는 뭘 좀 아는 놈 You know what I'm saying 오빤 강남스타일 Eh Sexy Lady 오빤 강남스타일 Eh Sexy Lady 오빤 강남스타일 }}}}}} || ==== [[오빤 딱 내 스타일]] ==== 앞서 언급된 [[강남스타일]]의 스핀오프 격 노래다. === 77학개론 (Feat. 리쌍, 김진표) === || '''{{{+1 77학개론 (Feat. 리쌍, 김진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PGwH0Li2dc)]}}}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Black 싸이}}} {{{#804000 길}}} {{{#0000FF 김진표}}} {{{#FF0000 개리}}}^^''' 1977년 12월 31일 [[싸이|박싸이]] 1977년 12월 24일 [[길(가수)|길성준]][* 참고로 길의 실제 생일은 1978년 2월 15일이다. 옆의 날짜는 프로필상 생일.] 1977년 8월 13일 [[김진표]] 1978년 2월 24일 [[강개리]][* 리쌍의 두명은 1978년생이지만, 빠른년생이라 77년생들과도 친구하는 사이이고, 학교도 77년생들이랑 같이 나왔다.] 나이는 어려 보이지 않으려는 노력 오히려 영락없는 고삐리 원하는 건 대삐리 언니와의 하룻밤의 사랑을 찾아 방랑자 맥주에 노가리 야리와 따가리 포카리에 소주 타면 뻑가리 분위기 타면 비디오방 분위기 오방 비디오는 못 봐 후루룩 짭짭하다 영화 끝나 무질서한 낙서 젊음을 막 써 이쁜이 손끝만 닿아도 그땐 막서 딱딱하게 말하지 마 네가 나를 딱딱하게 만들었잖아[* 이 가사는 [[AsuRa BalBalTa|리쌍 7집]]에 수록되었던 "TV를 껐네"에 먼저 사용되었었다.] 첫 담배는 아찔해 첫 키스는 달콤해 첫 섹스는 강렬해 얼떨결에 시작했던 설레었던 것들 이제 익숙한 것들 {{{#804000 Do you Remember Do you Remember 그땐 그저 그렇게 모든 게 설레었었네 Do you Remember Do you Remember 이젠 그저 모든 게 다 익숙해졌네 Oh No}}} {{{#0000FF 흘러가는 시간 속에}}} {{{#804000 (속에)}}} {{{#0000FF 나의 모습 찾을 수가 없어}}} {{{#804000 (없어)}}}[* [[현진영]]의 흐린기억속의 그대의 가사내용중 랩파트로 유명한 구절이다.] {{{#0000FF 나를 돌아봐줘 그대여 나를 돌아봐}}} {{{#0000FF 아직 우린 젊기에}}}[* [[서태지와 아이들]]의 [[서태지와 아이들 4집|4집]] 수록곡인 [[Come Back Home|컴백홈]]의 가사내용중 일부이다. 다만 컴백홈의 '''아직 우린 젊기에'''는 '''가출 청소년들에게 서태지와 아이들'''이 '''그대들은 살아온 날들보다 앞으로 더 살날이 많으니, 지금이라도 빨리 돌이켜서 가정으로 돌아가라는 의미'''로 쓰였으나, 이 노래의 '''아직 우린 젊기에'''는 '''오빠 아직 쟁쟁하다, 살아있다. 나 아직 죽지않았다''' 라는 의미이다.] {{{#0000FF 이쁜 여자만 보면 모두 내 깔이지 너 쟤랑 잤어? 당근 얄짤이지 입만 살아서는 반코 한코 경험은 졸 많고 가리지도 않고 하지만 사실은 새빨간 다 구라 현실은 세운상가서 사온 빨간 마후라 거친 화면에도 우린 탁 탁 탁 그리고 한 가지 더 힙합합합 똥 싼 바지 통 큰 바지 골반까지 우린 무리 지어 길거린 다 내 차지 걷는 폼도 절룩이며 리듬을 타고 문나이트 뻰찌먹고 앉아 야리를 까도 내가 틱탁 하면 Get on stop 내가 라리다리 하면 We like to party 오에오 하면 오에오에오}}} {{{#804000 Do you Remember Do you Remember 그땐 그저 그렇게 모든 게 설레었었네 Do you Remember Do you Remember 이젠 그저 모든 게 다 익숙해졌네 Oh No}}} {{{#FF0000 흘러가는 시간 속에}}} {{{#804000 (속에)}}} {{{#FF0000 나의 모습 찾을 수가 없어}}} {{{#804000 (없어)}}} {{{#FF0000 나를 돌아봐줘 그대여 나를 돌아봐 아직 우린 젊기에}}} {{{#FF0000 말 그대로 어느 날 갑자기 나와 뜬 [[서태지와 아이들|{{{#FF0000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FF0000 10대들의 맘을 잡아 끈 음악과 춤}}}]] 학교가 끝나면 한 손엔 더블테크 들고 놀이터에서 춤을 추는 게 하루의 끝 '''좀 있는 놈'''들은 케빈 클라인 아님 게스 '''없는 놈'''들은 삥 뜯거나 아님 거덜이 말 안 들으면 *나게 팼어 그때는 겁만 주면 뭐든지 다 됐어 디스코 바지 앞이 뾰족한 알라딘 신발을 신고 놀러 갔지 일일 찻집 눈 맞으면 다른 동네 깔치와 깔식 야리 한 까치 돌려 피며 하는 올림픽 친구들과 얘기하다 보면 다 서로 동서 그냥 웃어 비 오는 밤에 함께했던 한 소녀와의 첫 키스 그처럼 그리움이 되어버린 모든 것들}}} {{{#804000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그때 그 시절}}} {{{#804000 Do you Remember Do you Remember 그땐 그저 그렇게 모든 게 설레었었네 Do you Remember Do you Remember 이젠 그저 모든 게 다 익숙해졌네 Oh No}}} 흘러가는 시간 속에 (속에) 나의 모습 찾을 수가 없어 (없어) 나를 돌아봐줘 그대여 나를 돌아봐 아직 우린 젊기에 }}}}}} || ==== 논란 ==== 이 곡에서 '[[빨간 마후라 사건]]'을 언급하며 논란이 되었다. 대중들 반응은 "대학생 헌팅하는 고등학생, 김진표는 불법 성관계 비디오를 보고, 개리는 소위 일진"이라는 의견도 있었고, "피해자 입장에서 생각하면, 일진 가해 행동을 추억이라면서 곱씹기가 가능하냐"라며 비판 및 비난 여론이 일었다. 사실 그 당시는 선생들이 교무실에서 소위 "오양 비디오"를 구해다가 볼 정도로 야동에 대해 지금처럼 죽일 놈 살릴 놈 취급하진 않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 문단도 저걸 "1997년 집단 성착취 영상 거래 사건"이라 적어놓으니 심각해 보이는 효과가 있지, 그 당시는 빨간마후라 사건이라는 게 전말도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고 가출청소년들이 자기들끼리 찍은 섹스비디오일 줄 알았기도 했다. (현재도 중장년층 상당수는 그렇게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물며 이 앨범이 발표된 시기는 2012년이다. === [[어땠을까]] (Feat. 박정현) === || '''{{{+1 어땠을까 (Feat. 박정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T267zwmFBw)]}}}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내가 그때 널 (내가 그때 널) 잡았더라면 (잡았더라면) 너와 나 지금보다 행복했을까 마지막에 널 (마지막에 널) 안아줬다면 어땠을까 어땠을까 나의 옛사랑 옛사람 가끔 난 너의 안부를 속으로 묻는다 그리고는 혼자 씩 웃는다 희미해진 그때의 기억을 빈 잔에 붓는다 잔이 차고 넘친다 기억을 마신다 그 기억은 쓰지만 맛있다 그 시절 우리의 도수는 거의 웬만한 독주보다 높았어 보고 또 봐도 보고팠어 사랑을 해도 해도 서로에게 고팠어 목말랐어 참 우리 좋았었는데 헤어질 일이 없었는데 왜 그랬을까 그땐 사랑이 뭔지 몰라서 사랑이 사랑인 줄 몰랐어 혼자서 그려본다 헤어지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내가 그때 널) 어땠을까 (잡았더라면) 어땠을까 (너와 나 지금보다 행복했을까) 어땠을까 (마지막에 널) 어땠을까 (안아줬다면) 어땠을까 (너와 나 지금까지 함께 했을까) 둘이 같이 꼴딱 밤새 맞이한 아침 홀딱 잠 깨 창문을 닫지 우리는 마치 창밖의 참새처럼 잠들기 싫어하는 애처럼 초등학생처럼 아무도 없는데 아무도 모르게 아무도 못 듣게 귓속에 말을 해 말을 해 그 시절 우리의 온도는 거의 저 밑에 적도 보다 높았어 성났어 감기도 아닌 것이 열났어 온몸의 어디든 귀를 갖다 대면은 맥박 소리가 귓가에 그날의 너의 소리가 왜 그랬을까 그땐 사랑이 뭔지 몰라서 사랑이 사랑인 줄 몰랐어 혼자서 그려본다 헤어지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내가 그때 널) 어땠을까 (잡았더라면) 어땠을까 (너와 나 지금보다 행복했을까) 어땠을까 (마지막에 널) 어땠을까 (안아줬다면) 어땠을까 (너와 나 지금까지 함께 했을까) 눈앞에서 살진 않지만 눈 감으면 살고 있다 다른 사람 품 안에서 같은 추억하면서 (어땠을까) 내 곁에 있진 않지만 내 몸이 기억하고 있다 다른 사람 품 안에서 같은 추억하면서 (어땠을까) 왜 그랬을까 그땐 사랑이 뭔지 몰라서 사랑이 사랑인 줄 몰랐어 혼자서 그려본다 헤어지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내가 그때 널) 어땠을까 (잡았더라면) 어땠을까 (너와 나 지금보다 행복했을까) 어땠을까 (마지막에 널) 어땠을까 (안아줬다면) 어땠을까 (너와 나 지금까지 함께 했을까) }}}}}} || === NEVER SAY GOODBYE (Feat. 윤도현) === || '''{{{+1 NEVER SAY GOODBYE (Feat. 윤도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IjC-wdc1RY)]}}}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만남은 언제나 이별로 끝이나 사랑하지 말걸 그랬나 사람은 언젠가 그렇게 끝이나 태어나지 말걸 그랬나 세상이 나쁘고 삶이 아프고 그래서 우는척하다 소용없어 웃는다 NEVER SAY GOODBYE 영원한 건 없기에 영원한 이별도 없는 거야 NEVER SAY GOODBYE 다시 만날 걸 알기에 웃으며 떠나는 거야 박수 칠 때 떠나고 아름다운 이별하고 살다 보면 살아진다 걱정 붙들어 매라고 기억을 기억하고 추억을 추억하고 죽을 만큼 울다가도 결국 눈물이 마른다고 희극 비극도 결국 끝이 있는 연극일 뿐 그중에 찰나일 뿐 나의 남은 날 중에 오늘이 가장 젊기에 다시 어딘가로 떠나네 사람이 나쁘고 사랑이 아프고 그래서 죽은척하다 소용없어 일어나 NEVER SAY GOODBYE 영원한 건 없기에 영원한 이별도 없는 거야 NEVER SAY GOODBYE 다시 만날 걸 알기에 웃으며 떠나는 거야 내가 할 수 있는 나의 모든 걸 다했어 그래서 후회 없을까 만남은 언제나 이별로 끝이나 사랑하지 말걸 그랬나 희극 비극도 결국 끝이 있는 연극일 뿐 그중에 찰나일 뿐 나의 남은 날 중에 오늘이 가장 젊기에 다시 어딘가로 떠나네 NEVER SAY GOODBYE 영원한 건 없기에 영원한 이별도 없는 거야 NEVER SAY GOODBYE 다시 만날 걸 알기에 웃으며 떠나는 거야 }}}}}} || [[송은범]]과 [[이용규]]의 [[KIA 타이거즈]] 시절 응원가로 활용된 곡이다. [[분류:싸이/음반]][[분류:한국 힙합 음반]][[분류:2012년 음반]][[분류:YG엔터테인먼트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