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국어]]를 [[한글]]로 쓰면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오타]] 중 하나다. 이 오타가 생기는 원인은 [[두벌식]]으로 '-ㅆ다'를 칠 때 타이핑 순서가 마지막에 꼬여서 '-싿'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둘은 타이핑 순서상 마지막 두 타를 어떻게 치느냐에 따라 '-ㅆ다'가 나오느냐 '-싿'이 나오느냐가 갈린다. '-ㅆ다'는 'ㅆㄷㅏ' 순이지만 '-싿'은 'ㅆㅏㄷ' 순. 즉, ㄷ을 먼저 쳐야 하는데 실수로 ㅏ를 먼저 치면 이 오타가 나게 되는 것이다. == 예시 == 예를 들자면, * 했다 → 해싿 * 됐다 → 돼싿 * 미치겠다 → [[설사|미치게싿]] * 왔다갔다 → 와싿가싿 * 죽겠다 → 죽게싿 * 이었다 → 이어싿 * 힘들겠다 → [[변비|힘들게싿]] 이와 같은 식이다. 원래는 이 예제들과 같이 용언의 어간이 ㅆ 받침으로 끝나거나 '-았-', '-었-', '-겠-' 등 ㅆ 받침으로 끝나는 선어말어미가 붙게 되어 '-ㅆ다'가 성립하는 경우에서만 나오지만, 이 글자가 [[으앙 죽음|왠지 은근히 웃기싿고]] [[안알랴줌|느껴지기 때문인지]] '-ㅆ다'가 아님에도 일부러 '-싿'을 붙이는 싿체도 등장하게 되었다. '-ㅆ다'가 아닌데도 '-싿'으로 바꾸는 경우는 그냥 간단하게 '-다'를 '-싿'으로 바꾸는 식이 된다. 워낙에 잘 나오는 오타라서 그런지 심지어는 뉴스 기사에까지 이 오타가 나오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예를 들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414179|B.A.P, 첫 日투어 4만 팬 열광시켰다]] 기사를 보면 '그룹 [[B.A.P]]가 첫 일본 아레나 투어에서 4만 명의 팬을 열광케 해'''싿'''.'이라고 적혀 있다. 또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261457|드라마 속 재벌 순위는? 1위 '꽃보다 남자' 구준표]] 기사를 보면 '5위는'으로 시작하는 줄이 '자리잡아'''싿''''으로 끝난다. 물론 이것 말고도 검색을 해 보면 '-ㅆ다'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싿'이 들어간 기사를 [[https://m.entertain.naver.com/search?searchType=issue&searchQuery=%EC%8B%BF|많이 볼 수 있을 것이다.]] [[패트와 매트|매트의 덤 앤 더머 캐릭터]]에서는 "싿"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 세벌식의 경우 == 참고로 [[세벌식]]에서는 이 오타가 나올 수가 없다. 자음의 초성과 종성이 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설령 'ㅆㅏㄷ' 순서로 타이핑하더라도 '-싿'이 나오지 않고 '-ㅆㅏㄷ'으로 나오게 된다. [[Linux|리눅스]]의 한글 입력기 같은 경우는 모음을 먼저 입력해도 조합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세벌식에서 'ㅆㅏㄷ' 순서로 타이핑하더라도 그냥 'ㅆㄷㅏ' 순서로 타이핑을 할 때와 마찬가지로 '-ㅆ다'로 나온다. 또한, [[완성형]] [[완성형/한글 목록/KS X 1001|2350자]]에는 없는 글자이기 때문에 완성형만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이 오타를 내도 '싿'이 안 되고 '싸ㄷ'이 되며, 완성형 2350자만 지원하는 한글 폰트에서도 '싿'은 역시 깨지거나 다른 폰트로 치환된다.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에도 '싿'이라는 글자가 들어 있으면 {{{싿}}}[* '싿'의 유니코드 포인트인 C2FF를 [[16진법|16진수]]에서 [[10진법|10진수]]로 변환한 값이 49919이다.]로 바뀌거나 아예 발송이 안 되는 사태가 일어나게 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2&aid=0000134236|관련 기사]]) == 여담 == 어쨌든 워낙에 유명한 오타라 [[백괴사전|백괴낱말사전]]에서도 [[http://uncyclopedia.kr/wiki/%EB%B0%B1%EA%B4%B4%EB%82%B1%EB%A7%90%EC%82%AC%EC%A0%84:%E3%85%85#-.EC.8B.BF|서술하고 있다.]] 여담으로, [[베트남어]] 단어 중에 음가가 한국어로 '싿'에 가까운 단어가 실제로 있다. [[쯔꾸옥응으]] 표기로는 'xắt'으로 표기되는 단어로, '조각으로 자르다'는 의미를 지닌 동사다.[* 이 단어는 [[쯔놈]]이 쓰이던 시절(쯔꾸옥응으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割([[한국 한자음|한국 한자 새김]]으로는 '벨 '''할'''')이라는 한자로 표기됐던 단어다.] 실제 발음은 [[성조(언어)|성조]]가 적용되어 /싿↗/에 가깝게 발음된다. 그러니까 대화를 하다 보면 "그래?↗" 하는 식으로 의문문 끝에서 억양이 올라가는데 딱 그 느낌으로 성조를 주면 된다. ([[http://vndic.naver.com/entry.nhn?sLn=kr&entryId=15580|네이버 베트남어 사전]]) == 관련 문서 == * [[도깨비불 현상]] [[분류: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