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의 썩은얼굴, rd1=썩은얼굴)] [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include(틀:전사(하스스톤))] [목차] == 개요 == ||<-6>
<#8f0000>|| ||<:> '''한글명''' ||<:>썩은얼굴 ||<-4><|8><:>[[파일:썩은얼굴.png|width=200]]|| ||<:> '''영문명''' ||<:> Rotface || ||<:> '''카드 세트''' ||<:>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 '''종족''' ||<:> 언데드 ||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39/576/62898.gif|황금 카드]]''' ||<:> 제작 및 카드팩 || ||<:> '''비용''' ||<:> 8 ||<:> '''공격력''' ||<:> 4 ||<:> '''생명력''' ||<:> 6 || ||<:> '''효과''' ||<-5>이 하수인은 피해를 받고 생존한 후에, 무작위 '''전설''' 하수인을 소환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이름 없는 괴물|아빠! 내 안의 전설이 이렇게 커졌어!]][* 우연의 일치인지 한국판 성우는 [[요한 리베르토]]의 성우다.][br]''(Daddy! I think I made a Legendary!)'' || >소환: [[교수 퓨트리사이드|아빠]]가 너 가지고 새 장난감 만들거다! ''(Daddy make toys out of you!)'' >공격: 코~ 잘 시간이다! ''(Sleepy time!)'' >효과 발동: 응가 해버렸네! ''(I made a stinky!)'' 성우는 [[신용우]]. 소환 시 음악은 [[사론의 구덩이]] 배경음이다. [[https://youtu.be/tvGia_S3xaQ?t=5m46s|5분 46초부터]]. == 상세 == 전사의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전설 하수인 카드. [[리치왕의 분노]] 공격대 던전 [[얼음왕관 성채]]의 2구역 네임드 [[썩은얼굴]]이다. 한 방에 죽어버리면 능력이 발동하지 않는지라[* 독성은 예외로, 능력이 한 번 발동하고 독성이 발동하여 하수인이 죽는다. [[험상궂은 손님]]과 마찬가지.--독성 하수인의 공격력이 6 이상이면 한 방에 죽는다.--] 적 입장에서는 공격력 6 이상의 카드로 한방에 처치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낸 턴에 최대한 이득을 뽑아내야 하지만 비용이 8코스트로 상당하기에 남은 2코스트로 이 하수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소용돌이|소용돌이]]나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내면의 분노|내면의 분노]]같은 저코스트 주문 혹은,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죽음의 이빨|죽음의 이빨]]이나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7년#피의 칼날|피의 칼날]]처럼 죽음의 메아리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방법을 채용해야 한다. 마침 전사의 [[스컬지군주 가로쉬|죽음의 기사]]의 영능이 2코스트 소용돌이로 같이 채용하면 썩은얼굴을 낸 턴에 즉시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함정 전설이 많이 늘었기 때문에 한두 번 효과를 터트린다고 해도 코스트 값을 제대로 못할 리스크를 안고 가야만 한다.[* 시연영상에서는 처음엔 [[밀림의 왕 무클라]]가 나왔지만, 두번째에는 [[내트 페이글]], 세번째에는 [[교수 퓨트리사이드(하스스톤)|교수 퓨트리사이드]]가 나왔다.] 즉, 사제의 [[고해사제 페일트리스]]와 유사한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인데, 9코스트 이후에는 영능으로 무조건 1회 발동을 보장받을 수 있는 페일트리스와는 달리, 썩은얼굴은 패를 소모해야만 발동할 수 있는 대신 한 턴에 여러 번 발동시킬 수 있는 포텐을 갖추고 있어 좀 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형의 카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야생전에서는 조금 더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하는데 야생전에서는 죽음의 이빨,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4년#날뛰는 톱날|날뛰는 톱날]] 등 피해를 줄 수 있는 카드의 선택지의 폭이 더욱 넓어지며 비슷한 매커니즘을 가진 손놈 덱에서 후반 뒷심으로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라자쿠스사제 페일트리스는 한턴에 딜을 팍팍 넣으면서 전설을 쫙 깔아버리겠지-- 일각에서는 무작위 전설을 뽑아내려고 소돌이나 내분같은 걸 쓰느니 차라리 [[그롬마쉬 헬스크림(하스스톤)|그롬]]의 격노를 켜서 상대 명치에 불작 혹은 그 이상[* 내면의 분노, 잔인한 감독관과의 연계.]의 피해를 즉발로 꽂아넣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거 같다는 의견도 있다. 얼왕기 기간 동안에서는 마상시합에 등장했던 당시 사제의 페일트리스보다 더 낮은 채용율을 보이며 사실상 예능덱 하수인으로 쓰였는데 8코스트 타이밍에는 이런정도 하수인은 한 방에 죽이는 카드가 많고 9코나 10코에 연계까지 하는것은 전설 하수인의 스탯 평균이 대마상이나 탐연보다 더 낮아진 지금은 리스크가 너무 크며 격노를 이용한 템포덱같은게 메타덱이 되질 못하면서 같이 묻혀버렸다. 하지만 추후 [[코볼트와 지하 미궁]] 확장팩이 추가되면서 소집 전사의 덱에 넣기 시작되었고, [[마녀숲]]을 지나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소집 전사의 덱에는 썩은얼굴이 사용되었다. == 기타 == 이 카드는 '아서스의 블리자드 방문' 영상에서 공개됐는데, --겜알못--아서스는 이 카드를 보고 "OP네. 게임을 하긴 하는거냐." 라면서 제작진을 디스했다. 한편, 전사 직업 카드로 [[죽음의 인도자 사울팽]] 대신 이런 놈이 나왔다면서 불평하는 사람도 존재한다.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눈보라|눈보라]] 등에 당하면 나오는 전설과 함께 언다. [[임프(하스스톤)#임프 두목|임프 두목]]과 같은 원리인 듯.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물의 정령|물의 정령]]처럼 피해를 줘야 어는 게 아니라 피해를 2 받고 얼리는 거라 2뎀을 맞고 죽지만 않으면 전설이 나오고 언다. [[얼음왕관(하스스톤)/2지구]]에서 [[교수 퓨트리사이드]] 3페이즈 돌입 시 소환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분류:하스스톤/카드/언데드]][[분류:스컬지(워크래프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