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만 육군사령)]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b00, #007b00 20%, #007b00 80%, #007b00)" '''{{{#FFF 대만 제7대 육군총사령}}}[br]{{{#FFF {{{+1 孫立人}}}[br]쑨리런 | Sun Li-j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쑨리런 장군.jpg|width=100%]]}}} || ||<|2> '''출생''' ||[[1900년]] [[12월 8일]] || ||[[청나라]] [[안후이성]] 루저우부 || ||<|2> '''사망''' ||[[1990년]] [[11월 19일]] (향년 89세) || ||[[중화민국]] [[타이완성]] [[타이중시]] || || '''학력''' ||[[칭화대학교|칭화학교]] {{{-2 (졸업)}}}[br][[퍼듀 대학교|퍼듀대학교]] {{{-2 (토목공학 / 학사)}}}[br][[버지니아 군사대학]] {{{-2 (자유전공 / 문학사)}}} || || '''경력''' ||[[신해혁명|혁명실천연구원]] 교육위원회 부주임 || || '''최종 당적''' ||[include(틀:중국 국민당)] || ||<-2> '''군사 경력''' || || '''임관''' ||[[버지니아 군사대학]] || ||<|2> '''복무''' ||중화민국 육군 || ||[[1928년]] ~ [[1955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2급상장]] {{{-2 (중화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대통령경호실장|총통부 참군장]] || || '''주요 보직''' ||난징중앙당무학교 학생대대장[br]헌경교도총대 제2대대장[br]육해공군총사령부 시위총대 부총대장[* 현재 [[대한민국 국군]]과 굳이 비교하자면, 육해공군총사령부를 지원하며 지키는 부대로 [[계룡대 근무지원단]]에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br]재무부 세무경찰총단 특과병단장[br]재무부 세무경찰총단 제4보병단장[br]재무부 세무경찰총단 제2지대장[br]재무부 [[관세청|염무총국 집사총대장]][br]재무부 [[국세청|염무총국 세경총대장]][br]제38사단장[br]만달레이위수사령관[br]제1군단 부군단장[br][[창춘시|창춘경비사령관]][br]둥베이보안사령부 부사령관[br][[육군참모차장|육군부사령]][br][[육군참모총장|육군총사령]][br]타이완방위사령관 || [목차] [clearfix]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n_Wang_and_Sun.jpg|width=100%]] || || 코끼리 [[린왕]]과 함께[* 린왕이라는 코끼리는 코끼리의 평균 수명인 6~70세를 넘어 무려 85년을 산 장수 코끼리였다] || == 개요 == [[대만]]의 군인. == 생애 == 안후이성 사람으로 1923년 베이징의 칭화 대학교 공학계를 졸업한 뒤 미국 퍼듀 대학교에 유학하여 1925년 토목공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뒤 미국 버지니아 군사학교에서 수학하여 1927년에 졸업하였으며 미국 유학 경험의 군 장교로 미국의 지원에 의한 중화민국 군사 현대화에 공헌한 인물이다. 1928년부터 난징 중앙정치학교에서 재직하였고 육군 전투부대 장교로 근무하였다. 1937년 일본군과의 상하이 전투에서 중상을 입기도 했으나 회복 후 이듬해 육군 장교에 복귀하였고 현지 각 전선에서 전투를 지휘하였다. 1945년에 육군 소장, 1948년에 육군 중장에 진급하였다.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에서 중화민국 육군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 2차대전 당시 중국군은 공격력도 낮았고 장비도 열약하고 지휘체계도 부족했다고 한다.[* 오죽하면 당시 국민혁명군엔 3명 중 1명만 총을 보급받았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국민혁명군은 머릿수만 많은 허접한 군대였다.] 당시 미국 지원으로 장비와 훈련 등을 갖춘 쑨리런 장군 산하의 X군(X-Force)만이 1944년 버마 전투에서 좋은 성과를 남겼다고 한다.[* 장 로페츠 et al.제 2차 세계대전 인포그래픽.레드리버.2021.pp.74] 1950년에는 [[대만군]] 부 총사령관에 임명되었다. == 여담 == * 극동의 롬멜이란 별명이 있다. * [[Hearts of Iron IV]]에서 장군으로 나오는데 롬멜과 같이 훌륭한 전략가 특성을 달았다. 초기 스탯이 무려 6/4/3/2로 시작부터 만렙의 절반을 찍은 중화제일장군으로 1/1/1/1에 보수파[* 1차 세계대전 마인드에서 벗어나지 못해 성장이 느린 장군]까지 붙은 열강 프랑스 장교들과 비교하면 초월적인 수치다. 중국산 롬멜이라면서 4/4/2/3의 원조 롬멜보다 성능이 좋다. * 위 게임의 대체역사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는 안휘군벌 소속 장군으로 나오며, 안휘군벌이 멸망할 경우 국민당 좌파를 비롯한 민족주의 성향 군벌 소속으로 전향하기도 한다. 국민당 좌파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정치력 15만 소모하고 준수한 능력치의 장군을 얻을 수 있으니 매우 이득이다. * 중일전쟁 당시 [[T-26]]RT에 탑승하여 일본군을 격퇴하기도 하였는데, 차량번호는 531번으로 이 차량은 [[워 썬더]] 내에서도 구현되어 있다[* 워 썬더의 531번차는 T-26S 형인 반영 오류가 있다. 사실 예비장비로 주는 T-26도 T-26S라는게 문제, 국민혁명군은 T-26RT만을 운용했지, T-26S를 운용한 적이 없다.]. * 비록 [[중국국민당|국민당출신]]이었고 [[국부천대]] 이후 [[대만]]에서 살긴 했지만[* 이 쪽은 기존의 국민당 인사들과 다르게 [[국부천대]] 이전부터 대만으로 파병나간 상태였다.] 버마 전선에서 맹활약을 한 항일 명장이었기때문에 그리고 말년에 억울하게 [[장제스]]에게 찍혀서 연금생활을 한 탓에 말년에 연금이 해제되자 [[민진당]] 인사들도 쑨리런의 입에서 [[장제스]]에 대한 험담이 나올 걸 기대하면서 쑨리런을 종종 찾아갔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였다. 2020년대를 기점으로 [[중국]] 대륙에서도 평가가 좋은 인물이다. 현재 원래 쑨리런의 고향이었던 [[안후이성]]에는 그의 생가가 보존이 되어있고, 생가 안에는 그를 기념하는 동상까지 세워져있을 정도다. 뿐만 아니라 모교인 [[칭화대학]]도 그의 학창시절 사료들을 아카이브로 보존하면서 업적을 기리고 있다. * 세상을 떠나기 직전 [[1990년]]에 [[양안관계]]가 어느정도 개선이 되자 중국 대륙으로 편지를 작성해서 부치기도 했다. [[분류:중화민국의 군인]][[분류:1900년 출생]][[분류:1990년 사망]][[분류:안후이성 출신 인물]][[분류: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분류:외성인]][[분류:퍼듀 대학교 출신]][[분류:버지니아 군사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