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54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빈 출신 인물]][[분류:오스트리아의 인물]][[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장성급 장교)] |||| '''{{{#19191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육군 기병대장[br]{{{+1 아돌프 폰 브루더만}}}[br]Adolf von Brudermann}}}'''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dolf_Ritter_von_Brudermann.jpg|width=100%]]}}} || || 이름 ||'''Adolf Rudolf Theodor Ritter von Brudermann'''[br]아돌프 루돌프 테오도어 리터 폰 브루더만[br]↓[br]'''Adolf Brudermann'''[br]아돌프 브루더만[*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오스트리아 공화국]]에서 신분제가 폐지되고 귀족 접두어가 철폐되면서 개명한 이름.] || || 출생 ||[[1854년]] [[6월 2일]][br][[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height=15]][[오스트리아 제국]][br]{{{-2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height=12]] [[빈(오스트리아)|빈]]}}} || || 사망 ||[[1945년]] [[10월 26일]](향년 91세)[br][[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br]{{{-2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height=12]] [[빈(오스트리아)|빈]]}}} || || 복무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2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br]{{{-2 (1874년 ~ 1918년)}}} || || 최종 계급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병과대장 계급장.svg|width=35px]] [[육군]] [[병과대장|기병대장]][br]{{{-2 (General der Kavallerie)}}}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돌프 폰 브루더만'''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인]]이다. == 생애 == [[1854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 빈에서 루돌프 요한 폰 브루더만(Rudolf Johann von Brudermann, 1810-1889) [[소장(계급)|소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돌프는 삼형제중 셋째였는데 첫째 안톤과 둘째 루돌프를 비롯해서 삼형제도 아버지처럼 군인이 되었다. 다만 [[루돌프 폰 브루더만|둘째형]]과는 다르게 아돌프는 [[황립 및 왕립 전쟁대학]]에 다니진 않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중장]]까지 진급하였다. [[1914년]] [[8월]], 전쟁이 발발하자 [[루돌프 폰 브루더만|둘째형]]이 지휘하는 제3군 소속으로 제3기병사단을 지휘하여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나, 러시아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하였다. 그 후 건강이 악화되어 [[1916년]] 말에 퇴역을 요청하였다. [[1917년]] [[3월]]에 최종계급 [[병과대장|기병대장]]으로서 공식적인 퇴역을 한 아돌프는 [[빈(오스트리아)|빈]]에서 여생을 보냈다. 제국 해체 후 수립된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오스트리아 공화국]]에서 신분제가 폐지되고 더불어 귀족 접두어를 철폐하는 법률이 제정되면서 '아돌프 브루더만(Adolf Brudermann)'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