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스페인의 축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spotvnews.co.kr/26721_37382_4439.jpg|width=100%]]}}} || ||<-3> {{{+1 '''아드리안 로페스'''}}}[br]'''Adrián López''' || ||<-2> '''본명''' ||아드리안 로페스 알바레스[* 보통 '아드리안'으로 통용된다.][br]Adrián López Álvarez || ||<-2><|2> '''출생''' ||[[1988년]] [[1월 8일]] ([age(1988-01-08)]세) || ||테베르하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 '''신체''' ||[[키(신체)|키]] 180cm / [[체중]] 73kg || ||<-2> '''포지션''' ||[[중앙 공격수]] || ||<|2> '''소속''' || '''유스''' ||[[레알 오비에도]] (2004~2005) || || '''선수''' ||[[레알 오비에도]] (2005~2006)[br][[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2006~2011)[br]→ {{{-1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2008 / ^^임대^^)}}}[br]→ {{{-1 [[말라가 CF]] (2008~2009 / ^^임대^^)}}}[br][[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1~2014)[br][[FC 포르투]] (2014~2019)[br]→ {{{-1 [[비야레알 CF]] (2015~2016 / ^^임대^^)}}}[br]→ {{{-1 [[비야레알 CF]] (2017 / ^^임대^^)}}}[br]→ {{{-2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2017~2018 / ^^임대^^)}}}[br][[CA 오사수나]] (2019~2021)[br][[말라가 CF]] (2022) || ||<-2> '''국가대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0]]]] 2경기 1골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2012)^^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의 [[축구인]]이다. == 클럽 경력 == 2004년 [[레알 오비에도]]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 2005년 1군 팀으로 승격되어 30경기 4골을 기록하였다. 오비에도에서 활약하던 10대 시절부터 스페인의 미래를 이끌어 갈 유망주로 주목받았다. 당시 자금난에 시달리던 데포르티보가 굉장히 오랜 기간 공을 들여 영입했는데, 렌도이로 회장이 직접 오비에도의 경기를 찾아가 수 차례 관전했을 정도였다. 2006년 당시 아드리안은 오비에도와 프로 계약을 맺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데포르티보가 이적료 한 푼 들이지 않고 선수 측을 설득하여 영입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 억울하게 팀 내 최고 유망주를 빼앗긴 오비에도는 항소를 신청했지만 스페인 축구 협회에 의해 보상금 33만 유로를 지급받는 데 그치고 말았다. 우여곡절 끝에 2006년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로 이적하였다. 데포르티보에 입성한 아드리안은 데뷔 초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2007년 세계 청소년 대회에 참가하여 스페인의 주전 공격수로서 5골을 작렬, 득점 2위에 오르는 등 국제 무대에서 강한 임팩트를 남겨 서서히 자신의 존재를 알렸다. 2007년 5월 31일 FC 바르셀로나 전에서 교체투입되며 라 리가에 데뷔하였는데 데뷔 골도 넣으며 눈길을 끌었다. 2008-09 시즌은 알라베스에 임대 이적해 10경기 3골을 기록하였다가 복귀하였고, 다시 [[말라가 CF]]로 임대 이적해 28경기에 출전해 3골을 넣었다. 데포르티보에 복귀한 2009-10 시즌 34경기에 출전해 4골을 기록하였다. 2009년 12월 8일 FC 바르셀로나 전에서는 당시까지 리그 12경기 8실점이라는 철벽 수비를 자랑하던 디펜딩 챔피언을 상대로 골을 넣기도 하였다. 2010-11 시즌에는 리그 36경기에 출전해 8골을 기록하였다. 2011년 1월 3일 아틀레틱 빌바오 전에서 2골을 넣었고, 5월 8일 스포르팅 히혼 전에서도 2골을 넣었다. 2011년 7월 19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4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자유 이적으로 이적료는 발생하지 않았다. 7월 28일 UEFA 유로파 리그 3차 예선 스트룀스고드세 IF 전에서 데뷔하였다, [[호세 안토니오 레예스]]의 2골을 모두 어시스트하였다. 2013년 12월 17일 소속 팀과 계약을 2018년 6월 30일까지 연장하였다.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이 특별히 아끼는 선수라고 한다. 하지만 2012-13 시즌 [[디에고 코스타]]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린 이후 한동안 좋은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리그 31경기에서 3골 1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선발 출전은 16경기. 이전 시즌에 비해 심한 기복을 보이며, 득점 찬스에서도 침착한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2013-14 시즌에는 리그 19경기에서 1골 3어시스트를 기록 중이다. 2014년 4월, 챔피언스 리그 8강 2차전, 부상당한 코스타 대신 예상 외로 선발 출전하여 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팀의 1-0 승리를 도왔다. 또한, 4강 [[첼시 FC]]와의 2차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동점 골을 기록, 팀은 3-1 승리를 거두었다. 2014년 7월 12일 [[FC 포르투]]로 이적하였다. 이적료는 15m 유로이다. 2015년 8월 31일 [[비야레알 CF]]로 1시즌 임대되었다. 2017년 1월 21일 [[비야레알 CF]]로 남은기간 다시 임대되었다. 2017년 8월 11일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로 임대되었다. 2019년 7월 30일 FA 신분으로 [[CA 오사수나]]로 이적하였다. 2022년 3월 31일 FA 신분으로 [[말라가 CF]]로 이적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2007년에는 U-20 스페인 대표로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해 U-20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달성하였다. U-20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세르히오 아궤로]]에 이어 5골을 넣어 대회 우수 선수에 선정되었다. 2011년 UEFA U-21 유럽 선수권에 출전해 5골로 득점왕(골든 슈)을 차지하였다. 2012년 5월 26일 세르비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A 대표로 데뷔하여 선제골이 되는 데뷔 골도 기록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아드리안은 데뷔 초 전형적인 No. 9에 가까운 스타일을 보여줬다. 큰 키는 아니지만 제공권이 일정 수준 이상이었고 적절히 빠른 발과 공격수로서 갖춰야 할 움직임을 고루 갖추고 있었다. 괜히 호아킨 카파로스가 만 18세에 불과한 선수를 1군에 합류시킨 것이 아니었다. 당시엔 페르난도 토레스(빨토 시절이 오기 전) 정도의 공격수가 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 받았다. 2007년 세계 청소년 대회 당시에는 경기 내내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득점을 성공시키는 골 감각을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소속팀 데포르티보는 아드리안이 성장하기엔 전술적으로 이질적이었다. 아드리안은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때 빛을 보는데 데포르티보는 선수비 후역습을 추구하던 팀이었고 아드리안은 상대 수비 라인에 걸쳐있어야만 했다. 그럼에도 아드리안이 각광을 받았던 이유는 청소년 대표팀에서의 활약상 때문이다. 소속팀과 달리 청대에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고 보얀 부럽지 않을 정도의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아드리안이 다재다능한 만능 공격수 스타일로 발전해나가기 시작한 건 2010-11 시즌부터이다. 데포르티보의 감독 미구엘 앙헬 로티나는 아드리안에게 새로운 롤을 부여했다. 아드리안은 세컨드 톱이나 윙 포워드 역할까지 능숙하게 소화했을 뿐 아니라, 수비수와 1:1로 맞붙었을 때의 개인기와 연계 플레이 면에서 장족의 발전을 이루는 모습을 보였다. 아드리안은 AT 이적 후에도 팔카오를 보좌하는 우측 윙어 역할을 기대 이상으로 소화해냈다. 결코 폭발적인 스피드를 갖춘 건 아니지만, 정지된 상태에서 갑자기 속도를 붙여 들어가는 드리블 돌파가 굉장히 독특하면서도 인상적이다. [[카림 벤제마]]와 같이 주변 동료들과 효과적으로 연계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상대 [[오프사이드]] 트랩을 무너뜨리고 수비 배후로 파고드는 움직임에도 능하고, 헤딩력 또한 겸비하고 있다. 플레이 패턴이 비교적 다양하고 영리함과 의외성이 돋보이는 스타일이다. 다만 공격수로서 가장 핵심인 골 결정력은 데포르티보 시절~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시절에도 크게 발전하지 못했고 이는 아드리안의 한계점이었다. 시메오네 왕조 개국공신 답게 윙 포워드지만 수비에도 성실히 가담하는 편이며, 동료인 [[팔카오]]를 위해 희생적인 플레이를 마다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측면 돌파 후 크로스에는 그리 능숙하다고 볼 수 없어 우측 풀백 [[후안프란]]에게 공간을 열어준 뒤 자신은 득점을 노리는 움직임을 자주 가져갔다. 우측 보다는 좌측 윙 포워드에 더 적합하다. 원 톱 보다는 투 톱에서 최전방 공격수나 세컨드 톱에서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인다. 기동력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자신 쪽으로 좋은 패스가 투입되지 못하면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게 고질적인 약점이다. 플레이에 다소 기복이 있는 편이고, 이 부분에도 개선이 요망된다. [각주] [[분류:1988년 출생]][[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분류:레알 오비에도/은퇴, 이적]][[분류: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은퇴, 이적]][[분류:데포르티보 알라베스/은퇴, 이적]][[분류:말라가 CF/은퇴, 이적]][[분류: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은퇴, 이적]][[분류:FC 포르투/은퇴, 이적]][[분류:비야레알 CF/은퇴, 이적]][[분류:CA 오사수나/은퇴, 이적]][[분류:말라가 CF/현역]][[분류:스페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12 런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축구 와일드카드]][[분류: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 참가 선수]][[분류:2009 UEFA U-21 챔피언십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