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아르히노케라톱스}}}[br]Arrhinoceratops}}}'''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rhinoceratops_brachyops_skull%2C_Near_Drumheller%2C_Alberta%2C_Late_Cretaceous_-_Royal_Ontario_Museum_-_DSC00076.jpg|width=100%]] || ||<#F93> '''학명''' || ''' ''Arrhinoceratops brachyops'' '''[br]Parks, 1925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각룡류|각룡하목]]^^Ceratopsia^^|| || '''소목''' ||†코로노사우루스소목^^Coronosaur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케라톱스상과^^Ceratopsoide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케라톱스과^^Ceratops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Chasmosaur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아르히노케라톱스속^^''Arrhinoceratop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아르히노케라톱스 브라키옵스(''A. brachyops'')^^{{{-1 [[모식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rhinoceratops_BW.jpg|width=500]] 복원도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각룡류]] [[공룡]]으로 속명의 뜻은 '코뿔이 없는 얼굴'.[* 이 공룡을 보고한 사람이 코의 뿔이 별개의 뼈가 아니기 때문에 특별하다고 생각해서 붙여준 이름이지만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것은 오해였다.'''] == 상세 == 아래턱이 없는 두개골 화석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자료 자체도 빈약한 편이며, 눈에 띄는 특징도 적은 공룡이다. 두개골의 복원된 형태를 보면 넓은 사각형의 프릴에 두 개의 타원형 구멍이 나 있으며 프릴은 위쪽과 아래쪽 모두에 동맥이 지나가는 자리가 깊이 파여있었다. 프릴의 옆쪽은 아홉개 정도의 골판이 있었으며 프릴의 뒤쪽은 약간 부채꼴 모양이다. 모식표본의 비늘뼈에는 부상 때문에 구멍이 있으며 눈 위의 뿔은 비교적 긴 편이지만 코 위의 뿔은 대부분의 다른 각룡에 비해 짧고 뭉툭했으며 주둥이는 짧고 높았다. 몸통은 일반적인 케라톱스과의 형태로 추정되고 있으며 두개골에 기반해 다 자랐을 때의 몸길이는 약 6m로 추정되며 무게 1.3톤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2010년 그레고리 S. 폴은 몸길이를 4.5m, 몸무게를 1.3톤으로 추정했다. 다른 각룡류와 마찬가지로 아르히노케라톱스도 초식성이었는데,[* 보통은 그렇게 간주하지만, 날카로운 부리로 고기를 찢어서 먹기도 하지 않았냐는 주장도 있긴 하다.] 백악기 동안 속씨식물은 지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였기 때문에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양치식물, 소철, 침엽수 등을 주로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숲이 울창한 해안 습지대에서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름도 비슷한 [[안키케라톱스]]라는 다른 각룡류하고도 공존했고, 주요 천적은 [[알베르토사우루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지도는 부족한 편이지만 어린 개체의 화석도 몇번 나왔으며 2015년에는 이를 토대로 성장단계에 관한 논문도 나왔다. 다시 말해 성장단계가 관찰된 각룡 중 하나인 셈. == 대중 매체 == 비교적 작은 각룡류인데도 [[공룡왕 카드배틀]]에서 무려 800파워의 공룡으로 나온다. [[분류:카스모사우루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