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html 아바타로전대}}}{{{#!html 돈브라더즈}}}]] {{{#white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x-width: 700px; margin: 0px auto" [include(틀:슈퍼 히어로 타임)]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크로스오버 작품)] }}}}}} || ||<-2> [[파일: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로고.png|width=70%]] [br] {{{+2 '''{{{#!html 아바타로전대}}}''' '''{{{#!html 돈브라더즈}}}'''}}} [br] {{{+2 '''{{{#!html 暴太郎戦隊}}}''' '''{{{#!html ドンブラザーズ}}}'''}}}[* 앞부분의 暴太郎는 읽을 때 '아바타로'라고 읽는다. [[모모타로|桃太郎]]에서 첫 글자만 바꾼것.][br]{{{+1 '''{{{#!html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 '''}}}[br] '''Avataro Sentai Donbrother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공식 포스터.jpg|width=100%]]}}} || || '''{{{#fff 방송 시간}}}''' ||일요일 오전 9:30 ~ 10:00 || || '''{{{#fff 방송 기간}}}'''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6일]] ~ [[2023년]] [[2월 26일]] [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22년]] [[7월 23일]] ~ [[2023년]] [[3월 25일]] || || '''{{{#fff 방송 횟수}}}''' ||50화 || || '''{{{#fff 제작}}}''' ||[[테레비 아사히]], [[토에이]], 토에이 에이전시 || || '''{{{#000 채널}}}'''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아사히]][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대원방송]] || || '''{{{#000 원작}}}''' ||[[야츠데 사부로]], Special Thanks [[이시노모리 쇼타로]] || ||<|3> '''{{{#fff 프로듀서}}}''' ||테레비 아사히 : 이노우에 치히로, 오오카와 타케히로[* 27화부터.] || ||토에이 : [[시라쿠라 신이치로]][* 전작인 [[기계전대 젠카이저]]에 이어서 메인 프로듀서를 맡았다.], [[타케베 나오미]][*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와 [[수리검전대 닌닌저]]의 치프 프로듀서를 맡았다. 전작인 [[기계전대 젠카이저]]에서도 치프 프로듀서를 맡았다.][* 1 - 8화까지.] || ||토에이 에이전시 : 야다 코이치, 후카다 아키히로|| || '''{{{#fff 연출}}}''' ||[[타사키 류타]][* [[성수전대 긴가맨]]의 메인 감독.], [[나카자와 쇼지로]], 와타나베 카츠야, 카토 히로유키, [[야마구치 쿄헤이]], 모로타 사토시 || || '''{{{#fff 각본}}}''' ||[[이노우에 토시키]][* 주로 헤이세이 라이더의 각본을 담당했었다. 예전엔 전대 시리즈에도 간간히 참여했지만 [[해적전대 고카이저]] 이후로 전대쪽으론 집필하지 않고 있었다. [[조인전대 제트맨]] 이후 '''31년'''만에 메인 각본을 맡으며, 해적전대 고카이저 이후로 '''11년'''만에 전대의 각본을 맡았고 현재 감수만 했던 26화를 제외한 전 에피소드를 집필중이다. 한일 양국 팬덤에선 그의 행적 때문에 걱정이 많은 편. 2022년 현재 슈퍼전대 시리즈의 상황이 굉장히 안 좋은 상황이지만, 이노우에가 제트맨으로 멸망직전의 슈퍼전대 시리즈를 먹여살리고 부활시킨 경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욱 지켜봐야 할 일이다. 자세한 건 [[이노우에 토시키/평가]] 문서 참고.] || || '''{{{#000000 출연}}}''' ||[[히구치 코헤이]], [[시다 코하쿠]], [[토우타로]], [[벳푸 유우키]], [[스즈키 히로후미(배우)|스즈키 히로후미]], [[이시카와 라이조]], [[코마기네 키이타]], [[와다 소코]], [[토미나가 유우야]], [[미야자키 아미사]], [[타카하시 신노스케]] 외 || || '''{{{#000000 첫 에피소드}}}''' ||아바타로[br](あばたろう) || ||<-2> [[https://www.tv-asahi.co.jp/donbr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테레비 아사히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oei.co.jp/tv/donbrothers/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토에이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uper-sentai.net/donbrothers/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슈퍼전대 시리즈 공식 홈페이지] | [[https://mobile.twitter.com/Donbro_toei|[[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supersentai_tvasah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2NHFXk-2Tc)]}}} || || 메인 예고편 || >'''桃から生まれた暴太郎!!''' >'''복숭아에서 태어난 아바타로!!''' >---- >작품의 캐치프레이즈 [[슈퍼전대 시리즈]] 46번째 작품. 소재는 [[모모타로]] 설화 + [[아바타]]([[메타버스]]) + 선글라스 + 슈퍼전대. 테마는 축제, 인연의 소중함, 욕망에 대한 고뇌와 비판 및 경계, 불행에 맞서는 의지, 일상에 뿌리박힌 평범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공식 상표 명칭이 2021년 11월 2일에 공개되었다. == 특징 == * 본 작품은 '''[[기계전대 젠카이저]]의 후속편'''임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젠카이저와 돈브라더즈가 동일 세계관인지는 불분명하다.'''[* 토에이 공식 홈페이지의 소개글에서는 '''"[[전자전대 덴지맨]]-[[태양전대 선발칸]] 이후의 전대는 모두 독자적인 세계관으로 갔으나 30년 만에 세계관이 이어질지도?!"'''라는 애매모호한 소개글이 적혀 있다. 토에이에서 모든 슈퍼전대 시리즈의 세계관이 통합되었다고 공식적으로 못박은 적이 없는 만큼 세계관 문제에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이런 이유로 젠카이저의 키 아이템이었던 전대 기어는 돈브라더즈의 메인 변신총 돈블래스터에 그대로 사용되며[* 정확히는 [[아바타로 기어]]라는 이름이다. 그리고 돈 블래스터에 [[전대 기어]]를 사용하면 아바타로기어로 변화한다.], 돈 모모타로의 바이크 엔야라이돈은 젠카이 쥬란과 합체하여 돈 젠카이오가 된다. * 명칭이 독특한데, 보통 전대명의 경우 '○○레인저'이거나 '○○저'인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 작품의 경우 2012년 방영된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이후 10년 만에 '~즈'로 끝나는 두 번째 전대다. * [[수리검전대 닌닌저]] 이후 7년 만에 등장하는 일본풍 전대다. * 전대명의 앞 부분인 \''''아바타'''로('''AVATAR'''O)'는 '[[아바타]]'와 '[[모모타로]]'의 [[조어]]로 추정된다. 뒷부분의 돈브라더즈는 무거운 물건이 물위에서 떴다 가라앉았다 하며 이동하는 의태어인 '''どんぶらこ(돈부라코)'''에서 따온 것으로, 모모타로 설화에서 "강 상류에서 커다란 복숭아가 '''두둥실''' 떠내려 왔습니다"라는 대목에 등장하는 단어이다.[* 현재 일본어에서 "돈부라코"는 모모타로 설화 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모모타로의 상징으로 자리잡은 의태어.] 한자 그대로 날뛰는 내지는 난폭한, 아니면 터프한 녀석들의 의미도 일부 있다. * 처음으로 전대명의 앞에 단어를 음독과 훈독을 혼용하는 전대이다. * [[천장전대 고세이저]] 이후로 12년 만에 레드, 블루, 블랙, 옐로, 핑크 조합으로 돌아왔다.[* 이에 따른 블랙이 레귤러 단일멤버로 회귀되었다. 고세이저 이후 블랙이 등장했던 3개 전대(쿄류저, 큐레인저, 류소우저)는 레귤러 멤버에 그린과 블랙이 동시에 들어갔기때문에 블랙이 단일 레귤러로 들어가는 건 상당히 오랜만이다.] [[굉굉전대 보우켄저]] 36화 에피소드는 모모타로를 인용한 에피소드인데 공교롭게도 보우켄저랑 돈브라더즈의 멤버 색깔 조합이 동일하다. * 전작 [[기계전대 젠카이저]]처럼 아이캐치를 채용했다. * 유일하게 초반에 주인공만 대표 메카가 있는 작품이다. 돈브라더즈의 다른 멤버들 같은 경우에는 초반부에는 자신의 대표 메카가 없었다. * 초반에 변신 수식어, 각자의 코드명, 전대명을 말하지 않은 작품이다. 다른 전대 작품 에서도 변신 수식어을 말하지 않아도 각작의 변신 코드명과 전대명은 나온적이 있다. * [[해적전대 고카이저]], [[기계전대 젠카이저]]에 이은 세 번째 올스타즈 작품이다.[* 그러나 젠카이저와는 달리 고카이저처럼 해당 기어의 레인저로 변신한다.] * 전대명이 '''아바타'''로전대인 것에서 알 수있듯이 사용자가 해당 레인저로 변신하는 고카이저와는 다르게 해당 레인저의 아바타로 변신하는 것이기[* 그렇기에 [[키지 브라더]]가 아바타 변신을 하면 여성이 된다.] 때문에 해당 레인저의 특징이나 약점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적용된다.[*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meets 센파이저 특별편에서 [[돈 모모타로]]가 [[사쿠라다 히로무|레드 버스터]]로 아바타 체인지를 하는데 닭모형을 보고 그대로 굳어버렸다.] * 멤버들의 코드 네임은 모티브가 된 인물 및 동물 + 남성은 브라더, 여성은 시스터로 부른다. * '''슈퍼전대 역사상 첫 남성 핑크'''인 [[키지 브라더]]가 등장한다.[* [[해적전대 고카이저|고카이저]]와 [[열차전대 토큐저|토큐저]]에서도 남성 멤버가 핑크로 변신 한 적이 있으나 어디까지나 고카이 체인지, 환승 시스템을 이용한 임시 폼 체인지일 뿐 '''레귤러 남성이 폼 체인지와 무관하게 핑크로 변신하는 건 돈브라더즈가 최초다.'''] * 주인공 "돈 모모타로"(레드)는 '''"갓난아기로 태어나자마자 복숭아 모양의 캡슐에 실려 날아왔다"'''라는 과거를 가졌으며, [[오다 노부나가]]를 방불케 하는 기세가 있는 캐릭터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선행등장했던 젠카이저 42화에서의 말투를 들어보면 꽤 호전적인 편이다.] * [[기계전대 젠카이저]]는 주인공이 화이트였지만[* 정확히는 레드의 역할도 겸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레드 멤버는 별도로 있다.] 2년만에 다시 주인공은 레드가 되었다. *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루팡패트]] 이후 4년만에 옐로 히로인이 등장하며, 하반신 슈트 역시 검은색이다. * 본 컬러에 성비로만 보자면 [[공룡전대 쥬레인저|공룡전대 쥬레인저]] 이후로 정확히 30년 만의 구성이다. 다만, 쥬레인저는 핑크가 여성이고 옐로가 남성인 반면, 이쪽은 옐로가 여성이고 핑크가 남성이다. * 기계전대 젠카이저 42화에 나온 돈 모모타로의 대사가 "俺を呼んだか?さ、祭りだ!(나를 불렀나? 자, 축제다!)"이기 때문에 이 대사가 돈 모모타로의 대표 대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 * 2022년 2월 9일(수) 토에이 특촬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제작발표회가 개최되며, 캐스팅 & 주제가 및 담당 가수 등이 발표된다. 공식 트위터 문구도 '''"캐스트는 도대체 어DON[* どんな (일본어로 '어떤')의 말장난.] 사람? DON한 주제가 DON한 가수 DO간 떨어지는 깜짝 캐스트도 대발표! 얘는 절대 DON miss it 되시겠습니다!"'''라고 쓰여있다.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이후 3년 만에 돌아온 시리어스 노선의 전대 작품으로, [[기계전대 젠카이저|전작]]이 광기 개그 및 시트콤 노선인 것과는 정반대로, 본작은 [[시리어스물]] + [[피카레스크]] + [[사이버펑크]] 색채가 강하다. 이와 유사하게 14년 전에 개그 노선인 [[염신전대 고온저]] 다음에 시리어스 노선 • 앞의 단어를 훈독으로 발음 • 일본풍 전대인 [[사무라이전대 신켄저]]가 나왔다. 마침 10년 전의 [[특명전대 고버스터즈]]도 끝부분에 "쟈(저)"가 붙지 않으며, 선글라스를 아이템으로 이용하며, 신켄저 이후 3년 만에 나온 시리어스 + 사이버펑크 노선 전대였다. 더군다나 같은 각본가인 [[이노우에 토시키]]가 31년 전에 맡은 [[조인전대 제트맨]]도 시리어스 노선 전대였다(제트맨은 [[트렌디 드라마]] 색채가 있다).[* 같은 시리어스 노선이라고 해도 돈브라더즈가 제트맨에 비할 정도는 아니다. 제트맨은 1980년대 주류를 이루었던 무거운 분위기의 작품들과 연장선상에 있지만 돈브라더즈는 세월의 변화도 있고 제트맨과는 달리 방송 시간대가 일요일 오전 시간대여서 지나치게 무거운 분위기로 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마냥 시리어스는 아니어서 이노우에 특유의 개그 센스를 넣듯 26화에서 '''"이번 회차는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종영 기념이니 자신들도 종영한다."'''라고 공식적으로 대놓고 말하면서 패러디 방식의 총집편 에피소드를 전개해 젠카이저 못지 않은 개그성 광기를 보여준다. 이를 두고 팬들은 역시 토에이의 젠카이저 시절의 광기는 아직도 살아있다라고.(...) * 슈퍼전대 시리즈 역사상, 현재로서는 최초로 유일하게 피카레스크 색채가 들어있는 전대 작품이다. * [[가면라이더 오즈]]에 이어, 욕망의 위험성과 이에 대한 경계를 내세운 주제의식의 작품이다. * 슈퍼전대 역사상 '''최초로 모든 메카에 전용 콕핏이 존재하지 않는다.''' * 레귤러 멤버들은 모모타로 설화 모티브의 일본풍이지만 신전사는 [[서유기]]를 모티브로 하여 중국풍이다. * 다른 슈퍼전대 시리즈와 달리 전투에 대한 비중이 적은 에피소드들이 많다. [* 캐릭터들끼리의 상황극이 벌어지다가 에피소드 막바지에 괴인에 해당되는 히토츠귀가 나타나 순식간에 처치된다.] == 시놉시스 == >이번~해 이번 해...[* 일본 전래동화 시작 시 나오는 '옛날 옛적에(むかしむかし, 무카시무카시)'를 패러디했다. 일본어로 올해(今年)는 코토시(ことし) 라고 발음되므로 옛날과 발음이 비슷한 것을 노린 언어유희.]4명의 수행인들과 1명의 아바타로가 있었다. > >[[모모타로]]를 모티브로 한 지금까지 본 적 없는 히어로가 탄생! > >모모타로가 원숭이, 개, 꿩과 함께 오니를 물리친 것처럼, 돈 모모타로(레드)가 사루 브라더(블루), 이누 브라더(블랙), 키지 브라더(핑크), 거기다 오니 시스터(옐로)와 함께 악에 맞서 싸운다. > >그 이름은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 >외형도 팀워크도 들쑥날쑥한 전사들. > >아바타 데이터 = "아바타로"를 로드해 싸우는 5명은, [[아바타로 기어]]를 사용해 돈브라더즈로 아바타 체인지! >역대 슈퍼전대의 모습으로도 아바타 체인지 가능. > >인간의 욕망으로부터 태어난 몬스터 "히토츠귀"와, 히토츠귀를 인간과 함께 없애려는 수수께끼의 집단 "[[노우토]]"와 싸워 사람을 구한다! > >...그러나, 그것은 조금 뒤의 이야기. > >갑자기, 히어로가 되는 능력을 얻은 여고생 [[키토 하루카]]가, 수수께끼의 남자 - [[모모이 진]]에게 지령을 받아 움직이는 순간부터 세계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 >「너에게는 동료가 있다. 우선은 "[[모모이 타로]]"를 찾아라! 그리고 충성을 바치는 것이다!」 > >모모이 타로는 대체 누구고 어디에 있는 것인가...? 그리고 충성이란...? > >돈브라더즈의 이야기가 지금 개막! >자 축제다! 축제다! == 주제가 == * 오프닝 - [[나야말로 온리 원]] * 엔딩 - [[Don't Boo! 돈브라더즈]] === 삽입곡 === * A Battle World - 돈브라더즈 & [[로보타로]] 테마곡 * 출진! 돈 오니타이진 - [[돈 오니타이진]] 테마곡 * 오직 달만이 아네(月ノミゾ知ル) - [[모모이 타로]] & [[소노이]] 테마곡 [anchor(국내_방영)] == 국내 방영 == [include(틀:애니박스 신작)]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7BT42_oMP34)]}}} || ||<:> {{{#!wiki style="font-size: 1.15em; font-weight: bold; color: white" 국내 방영 PV 영상}}} || {{{#!wiki style="margin-top: -20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include(틀:대원방송 국내방영작 시청 정보 ,로고이미지=돈브라더즈_한글_로고.png ,로고너비=152 ,편성표=파워레인저돈브라더즈편성표 ,국내=
국내 TV  ,애니박스본방=토요일  아침 8시 [애니박스] ,애니원본방= 일요일 낮  2시 [애니원]/[챔프]
,챔프본방=
월요일 낮  4시 [재능티비]
수요일 밤  9시 [어린이티비]
,제목글자색=#F04, 제목배경색=#Fdd ;border:Medium Solid #F04 ;border-bottom:None ,스케줄배경색=#Fdd ;border-left:Medium Solid #F04 ;border-right:Medium Solid #F04 ,각주글자색=transparent;display:none ,틀배경색=#Dec /* 상세 설정 끝 */)]}}}}}} === 방영 전 정보 === 2022년 1월 18일 [[반다이남코코리아몰]]에서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스''''라는 이름으로 완구가 올라왔다.[* 그런데 정작 작품에서는 일본식에 맞춰서 '''스'''가 아닌 '''즈'''로 바뀌었다.] 1월 30일까지 예약 판매했다. 젠카이저 완구 발매 때와는 달리 국내판 스티커는 없었다. 2022년 3월 18일 반다이남코코리아몰 SNS에서 [[https://www.facebook.com/bnkrmall/posts/1410047682759164|DX 엔야라이돈 예약판매 글]]을 포스팅하면서 '2022 새로운 파워레인저'라고 언급했다.[* 정확히는 '파워레인저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스'라고 나왔다.] === 방영 확정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fbvideo, fid=AniboxAnibox, vid=3357308384592886)]}}}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s-5.2|[[파일:FW9655eaMAAVW8c.jpg|width=100%]]]]}}} || 2022년 4월 8일 국내 기사에서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 외래어표기법에 의하면 '''돈브라더스'''가 맞다]'라는 제목으로 올해 하반기에 방영한다고 확정 발표했다. [[https://bbs.ruliweb.com/news/read/164584|#]] 2022년 6월 7일 애니박스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 7월 생일 축하 이벤트 모집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이 영상을 통해 한글 로고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특이사항으로는 중앙의 번개모양 마크는 유지하되 [[폭룡전대 아바레인저|다이노썬더]] 이래로[* 북미 파워레인저까지 포함하면 [[파워레인저 라이트스피드 레스큐]]부터.] 폰트 모양이 종종 바뀌었어도 [[글꼴/목록#s-2.2.2|돋움 계열]] 폰트로 쭉 유지되어 왔던 파워레인저 한글 타이틀 폰트가 최초로 [[서예|붓글씨]] 폰트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 방영된 슈퍼전대의 한국판 로고 중에서 가장 원판에 가까운 편. 젠카이저의 후속작이라서 국내에서 2년 연속으로 동시방영이 된 것이다. 또한 젠카이저와의 완구 연동 때문인지 3번째로 동시방영이 된 작품이다. 2022년 6월 15일에 [[애니박스]]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와 공식 트위터를 통해, 7월에 방영을 시작한다는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ord-break: none" [[https://www.twitter.com/aniboxtv/status/1536999646140465152|[[파일:트위터 로고.svg|width=25px]]{{{#29e '''공지'''}}}]]가}}} 게시되었다. 2022년 6월 21일에 [[https://youtu.be/7BT42_oMP3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공식 PV 영상''']]이 공개되었고, 멤버들 중 최초로 키토 하루카의 현지화명이 공개되었다. 2022년 6월 29일 1차 주요 성우진이 공개되었다. 모모이 타로(천홍도) 역은 국내 팬덤에서 예상했던 '''[[김혜성(성우)|김혜성]]'''[* 젠카이저에서 나온 선행 장면 방송 때에 대원방송에서 성우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팬덤에서는 목소리로 봐서 김혜성이 확실하다고 추측해 왔다.]이 맡았다. 타사 출신 성우는 사루하라 신이치(차원승) 및 하나무라 히토시(현수빈) 역을 맡은 [[KBS 성우극회|KBS]] 소속의 [[박주광]], 소노이(가온) 및 부장 역을 맡은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 소속의 [[홍승효]] 등 2명으로 이들은 앞서 젠카이저에서 괴인 성우로 특촬 첫 출연을 한 바 있다. 현지화명에 대해서는 캐릭터 명칭에 관해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제일 먼저 공개되었던 도가비의 경우는 원판 명칭을 나름 잘 살리고 은근히 귀엽다는 평과 원판을 너무 의식해서 괴상하다는 평이 주로 나뉘었었다. 변신명의 경우는 '''브라더/시스터'''를 전부 빼버리고 컬러링+모티브 요소의 영어명을 넣어 [[우주전대 큐레인저|파워레인저 갤럭시포스]]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명하였는데 혹평이 많다. 덕분에 '[[홍철 없는 홍철팀|브라더 없는 돈브라더즈]]', ''''파워레인저 돈즈''''라고 불리고 있다. 첫 방영일은 2022년 7월 23일 {{{#06f,#5bf 토요일}}} 아침 8시이다. 일본 현지 방영이 아직 반환점을 돌지 않은 상태에서 방영을 시작하기에 초반에 주 3회 방영으로 가다가 류소우저, 젠카이저 때보다 빨리 주 2회 방영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7월 9일에 국내판 돈브라더즈 오프닝이 홍보 PV형태로 공개되었다. 번안된 곡 자체는 호불호가 갈리지만 [[https://namu.wiki/w/%EC%A0%84%EB%A0%A5%EC%A0%84%EA%B0%9C!%20%EC%A0%A0%EC%B9%B4%EC%9D%B4%EC%A0%80#s-3|젠카이저 한국판 오프닝]]보다는 낫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연출은 [[김세중(PD)|김세중]] PD, 조연출은 정명진 PD. === 첫 방영 이후 === 7월 16일에 1화, 2화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EcQ4qzsxAVlYqZwFrDQkWf98PcUHu9S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선행 공개''']]되었다. 더빙에 대한 평가는 호평이 대다수지만 변신기 음성[* 현지판은 변신음 리듬에 맞춰 음성이 나와 신나는 분위기를 주었으나 더빙판은 그렇지 않고 쓸데없이 힘이 들어가 있어 부자연스럽다는 평이 많다.]은 비판을 받았다. 편집 실수도 있었는데 화면 자막에서 현지화명인 도가비라 떠야 할 게 원판명칭 키토 하루카로 뜬다거나, 젠카이저로 아바타 체인지 할 때 젠카이 무적 변신음이 나오는 오류가 있다. 반다이남코몰에서 돈브라더즈 완구들의 제품명이 로컬라이징이 되었다. 그런데 본편 명칭이었던 '컬러명+동물명'이 아닌 '동물명+브라더/시스터'로 원판에 가까운 명칭으로 변경되어 있다. 완구의 경우 전작 젠카이저처럼 스티커 정발로 정발되었으나 [[돈 오니타이진|돈 버스터 킹]]은 전체 한글화가 되었다. 전작에서 정발해 주지 않았던 키 아이템도 정발해 줬다.[* 전작은 젠카이쥬 기어만 정발했다.][* 애초에 전작은 식완과 가샤퐁이 전반이라...] [[기계전대 젠카이저|전작]]과 다르게 [[우주전대 큐레인저|파워레인저 갤럭시포스]]처럼 오프닝을 변경하지 않는 채로 1화의 오프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거기다 모모타니 지로(백도원)조차 추가되지 않았다. 2022년 7월 23일 {{{#06f,#5bf 토요일}}} 아침 8시에 1~3화가 첫 방영되었다. 방영판에서는 선공개판의 자막 및 음성 오류가 일부 수정되었다. 3화에서 [[열차전대 토큐저|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로 아바타체인지를 하는 부분에서 트레인포스의 변신음인 "변신 하겠습니다!" 부분의 음성이 생략되고 트레인 체인저의 음만 나오고, 트레인 블래스터의 음성인 "쏩니다!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부분도 [[열차전대 토큐저|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의 [[이인성(성우)|이인성]] 성우의 음성을 그대로 가져오지 않고 돈블래스터의 성우인 [[원종준]] 성우가 새로 녹음했다. 다른 파워레인저는 당시 더빙 음성을 그대로 가져와 썼음에도 왜 트레인포스만 예외인지는 불명. 일부 팬들은 녹음본의 유실로 인해 생긴 일이라 추측하고 있다. 3화부터 5화까지는 방송이 끝나면 유튜브에서 본편을 무료로 공개해 줬다. 9화의 젠카이저 블랙 변신씬에서 젠카이저 본편과 다르게 기어트링거의 대기음이 원판으로 나왔다. 2022년 8월 15일 오후 4시에 [[JEI 재능TV]]에서도 방영되었으며[* [[기사룡전대 류소우저|파워레인저 다이노소울]] 이후 3년만에 JEI 재능TV에서 방영한 파워레인저이다.] 이후 8월 22일 [[대교어린이TV]]에서도 방영되었다. 8월 20일 방영한 14화에서 신전사 모모타니 지로(백도원)의 성우가 [[정의한(성우)|정의한]]으로 확인되었다. 유튜브에서는 풀버전이 5화까지 업로드 됐으나 이후로는 하이라이트만 업로드 하고 있으며, 3~5화 풀버전도 이후 비공개 처리되었다. 절반 가까이 방영한 시점에서 보면 아직까지는 타사 성우 추가 캐스팅이 없으며, 고정 배역을 맡은 타사 출신 성우 홍승효와 자사 프리랜서 성우 임채빈, 그리고 전속 성우 박준원과 원종준을 단역 성우로 과도하게 돌리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즉, [[전속 시리즈]] + [[중복 캐스팅]] 될 가능성이 높다. 9월 24일에 26화가 방영되었는데 처음에 전려욱이 리바이스 최종화를 소개하는 부분을 편집하지 않고 그대로 더빙했다. 또한 이때부터 일본 현지와의 방영 텀을 유지하기 위해 본방송이 주 2회로 축소되었고, 10월 1일부터는 주 1회로 축소된다. 27화에서 삽입곡이 번안되었다. 현재까지는 중복 캐스팅을 쓴다는 점과 돈블래스터의 음성 부분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무난하다는 평이며 그 외에 [[히토츠귀|인귀]]의 각성자들 중에서 캐릭터성에 맞게 적절한 현지화를 한 것도 특징이다.[* [[진상]]옥, 박[[오일남|일남]], 전띵장(전명장) 등등] 또한 번역에서도 화를 내는 인물의 대사에 '꼰질렀다', '반말 찍찍하다' 등 약간의 비속어를 넣음으로써 실제 인물들의 대화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이제까지 정식으로 방영한 슈퍼전대 시리즈 중 '''원로 및 중견 성우들이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은 최초의 작품'''이기도 하다.[* 단 둘 뿐인 타사 성우인 박주광(6년차)과 홍승효(5년차)는 아직 프리랜서가 된 지 얼마 안된 신인급 성우들이다.][* 참고로 이 작품의 최고참은 대원 3기인 [[김혜성(성우)|김혜성]]이다. 그리고 '''80년 대생'''인 본인과 [[홍승효]], [[원종준]]을 제외하면 '''모두 90년대생이다.'''] 그와 동시에 추가로 섭외된 프리랜서 성우도 자사 성우인 [[정의한(성우)|정의한]], [[김민주(성우)|김민주]] '''두명 뿐이다.''' 36화부터는 대원 13기 성우들이 추가로 투입되기 시작됐다. 40화 차회 예고부터 일본판에 쓰였던 자막이 한글화되어 출력된다. === 방영 후 === 국내에선 3월 중에 종영될 것으로 보인다. == 등장인물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다른 [[슈퍼전대 시리즈]]의 등장 인물들과 달리 '''선악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즉, 본작에선 '''현재까지는''' "절대악인 존재" 혹은 "절대선인 존재"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 돈브라더즈 === || [[파일:FKhbCyZWUAwJG6q.jpg|width=100%]] || [[파일:FH8dETUUYAUQJP6.jpg|width=100%]] || 모모타로 설화에서 동물들이 주역으로 등장했는데, 그 때문인지 레드와 옐로를 제외한 멤버들의 체형이 제각각이며, 이 작품에서 가장 주목받는 부분이다.[* [[미니특공대 시리즈]]나 [[우주전대 큐레인저]]에서는 비인간형 멤버들도 변신시에는 평범한 인간 비율이었는데, 이 작품에서는 반대로 변신 전에는 다들 평범한 인간이지만 변신 후에는 신체구조가 제각각이다.] 덧붙여 핑크와 블랙은 슈트가 아니라 풀 CG로 표현될 것으로 보여서, 시리즈 최초로 풀 CG캐릭터가 메인 멤버에 포함된 작품이 될 것으로 보였으나[* 이런 조합 때문에 초기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와 구성이 닮았다는 소리도 나왔다.], 신체 일부만 나오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슈트를 활용하고 있다. 여담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kqGKHRGrgvA|G롯소 히어로 쇼 홍보영상]]을 보면 핑크와 블랙도 본편과 달리 정상 체형에 가까운 슈트로 등장한다. 캐릭터의 대사 등으로 추측하건데 우리가 사는 세계로 넘어오면서 체형이 달라졌다는 식으로 넘어간 듯. * 원숭이를 모티브로 한 블루는 온몸이 울퉁불퉁한 근육질에 팔에는 털이 나있으며, 엉덩이가 빨갛다. 원숭이보다는 [[고릴라]]에 가까운 체형인데, [[고우키(성수전대 긴가맨)|긴가 블루]]와 [[이와사키 류우지|블루 버스터]]에 이은 고릴라 컨셉의 블루가 될 것으로 보인다. * 개가 모티브인 블랙은 '''100cm에 3등신이다.''' 이전 작품들의 마스코트가 떠오를 정도로 매우 작으며,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데포르메를 연상시키는 얇은 팔다리와 커다란 손발이 특징.--되고 싶어서 개가 된 게 아니라니까-- * 꿩을 모티브로 한 핑크는 설정 신장이 '''220cm'''이며[* [[가면라이더 히비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히비키 쿠레나이]]보다 2cm 작다. 하지만 신장 222cm인 히비키 쿠레나이가 평범한 인체 비율인 점을 생각하면 작품 분위기를 위해 일부러 과장된 형태로 디자인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변신 뒤를 말하는 거고 변신 전은 정상 체형이다.], '''슈퍼전대 역사상 첫 남성 핑크이다.'''[* 번외전사까지 합치면 [[모리 마리오|쥬오우 휴먼]]도 있지만, 쥬오우 휴먼은 쥬오우저의 변신 시스템과 무관한 [[코스프레]]에 불과하기에 번외전사 취급도 안 해준다. [[고카이저]]와 [[토큐저]]에서도 남성이 핑크로 변신한 적이 있으나, 어디까지나 고카이 체인지와 환승 시스템을 이용한 임시 폼 체인지일 뿐, '''레귤러 남성의 기본 변신체가 핑크인 건 돈브라더즈가 최초다.''' 분홍색인 점과 뾰족한 형태의 바이저, 날개 형태가 비슷한 점을 들어 [[가면라이더 진]] 플라잉 팔콘을 떠올린 사람들도 있다.][* 담당 배우인 스즈키 히로후미는 88년생으로 올해 나이 '''34세'''이며, 은행원으로 일하다가 배우로 전직한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그의 배역인 키지노 츠요시가 회사원이라는 것. 배우개그를 노린 캐스팅인지는 모르겠으나 제작발표회에서 회사원을 그만두고 배우로 전향했더니 다시 회사원을 연기하게 되었다는 농담을 했다.] * 멤버들의 이름은 전부 모모타로 설화와 관련이 있다. * [[모모이 타로|'''모모'''이 '''타로''']](桃井タロウ)에서 井를 제외하고, [[모모타니 지로|'''모모타'''니 지'''로''']]에서 니지를 빼면 [[모모타로]]라고 발음된다. * [[사루하라 신이치|'''사루'''하라 신이치]]는 [[원숭이]]를 뜻하는 [[猿]], [[이누즈카 츠바사|'''이누'''즈카 츠바사]]는 [[개]]를 뜻하는 [[犬]], [[키지노 츠요시|'''키지'''노 츠요시]]는 [[꿩]]을 뜻하는 [[雉]]가 들어간다. * [[키토 하루카|'''키'''토 하루카]]는 [[오니]]를 뜻하는 [[鬼]]가 들어가있다. * 한국판도 적절하게 현지화 됐다. * [[모모이 타로|천'''홍도''']]의 이름은 붉은 복숭아(紅桃)를 뜻한다. * [[사루하라 신이치|차'''원승''']]은 [[원숭이]]의 '원숭'을, [[키지노 츠요시|노'''장기''']]는 수껏 꿩을 뜻하는 '[[장끼]]'를 비튼 이름이다. * [[이누즈카 츠바사|두'''견''']]의 이름은 개(犬)를 뜻한다. * [[키토 하루카|'''도가비''']]는 도깨비의 중세 한국어 발음인 '돗가비'에서 따왔다. * 신전사 '''[[모모타니 지로|백도원]]'''의 이름은 하얀 복숭아의 백도를 뜻하지만, 서유기가 있는 복숭아 과수원인 반도원을 합친 것에서 따왔다.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이후로 3년 만에 첫회에 모든 멤버들이 나오지 않았으며, 이 중에서도 블루가 첫회에 나오지 않은 것은 [[조인전대 제트맨]] 이후로 '''31년 만이다.''' * 방영 전 공개된 멤버들의 프로필을 보면 캐릭터 설정이 [[이노우에 토시키]]답게 굉장히 파격적이다. 외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가출한 택배원(타로), 사실상 [[백수]]나 다름없는 풍류인(신이치), 몰락한 전 만화가(하루카), 누명을 쓰고 도망 중인 지명수배자(츠바사) 등. 그나마 츠요시는 멀쩡한 직장에 다니며 기혼자라는 상당히 평범한 설정이지만 "다른 멤버들과 달리 '''잃을 것이 없다'''"라는 불길한 설명이 덧붙여져 있다. 이처럼 모든 멤버들이 어두운 면을 안고 있으며 제각각인 것이 특징이다. * 여기까지만 봐도 타 전대에 비해서 참신하고 틀을 깨는 설정들이 많은데, 시라쿠라 신이치로는 한술 더 떠서 '''돈브라더즈로 선택된 사람들은 불행해진다'''는 멘트를 남기기도 했다. 타의적으로 전대 멤버가 되는 전작들의 전례는 있었으나, '''전대 멤버가 되는 것 자체가 불행으로 이어진 케이스'''는 본작이 최초이다.[* 이 멘트로 인하여 전작과 세계관만 같지 스토리는 개그노선이 아닐 가능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실제로 배우 인터뷰와 1화 전개로 개그 노선은 아님이 밝혀졌다.][* 이 불행이 사실은 선택되는 것의 대가가 아닌 누군가의 수작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이런 불행을 어떻게 딛고 일어서느냐 어떻게 맞서느냐가 주된 요소가 될 것이다. * 또한 8화를 기점으로 멤버들에게 각자 성격에 하자가 있는 면모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특히 가장 정상인인 줄 알았던 츠요시가 온화하고 상냥한 일면과 아내가 위험에 처하면 눈이 돌아가버려 극단적으로 행동하는 어두운 일면이 공존해있다는 충격적인 진실이 드러나며 다른 3명도 성격 면에서 위험한 하자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떡밥이 등장하게 된다.] 타로에게 멤버가 붙은 것과 불운의 관계성은 이런 멤버들의 하자가 있는 면을 갱생시키는 게 아닌가란 추측이 생기기 시작한다.[* 특히 돈브라더즈의 구성과 분위기는 다섯 명의 동료가 아니라 '''돈 모모타로와 그 부하들'''이라는 것도 걸리는 요소 중 하나다. 레드와 기타 멤버들에게 명백한 상하관계를 둔 것은 13년 전의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와 유사하다. 공교롭게도 둘 다 전대 앞에 붙는 수식어가 훈독이다.][* 신켄저의 경우는 아직 신분제가 있을 때 처음 결성되어 대를 이어 내려왔고, 현재는 이름만 주군과 부하들이지 실제론 그냥 전대 동료들이다. 돈브라더즈의 경우 타로의 아버지인 진이 타 멤버들을 타로의 동료가 아니라 수하로 삼은 점이나, 파천황에 맞먹는 오지랖을 지니긴 했지만 선한 성격인 타로가 그들을 아직까지 동료로 인정하지 않고 자신이 단련시켜야 할 부하로 여기는 점을 볼 때, 믿고 등을 맡길 수 있는 동료로 삼기엔 위험요소가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츠요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개인적이고도 악의적인 이유로 '''인명을 구하려는 타로를 진심으로 방해'''하기까지 했으니.][* 신전사로 등장한 모모타니 지로의 경우, 돈 일족으로서 세상을 구할 영웅이란 사명을 지녔고 문자 그대로 거짓말하면 죽어버려서 적대관계를 수없이 불릴 정도로 솔직한 타로와 달리 융통성이 존재해서 고향의 사람들도 그에게 그리움을 느끼는 등 좋은 면모를 지녔지만, '''돈 일족의 으뜸이 되고자 하는 욕심과 모모이 타로를 뛰어넘고 리더의 자리를 독차지하고자 하는 야망'''을 품으며 적대관계를 암시하는 묘사를 보였고 실제로 흑화 상태에서 타로와 적대할 뿐더러 다른 멤버들을 처형하겠다며 '''진짜로 언월도로 목을 베어 죽이려 들었다'''.][* 이 인격이 돈 토라볼트로 추정된다. 실제로 지로가 흑화할 때 백호 앰블럼이 나타났었다.] 타로와 신이치를 제외하면 안티 히어로들로만 꾸려진 전대인 셈이며 개그 광기 쪽으로 수어사이드 스쿼드 취급을 받는 [[기계전대 젠카이저|전작]]과 달리 본작은 확실하게 진지하고 다크한 방향으로 꾸린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느낌이 난다. * 전작 젠카이저의 기존 5인과 비교하면, 인간이 [[고시키다 카이토|주인공]] 한 명밖에 없고 다른 4명은 전부 로봇 생명체로 각자 종족도 외형도 변신체의 형상도 다르지만 서로 처음 만나서 유대를 형성하였고, 격려하며 함께 싸워나가다 마지막엔 다함께 세계여행을 나서면서 "젠카이저는 토지텐드를 물리치는 것만이 목표가 아니며, 우리 모두가 카이토를 좋아하고 의지하기 때문에 탄생했다"라는 말로서 서로에 대한 강한 유대와 호의를 강조했다. 반면, 본작의 5인은 전대 전사로 선택받은 이후의 불행, [[모모이 타로|과도하게 솔직한 파천황]]과 [[이누즈카 츠바사|현실주의적인 성격이지만 순애보인 로맨시스트]]가 오히려 둘이서 가장 정상이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각자 인격 면에서 하자가 있으며, 서로의 정체를 당초에는 모른 채 활동, 없다시피 한 유대 등으로 현재 팀워크가 들쑥날쑥하고 각자의 장래가 어두운 상태. 그러나 예고편 및 스핀오프에서 팀 구성 및 나노리를 한 부분이 있고, 본작에서 서로의 정체를 알아가며 나름대로 유대를 키우는 전개가 생겼으며, 이에 따라 구성원들이 어떻게 팀을 구성하고 하나의 전대가 되어가는지가 주요 기대요소일 것이다. * 21화에서 밝혀진 바로는 돈블래스터로 변신하여 히토츠귀와 싸워야 돈브라더즈로 인정받는다. 사리사욕을 위해 전사의 힘을 쓰면 변신자격이 박탈된다고 한다. 지금의 멤버가 모이기 전까지 5천여명이 실격했다고 한다. * 대여제인 점과 호출당하는 식으로 변신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나노리]]할 새도 없이 싸우는 통에, 이들이 무슨 전대인지는 36화에 가서야 처음 밝혀졌다. 단, 이누 브라더가 츠바사 대신에 쥬우토가 변신한 탓에 완전한 나노리는 실패했다. 거기다 기존의 전대와는 달리 나노리 형식도 각자 따로 논다. ==== 멤버 ==== 각자의 휴대폰에 갑자기 나타난 룰렛 게임에 의해 [[잔글라스]]를 쓰게 되고 이후 [[돈블래스터]]가 작동하면서 강제로 처음 변신했다. 이후 [[시라쿠라 신이치로]] 말대로 불행을 겪게 된다. 멤버들은 초반에 서로의 정체를 모르는 상태였으며, 현재 이누즈카 츠바사 외의 4명은 서로의 정체를 전부 알았지만 츠바사는 다른 멤버들의 정체를 하나도 모르는 상태다. 또한 이렇다 할 만한 기지가 없는데, 공식에 의하면 각각 생활하는 장소가 달라서[* 다른 3명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직장과 자택에 거주, 직업이 없는 신이치는 자택에서만 살고, 츠바사는 집은 있지만 도망자 신분이기에 떠돌아다닌다.] 특별히 변신 전 모습으로 모이는 기지가 없다고 한다.[* 이는 멤버들을 아우르는 조력자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멤버들 간에 공통점이 없다는 설정은 [[마진전대 키라메이저]]도 마찬가지였으나, 이들 모두를 묶어주는 [[하카타미나미 무료|조력자]]가 있었기에 모이는 기지가 있었다. 돈브라더즈에서도 모모이 진이 그러한 역할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그는 현재 전자감옥에 갇혀있는 상태로 딱히 멤버들을 만나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나마 자주 모이는 곳이 카이토가 있는 카페인데, 그는 키비 포인트를 관리하며 젠카이저 블랙으로 가끔씩 멤버들을 도와주지만 본인의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속내를 알 수 없어 완전한 조력자라고 보기에는 애매하다.] 현재 '''멤버 전원의 단체 변신과 [[나노리]] 장면이 없는 최초의 전대이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었다. 36화에서 나노리 비슷한 무언갈 하긴 했는데 [[쥬우토|멤버 한명이 본인 아니었고]] [[모모타니 지로|추가전사]]는 나노리가 [[지각|끝나고 나서야 등장했다.]]. 37화에서도 [[이누즈카 츠바사|한 명]]이 빠진 채로 나노리를 했고, 전원 단체 변신은 오랜 기다림 끝에 '''마침내 44화에서 할 예정이지만 그 화가 너무 충격적이라서 안하고 뭍혔다.'''] 멤버 중 한 명이 전투를 시작하면 다른 4명이 근처에서 소환되는 식으로 참전하게 된다. 11화에서 밝혀진 사실로 첫 소환은 거의 강제 소환이지만 본인이 마음먹으면 변신을 해제하여 소환되기 전 장소로 돌아갈 수 있다. 반대로 온라인 게임에 재접속하듯이 다시 참전하는 것도 가능. 건강 상태도 고려해주는지 11화에서 츠바사가 쥬우토 때문에 몸이 아파 몸져눕자 강제 소환되지 않았다. 후에 건강을 되찾자 기다렸다는 듯 돈블래스터가 나타나며 전장으로 소환시키는 것을 보아 변신자의 현재 상태를 따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체인지 거부'라고 돈블래스터에서 아바타로 기어를 빼버리는 것으로 이를 거절할 수도 있다. '''키비 포인트'''라는 고시키다 카이토가 관리하는 포인트가 있으며, 이것을 쓰면 돈브라더즈 탈퇴를 비롯해[* 실제로 10화에 키토 하루카가 탈퇴하자 역사개변으로 처음부터 하루카가 오니 시스터였다는 흔적이 전부 사라졌다.] 온갖 소원을 이룰 수 있지만 그 후 반동으로 불운이 찾아오게 된다.[* 이 포인트제는 모모이 타로의 수행인들에게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타로 외의 멤버 4명만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확인하느라 그나마 카이토네 찻집에 자주 모이는 편. 21화에 의하면 전사가 된 뒤 그 힘으로 히토츠귀와 싸워야 비로소 돈브라더즈로 인정되며, 그 전에 힘을 잘못된 곳에만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힘을 잃는 규칙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의 돈브라더즈가 힘을 얻기 전까지 '''약 5천 명'''이 힘을 얻었다가 탈락했다고 한다.[* 21화에서 등장한 사루 브라더가 그 예.][* 대신 키지노의 행적에서 보여주듯 일단 히토츠귀를 쓰러뜨려서 돈브라더즈로 인정받으면 멤버가 어떤 짓을 저지르든 멤버에서 박탈당하지 않는 모양이다. 그 때문에 차선책인 돈 킬러가 존재했었다.] || '''코드명''' || '''색상''' || '''이름''' || '''담당 배우''' || '''한국판 성우''' || || '''[[돈 모모타로|{{{#fff 돈 모모타로}}}[br]{{{#fff (돈 레드 피치)}}}]]''' || '''[[돈 모모타로|{{{#ff0000 레드}}}]]''' || [[모모이 타로]]/천홍도 || [[히구치 코헤이]] || [[김혜성(성우)|김혜성]] || || '''[[사루 브라더|{{{#fff 사루 브라더}}}[br]{{{#fff (블루 몽키)}}}]]''' || '''[[사루 브라더|{{{#0000ff 블루}}}]]''' || [[사루하라 신이치]]/차원승 || [[벳푸 유우키]] || [[박주광]] || || '''[[오니 시스터|{{{#000 오니 시스터[br](옐로 고스트)}}}]]''' || '''{{{#ffd400 옐로}}}''' || [[키토 하루카]]/도가비 || [[시다 코하쿠]] || [[신나리(성우)|신나리]] || || '''[[이누 브라더|{{{#fff 이누 브라더}}}[br]{{{#fff (블랙 도기)}}}]]''' || '''{{{#000,#e5e5e5 블랙}}}''' || [[이누즈카 츠바사]]/두견 || [[토우타로]] || [[김종엽]] || || '''[[키지 브라더|{{{#fff 키지 브라더}}}[br]{{{#fff (핑크 페잔트)}}}]]''' || '''{{{#ff69b4 핑크}}}''' || [[키지노 츠요시]]/노장기 || [[스즈키 히로후미(배우)|스즈키 히로후미]] || [[박준형(성우)|박준형]] || || '''[[돈 드래고쿠·돈 토라볼트|{{{#c90000 돈 드래고쿠[br](돈 드래곤오공)}}}]]''' || '''{{{#d4af37 골드}}}''' ||<|2> [[모모타니 지로]]/백도원 ||<|2> [[이시카와 라이조]] ||<|2> [[정의한(성우)|정의한]] || || '''[[돈 드래고쿠·돈 토라볼트|{{{#fff 돈 토라볼트[br](돈 타이거볼트)}}}]]''' || '''{{{#c0c0c0 실버}}}''' || ==== 조력자 ==== * [[모모이 진]] / 천도진 ===== 번외 전사 ===== || '''코드명''' || '''색상''' || '''이름''' || '''담당 배우/성우''' || '''한국판 성우''' || || '''[[젠카이저 블랙|{{{#000000 젠카이저 블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808080)" '''{{{#!html 블랙}}}'''}}} || [[고시키다 카이토(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고시키다 카이토]]/전려욱 || [[코마기네 키이타]] || [[임채빈]] || || '''[[돈 무라사메|{{{#fff 돈 무라사메}}}]][br]{{{#fff (돈 퍼플샤크)}}}''' || '''{{{#8a2be2 바이올렛}}}''' || [[닌쟈크소드]] || [[무라세 아유무]] || [[박준원(성우)|박준원]] || === 적 === 이번 작품의 악역에는 [[특수로보 쟌퍼슨]]과 [[굉굉전대 보우켄저]], [[천장전대 고세이저]] 마냥 여러 세력들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용자경찰 제이데커]]와 비슷하게 [[메인 빌런]]은 마더와 노우토로 고정되어 있다. 서로 기본적으로 적대하고 배신하지만 '[[적의 적은 나의 친구|보우켄저 견제를 위해서라면]]' 손을 잡으며 [[오월동주]]하는 [[네거티브 신디케이트]]와 달리, 이 작품의 악역 집단들은 '''[[거대한 악|성향부터 서로에게 공감이 불가능하므로 자신들을 제외한 모든 세력을 적대한다.]]''' 크게 [[히토츠귀]], [[노우토]], [[쥬우토]]까지 셋으로 나뉘는데, [[성향(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성향]]으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른 행동양상을 보인다. [[히토츠귀]]들이 '''욕망'''에 탐닉하는 소위 [[중립 악]]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면 [[노우토]]들은 '''독선'''에 빠진 소위 [[질서 악]]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쥬우토]]는 총 3가지의 개체로 나뉘어져있는데, 돈 왕가에서 만들어낸 인공 생명체로 노우토조차 두려워할 정도로 '''광기'''에 물들어 있으니 [[혼돈 악]]에 가까운 모습이다. [[돈 무라사메]]는 마치 '''꼭두각시 인형'''마냥 마더라는 존재를 따르고 있기에 '그나마' [[중립(성향)|중립]]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단, 작중 묘사를 보면 본인의 자의식 자체는 있다. 18화에서 마더에게 쉬고싶다고 양해를 구하거나 21화에서 마더에게 자신이 태어난 의미를 묻는다거나.] 특이하게도 적 세력들이 후반부에 갈수록 줄어들기는 커녕 [[소노시|새로운 전력]]이 들어오거나, [[학 쥬우토|암약하던 존재]]가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등 오히려 전력이 증강되는 느낌을 주나, 겉으로 보기에만 그럴 뿐 실제로는 전력 상실로 무너지고 있다.[* 노우토에서는 내분이 일어난 것도 모자라 [[소노시|상관 살해 시도]]까지 일어났고, 쥬우토들의 비밀과 약점은 서서히 드러나고 있으며, 돈 무라사메는 마치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듯 폭주를 제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일반인들 사이에서 무작위로 각성하는 히토츠귀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고 있다.] 45화부터, 노우토의 감찰관인 [[소노시]]의 재등장과, 노우토의 새 간부인 [[소노고]], [[소노로쿠]]의 등장, 쥬우토 중 S급인 [[펭귄 쥬우토]]와의 첫대면후 쥬우토들이 잠의 숲으로 돌아가고 그곳의 문이 막히면서, 최종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 [[노우토]] ==== ==== [[제3세력]] ==== 이 넷은 전부 돈브라더즈와 대립하지만, 적대 세력이라 표기되지 않는 이유는 이 넷도 전부 대립관계이기 때문이다. * [[히토츠귀]] (인귀) / [[히토츠킹]] (인킹) 이 작품의 주 적에 해당되는 [[괴인]]. 하지만 소속은 없고 [[마이너소어]] 마냥 [[욕망]]이 폭주하면 자연발생하는 존재다. 돈브라더즈와 노우토한테 있어서 [[구제]] 대상이지만, 서로 구제하는 방식이 다르니만큼[* 돈브라더즈는 숙주한테 씌인 히토츠귀만 없애서 원래대로 되돌리는 구제(救濟)를 하지만, 노우토는 어차피 사람이 욕망을 품은 이상 히토츠귀는 계속 생겨난다며 '''숙주채로 없애버리는''' 구제(驅除)를 하고 있다.] 돈브라더즈와 노우토가 대립하는 원인이 된다. * [[마더(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마더]] [[원로원(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원로원]]에 의해 잠들었을 터인 [[돈 무라사메]]를 깨운 존재. * [[쥬우토]] (수인) 히토츠귀와는 별개의 괴인 종족. 그 정체는 돈 왕가의 과오로 탄생한 [[인공 생명체]]이다. * [[돈 킬러]] 악역에 해당되는 위의 셋과는 달리 돈브라더즈의 폭주[* 원래 돈브라더즈는 사적인 목적만을 위해 힘을 쓰면 즉시 자격이 박탈되는 시스템이 있지만, [[키지 브라더]]처럼 자격이 박탈되지 않은 상태로도 폭주가 발생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 * [[돈 킬러#s-3.1|돈 킬러 '''킬러''']] 돈브라더즈가 자격이 박탈되지 않은 상황에서 벌어지는 폭주를 막기 위해 보내진 [[뇌절|돈 킬러가 폭주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기타 등장인물|기타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기타 등장인물)]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무장 및 아이템|무장 및 아이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무장 및 아이템)] == 등장 메카 == * [[엔야라이돈]] * [[기계전대 젠카이저/메카#s-2.1|쥬란 티라노]][* 전작의 쥬란 티라노와는 별개의 개체.]/ 무적 티라노 * [[얼터(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얼터]] - [[레전드 얼터]] * [[로보타로]] * [[오미코시 피닉스]] / 골든 피닉스&돈 골드 피닉스[* 국내판 완구 명칭] === 메인 메카 === * [[돈 젠카이오]] / 돈 젠카이킹 * [[돈 오니타이진]] / 돈 버스터킹 * [[호룡공신]] / 타이거 드래곤킹 ==== 슈퍼 합체 ==== * [[토라도라 오니타이진]] / 슈퍼 돈 버스터킹 * [[골돈 오니타이진]] / 골드 돈 버스터킹 ==== 궁극 합체 ==== * [[토라도라 오니타이진 키와미]] / 파이널 돈 버스터킹 === 악역 메카 === * [[블랙 오니타이진 무라사메]] / 블랙 버스터킹 퍼플샤크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설정)] == 방송 목록 == 에피소드 제목은 '돈'으로 표기. ()는 국내 방영판 제목이다. || '''{{{#fff 방영일}}}''' || '''{{{#fff 방영화수}}}''' || '''{{{#fff 제목}}}''' || '''{{{#fff 각본}}}''' || '''{{{#fff 감독}}}''' || ||2022/03/06(日)[br]2022/07/23(韓) || DON 1화 || 아바타로[br](히어로는 어디에?)[* 유튜브 선공개에선 일본판과 똑같이 "아바타로"] ||<|25> [[이노우에 토시키]] ||<|2> [[타사키 류타]] || ||2022/03/13(日)[br]2022/07/23(韓) || DON 2화 || [[돈 모모타로|큰]] 복숭아, [[얼터(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s-2.1|작은]] 복숭아 || ||2022/03/20(日)[br]2022/07/23(韓) || DON 3화 || [[쾌도귀|빛 도둑]][br](불빛 도둑) ||<|2> [[나카자와 쇼지로]] || ||2022/03/27(日)[br]2022/07/30(韓) || DON 4화 || [[초력귀|오니기리의 오니]][br](주먹밥의 주먹) || ||2022/04/03(日)[br]2022/07/30(韓) || DON 5화 || 틀어박힌 [[이누즈카 츠바사|개]][br](개의 인질극) ||<|2> 와타나베 카츠야 || ||2022/04/10(日)[br]2022/07/30(韓) || DON 6화 || [[키지노 츠요시|꿩]] 삼일천하 || ||2022/04/17(日)[br]2022/08/06(韓) || DON 7화 || [[지구귀|선생님]] 무리[br](선생님들) ||<|2> 카토 히로유키 || ||2022/04/24(日)[br]2022/08/06(韓) || DON 8화 || [[마진귀|긴 머리]]의 [[키지노 미호|포로]] || ||2022/05/01(日)[br]2022/08/06(韓) || DON 9화 || 엉망타로와 [[로보타로#s-2.2.1|로보타로]][br](비실비실 홍도와 로보타로) ||<|2> [[타사키 류타]] || ||2022/05/08(日)[br]2022/08/13(韓) || DON 10화 || [[키토 하루카|오니]]가 본 무지개[br](고스트가 본 무지개) || ||2022/05/15(日)[br]2022/08/13(韓) || DON 11화 || [[이누즈카 츠바사|개]]의 일사병[br](병에 걸린 개) ||<|2> [[야마구치 쿄헤이]] || ||2022/05/22(日)[br]2022/08/13(韓) || DON 12화 || 달은 거짓말쟁이 || ||2022/05/29(日)[br]2022/08/20(韓) || DON 13화 || 안녕 타로[br](굿바이, 홍도) ||<|3> 와타나베 카츠야 || ||2022/06/05(日)[br]2022/08/20(韓) || DON 14화 || 대역 [[모모타니 지로|지로]][br](홍도의 빈자리) || ||2022/06/12(日)[br]2022/08/20(韓) || DON 15화 || 어서와 [[모모이 타로|타로]][br](어서 와, 홍도야!) || ||2022/06/19(日)[br]2022/08/27(韓) || DON 16화 || [[모모타니 지로#s-2|타락 스위치]][br](흑화 스위치) ||<|2> 카토 히로유키 || ||2022/06/26(日)[br]2022/08/27(韓) || DON 17화 || 빛과 [[이누즈카 츠바사|날개]] || ||2022/07/03(日)[br]2022/08/27(韓) || DON 18화 || [[돈 무라사메|죠스한]] 한 방[br](뜻밖의 일격) ||<|2> 모로타 사토시 || ||2022/07/10(日)[br]2022/09/03(韓) || DON 19화 || 여보세요 [[염신귀|유령]][br](여보세요, 귀신님) || ||2022/07/17(日)[br]2022/09/03(韓) || DON 20화 || [[모모타니 지로|콧대 높은 엘레지]][br](콧대 높은 히어로) ||<|2> [[야마구치 쿄헤이]] || ||2022/07/24(日)[br]2022/09/03(韓) || DON 21화 || [[사무라이귀|극 라멘도]][br](극한 라면의 길) || ||2022/07/31(日)[br]2022/09/17(韓)[* 9월 10일은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 || DON 22화 || [[키토 하루카|지옥 만화의 길]] ||<|2> 와타나베 카츠야 || ||2022/08/07(日)[br]2022/09/17(韓) || DON 23화 || [[이누즈카 츠바사|이누]], 개가 된다[br](개, 개가 되다) || ||2022/08/14(日)[br]2022/09/17(韓) || DON 24화 || [[모모이 타로|아들]], 마음대로 부려먹기[br](아들 꼭두각시) ||<|2> 카토 히로유키 || ||2022/08/21(日)[br]2022/09/24(韓) || DON 25화 || [[키지노 츠요시|히어로 일꾼]][br](히어로, 일하다) || ||2022/08/28(日)[br]2022/09/24(韓) || DON 26화 || 피날레 실수[br](피날레 사고) || [[야츠데 사부로]][* 이노우에 토시키 감수.] || 챠타니 카즈유키[* [[기사룡전대 류소우저]]부터 수석 조감독을 맡고 있다.] || ||2022/09/04(日)[br]2022/10/01(韓) || DON 27화 || 결투 [[마법귀|마지마지]][br](결투의 순간) ||<|24> [[이노우에 토시키]] ||<|2> [[타사키 류타]] || ||2022/09/11(日)[br]2022/10/08(韓) || DON 28화 || [[과학귀|비밀의 비밀]] || ||2022/09/18(日)[br]2022/10/15(韓) || DON 29화 || 장례식과 무라사메[br](추모와 퍼플샤크) ||<|2> 모로타 사토시 || ||2022/09/25(日)[br]2022/10/22(韓) || DON 30화 || 쥬우토 사냥꾼[br](수인 사냥꾼) || ||2022/10/02(日)[br]2022/10/29(韓) || DON 31화 || [[천장귀(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얼굴 들통 멍멍]][br](정체 탄로 멍멍) ||<|2> [[야마구치 쿄헤이]] || ||2022/10/09(日)[br]2022/11/05(韓) || DON 32화 || 결투 [[소노니|그 두 번째]] || ||2022/10/16(日)[br]2022/11/12(韓) || DON 33화 || [[오미코시 피닉스|왓쇼이한 새]][br](어기여차 새야) ||<|2> 카토 히로유키 || ||2022/10/23(日)[br]2022/11/19(韓) || DON 34화 || [[쿠라모치 나츠미|나츠미]] Meets [[이누즈카 츠바사|Me]][br](선미 MEETS ME) || ||2022/10/30(日)[br]2022/11/26(韓) || DON 35화 || [[쥬우토|종이접기]]의 노래[br](종이 짐승의 노래) ||<|2> [[타사키 류타]] || ||2022/11/13(日)[* 11월 6일은 전일본대학역전으로 인해 휴방.][br]2022/12/10(韓)[* 12월 3일엔 초 슈퍼히어로 대전이 대신 방영함.] || DON 36화 || [[쥬우토(고양이)|개개 합전]][br](견견전) || ||2022/11/20(日)[br]2022/12/24(韓)[* 방송사의 사정으로 결방.] || DON 37화 || [[소노이|이]]와 [[소노니|니]]와 [[소노자|자]]와 [[소노시|시]][br](가와 나와 다와 라) ||<|2> 모로타 사토시 || ||2022/11/27(日)[br]2022/12/31(韓) || DON 38화 || [[전자귀(덴지맨)|횡설수설 쿠킹]][br](우당탕탕 쿠킹) || ||2022/12/04(日)[br]2022/12/31(韓) || DON 39화 || [[돈 킬러|굴러들어온 버튼 꾹]] [br](갑툭튀 버튼) ||<|2> [[야마구치 쿄헤이]] || ||2022/12/11(日)[br]2023/01/07(韓) || DON 40화 || [[미래귀|위험한 탑승]][* 한국판 차회 예고 한정 '''"위험한 합승"'''. ([[:파일:20230125_2.png|#1]] / [[:파일:20230125_1.png|#2]]) 추가로 한국판은 40화 예고부터 자막을 한글화한다.] || ||2022/12/18(日)[br]2023/01/14(韓) || DON 41화 || [[히카리귀|산타]] 고생하다[* 원문은 "サンタくろうする". "[[산타클로스]](サンタクロース)"와 "고생하다([ruby(くろうする,ruby=쿠로-스루)])"의 합성어다.][br](산타 고생고생) ||<|2> 와타나베 카츠야 || ||2022/12/25(日)[br]2023/01/28(韓)[* 1월 21일에는 13화에서 16화까지 재방송한다.] || DON 42화 || [[어느 가족|돈비키 가족]][br](돈드깨비 가족)[* 차회 예고 한정, '''"돈드깨비 가족!!"'''.] || ||2023/01/08(日)[* 1월 1일은 신년 휴방이다.][br]2023/02/04(韓) || DON 43화 || [[시이나 나오키|시간을 넘어 수수께끼]][br](시간을 넘어 비밀을 넘어) ||<|2> [[타사키 류타]] || ||2023/01/15(日)[br]2023/02/11(韓) || DON 44화 || [[소노니|흰색]] 들통, [[이누즈카 츠바사|검정]] 들통[br](하얀 거짓말, 검은 진실) || ||2023/01/22(日)[br]2023/02/18(韓) || DON 45화 || 카카마을 가가마을[br](화과마을 화귀마을) ||<|2> 카토 히로유키 || ||2023/01/29(日)[br]2023/02/25(韓) || DON 46화 || [[쿠라모치 나츠미|나츠미]]의 [[키지노 미호|밤의 꿈]][br](선미의 밤의 꿈) || ||2023/02/05(日)[br]2023/03/04(韓) || DON 47화 || 돈노 회의[br](돈뇌 토론) ||<|2> 모로타 사토시 || ||2023/02/12(日)[br]2023/03/11(韓) || DON 48화 || 9인의 돈브라[br](9명의 돈브라더즈) || ||2023/02/19(日)[br]2023/03/18(韓) || DON 49화 || 마지막 추억 ||<|2> [[타사키 류타]] || ||2023/02/26(日)[br]2023/03/25(韓) || DON 50화 || 바이바이 돈브라[br](안녕 돈브라더즈) || == 줄거리 == === 타임라인 === || '''선행 등장''' ||<-2> [[기계전대 젠카이저]] #42 || ||<|5> '''본편''' || 전반부 || #1~15 || || 중반부 || #16~27[br]+[br][*극장판 [br]#20~21 사이:[[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THE MOVIE 신 첫사랑 히어로|극장판]]] || || 후반부 || #28~40 || || 종반부 || #41~50 ||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아바타로 기어 사용 내역|에피소드 가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아바타로 기어 사용 내역)]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popcorn=점수)] [include(틀:평가/IMDb, code=tt15776622, user=7.9)]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critic=스토어, user=점수)]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code=<드라마 코드>, presse=전문가 별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4697163, user=별점)]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11671/16180, user=4.5)]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656238, user=9.5)]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3234, light=-)] [include(틀:평가/왓챠, code=tPj1AwD, user=3.9)]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153918, user=100)]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717059-avataro-sentai-donbrothers, user=8.2)] === 방영전 평가 === 공개된 정보와 전작인 기계전대 젠카이저의 작품 분위기로 인해 방영전에는 전작에 이어 개그 노선의 작품이 될 가능성이 높았고, 이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했다. 보통 개그 노선이 심한 경우 전대물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주인공들의 영웅적인 면모가 부각되지 않고 너무 유치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사실 전전작인 [[마진전대 키라메이저]]도 젠카이저의 임팩트가 워낙 강해서 묻혔지만 저연령층을 노린 개그 노선의 작품이다. 즉 세 작품 연속으로 비슷한 노선으로 가고 있었는데, 이는 키라메이저 이전에 방영한 작품들인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기사룡전대 류소우저]]가 진지한 노선의 작품이었고, 평가나 흥행이 좋지 않았던 만큼 이에 대한 반등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각본가가 바로 얼마 전까지 흥행 보증수표 취급 받던 [[RIDER TIME 가면라이더 류우키]]와 [[RIDER TIME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VS 지오 - 디케이드관의 데스 게임 -|디케지오]] [[RIDER TIME 가면라이더 지오 VS 디케이드 - 7인의 지오 -|시리즈]]를 대차게 말아먹은 [[이노우에 토시키]]라서 이에 대해 불안해 하는 반응도 상당히 많았다. === 방영후 평가 === 역시나 초반부 한정 깡패라는 소리를 듣는 [[이노우에 토시키]]의 작품답게 초반부터 흥미진진한 스토리와 매력적인 캐릭터들 덕에 '''현재까지는''' 요근래의 슈퍼전대 시리즈중 수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동시기에 방영한 [[가면라이더 리바이스]]보다도 더 재밌다는 평가가 대부분일 정도로[* 보통 슈퍼전대는 어둡고 충격적인 전개가 가면라이더보다는 많이 없어서(단, 일요일 오전으로 방송 시간대를 옮기기 전인 1997년 이전까지는 무거운 분위기의 작품이 주류였다.) 화제성 면에서 많이 밀리는 편이었지만 [[이노우에 토시키]] 특유의 자극성 강한 전개와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작품의 질적 하락이 시너지를 낸 결과가 현재의 상황이다. [[가면라이더 리바이스/비판]] 참조.] 이례적인 반응을 이끄는 중. 다만 이노우에의 작품인 만큼 언제 작품이 추락할지 모르니 결말까지 두고 보자는 것이 중론. 이노우에가 각본을 쓴 다른 특촬 작품들([[가면라이더 아기토]][* 흥미거리 떡밥을 계속 투척하면서 신비롭고 몽환적인 분위기로 전개했으나 떡밥 회수에 실패하며 급마무리. 다만 이노우에가 맡았던 [[가면라이더 시리즈]] 중에서 좋은 평을 듣고 있다.], [[가면라이더 555]][* 인간이면서도 인간이 아니게 된 자들이 느끼는 고뇌와 그들이 인간 사회와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주제를 다뤘으나 역시 떡밥을 다 회수하는 건 실패하며 주인공은 급마무리가 되었다.], [[가면라이더 키바]] 등)도 초반 평가는 매우 좋았다. 그러나 이노우에 토시키가 각본을 맡았을 때마다 항상 욕을 먹던 부분인 중반부를 넘어 후반부에 진입한 지금도 초반부의 몰입도를 유지하고 있고 떡밥 회수와 캐릭터들의 서사를 잘 챙겨주는 모습을 보이면서 오랜만에 이노우에가 호평을 받고 있지만 이것도 지켜봐야 할 문제다. ==== 장점 ==== * '''몰입감있는 스토리 전개 ''' 초반 본좌 [[이노우에 토시키]]답게 스토리의 몰입감은 상당히 높은 편이며 여러가지 떡밥과 수수께끼를 계속 제시하면서 시청자의 계속적인 흥미를 자극하고 있다. 특히 거대전이 없는 에피소드의 비율이 높은 편인데, 해당 회차들에서는 드라마 파트가 보다 극대화되어 몰입감이 높아졌다. [[이노우에 토시키/평가|과거의 화려한 전적들]] 덕분에 이노우에를 불신하는 팬들도 ''''이노우에 폼 어디 안 갔다''''며 인정할 정도. * '''적극적인 CG 사용과 뛰어난 액션 퀄리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토라도라 오니타이진 VS 과학킹.gif|width=100%]]}}}|| || 본편 28화[br]토라도라 오니타이진 vs 과학킹 풀CG 전투씬 || 이번 작품은 특이하게도 이전 작품들과는 다르게 CG의 사용 비중이 대폭 늘어났다. 우선 레귤러 맴버 중 키지 브라더, 이누 브라더, 2명만 해도 CG처리로 되어있으며, 메인 메카인 [[엔야라이돈]], [[돈 젠카이오]], 그리고 [[얼터(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얼터]]까지 모두 '''풀 CG'''로 되어 있다. 또한 거대전에서 보여준 [[돈 젠카이오]], [[돈 오니타이진]]의 전투 퀄리티는 거대전이 매인인 [[울트라맨 시리즈]]와 비교될 정도로 뛰어난 평가를 받았으며 [[호룡공신]]은 홍콩의 무술 영화를 연상케하는 액션을 선보이면서 큰 호평을 받았다. [[토라도라 오니타이진]] 데뷔전 또한 과학킹과의 전투씬을 CG로 표현했는데 역동적인 액션과 카메라 무빙으로 마치 인게임 컷씬 같다는 큰 호평을 받았다. 화려한 액션과 더불어 거대전 필드 퀄리티가 [[특촬물]]을 감안하더라도 생각보다 좋게 나온 편이다. * '''클리셰를 깨는 캐릭터와 이야기 전개''' 이전작들은 작품 속 분위기와 멤버간의 캐릭터성이 전부 다를 지언정, 정의를 위해 싸우는 히어로 단체라는 테마를 줄곳 유지해왔지만, 돈브라더즈는 45년 넘게 유지되었던 스토리의 클리셰를 메인 각본가가 맡았었던 [[조인전대 제트맨]]의 에피들처럼 깨트리면서 참신한 방식으로 스토리를 전개하는 파격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 우선 멤버들의 성격도 기존 전대물의 멤버와는 많이 이질적인데, [[모모이 타로]]와 [[사루하라 신이치]]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개인주의에 가까우며, 이 둘도 확실한 결함이 있다. 심지어 8화에서는 [[키지노 츠요시|멤버 한명]]이 살인 방조까지 저지르는 모습까지 보여준다. 기존의 작품을 보면 악의 집단을 제외한 인간 캐릭터들이 악인이든 선인이든 불살을 하기 마련인 걸 생각하면 상당히 파격적. 반면 [[악의 조직]] 중 하나인 [[노우토]]의 경우도 세계 정복,지구 정복이 아닌 인간의 욕망으로 인해 불안정해진 자신들의 세계를 지키기 위해 괴인으로 변한 인간을 제거하는 것이었고, 선량한 시민들은 도와주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평화형 악역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심지어 1쿨이 지날 즈음엔 '''[[모모이 타로|레드]]가 일시적으로 사망하고 [[모모타니 지로|신전사]]가 그 자리를 대체하려는''' 전개까지 나왔으며, 34화, 44화에서는 기어코 '''아예 [[키지노 츠요시|레귤러 전사]]가 [[이누즈카 츠바사|다른 레귤러 전사]]를 배신하거나 죽이려는 시도까지 하게 된다.'''[* 더 무서운 건 돈브라더즈의 변신 시스템 상, 츠요시는 츠바사가 돈브라더즈 멤버인 걸 여전히 모르고 '''민간인'''인 줄 알면서도 순전히 질투심에 미쳐서 이런 짓을 했다는 것이다.] ==== 단점 ==== 상술한 장점들이 크게 드러나는 만큼 단점 역시 크게 드러나는 편이다. * '''초반부터 난해한 스토리 전개와 분위기''' 첫화부터 중구난방에 복잡한 전개를 보여주고 있다. 배우들의 인터뷰에서 스토리가 꽤 어렵고 아이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내용[* 사실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렵다 해도 성인은 이해하기 쉬울 거란 보장은 없다. 성인이 봐도 난해한 내용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1화는 초반부터 너무 많은 내용을 담으려고 하였기 때문에 심히 난잡한데 [[모모타니 지로]]의 배우인 이시카와 라이조는 1화를 보고 '''"아직도 내용이 이해가 안된다"'''고 말 할 정도. 그렇다고 해서 1970~90년대 중반까지 주류였던 무거운 분위기의 작품들이나 2000년작 타임레인저에 비할 정도까지는 아니다.], 그리고 성인이 봐도 재밌을 내용이라고 밝힌 바가 있었는데, 첫화부터 여주인공이 몰락하는 전개가 나오는가 하면 괴인화가 된 사람이 사망하기도 하는 등, 그리고 그 괴인화가 된 사람을 '''히어로가 고의로 해치려는''' 의도로 인해서 이러한 결과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어두운 요소가 많이 보이고 있다. 여러가지 평이 있지만, 전작만큼의 광기 노선은 따라가도 어두운 설정이 더 짙게 진행한다는 것이 중론. * '''복선 없이 등장한 강화 폼과 이따금 나오는 급전개''' [[이노우에 토시키]]는 강화폼 에피소드를 성의없게 쓰기로 악명 높은 각본가였는데, 본작에는 고질병이 나아지다 못해 오히려 심해졌다. 빈약하게나마 과정이나 서사라도 존재했던 다른 작품들과 달리, 그런 서사나 과정도 없이 갑툭튀 수준으로 튀어나와서 개연성에 문제가 생길 정도이다. 첫 강화 폼인 [[로보타로]] 기어부터 별다른 획득 에피소드도 없이 '''원래부터 가지고 있었다'''는 식으로 아무 조짐 없이 등장해서 상당히 갑작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나마 모모이 타로를 제외하면 하루카가 역사 개변을 일으키고 되돌린 것이 영향이 되었다고 추측은 할 수 있다.] 제작진 측에서도 이에 관해 스토리를 따로 풀 생각이 없는지 [[젠카이저|비밀의 파워]]로 얻었다는 식으로 얼버부렸다. 신전사 [[모모타니 지로]]가 [[돈 드래고쿠]]로 변신할 수 있는 [[용호지극]]과 기어를 얻는 과정도 곧 자신의 힘이 각성할 것이라고 되뇌이자 갑자기 예의 그 슬롯머신이 튀어나오고, 이후 등장하는 로보타로 기어 역시 원래부터 가지고 있었다는 식으로 얼버무렸다. 그나마 [[모모타니 지로]]의 또 다른 인격인 어둠의 지로의 돈 토라볼트만 복선을 깔아두다가 인격이 다시 한번 깨어남과 동시에 돈 토라볼트 아바타로 기어가 생성되는 식으로 처리했다. 28화부터 나오는 [[토라도라 오니타이진]]도 등장 연출 또한 아무런 복선도 없이 돈 모모타로가 갑자기 합체하자고 제안해서 나오는 식으로 툭 튀어나왔다. 45화에서 나온 [[킹오저#s-2.4|돈 킹오저]] 역시 아무런 서사도 없이 갑자기 튀어나왔다. 그나마 돈 모모타로 전용 강화폼인 골돈 모모타로는 적절한 과정--깔때기--과 서사를 거치고 등장하였다. * '''거대전 비중 축소''' 거대전이 없는 에피소드가 자주 나오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거대전의 비중이 심각할 정도로 줄어들었다. 합체만 하고 '''바로 필살기 시전 후 종료'''하는 패턴이 일상화된 지경. 이 때문에 거대전을 진행하는 시간이 1분을 못넘기는 회차가 허다하다. 때문에 메카전을 좋아하는 팬들은 불만이 상당하다. * '''너무 많고 다양한 적군 세력'''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돈브라더즈비판.gif|width=100%]]}}}|| || 본편 27화[* 소노이와 모모이 타로가 서로 일기토를 벌이려던 중, '''갑자기 여러 인물들이 난데없이 난입하여 끼어드는 바람에 대난전이 되어버렸다.''' 예고편에서부터 '''"슈퍼전대판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대난투]]"'''라며 의외의 호평(?)과 기대(?)를 받았고, 현재도 '''명장면으로 취급받고 있다(...)'''][* 참고로 이때 상황을 설명하자면 처음에는 타로와 소노이 둘이서만 싸우기로 했는데, 갑자기 지로가 끼어들어선 너는 타로 상대가 못되니 자기가 대신 상대하겠다고 난입했고, 그렇게 고립된 타로를 [[돈 무라사메]]가 습격했는데 그러던 중에 [[오노 미노루]]가 [[마법귀|새로운 히토츠귀]]로 각성해서 나타나는 바람에 히토츠귀 반응을 감지한 다른 돈브라더즈 멤버들이 소환되었고, 이와 동시에 고양이 [[쥬우토]] 무리가 떼거지로 사람들한테 빙의해서 돈브라더즈한테 달려들었다. 한마디로 '''[[개판]]'''. 심지어 이 짤 직후에 [[소노니]]와 [[소노자]]도 소노이 돕겠다고 가세하고, 지로는 또 하나의 인격으로 바꿨고 그렇게 슈퍼전대 역사상 전례가 없는 명장면이 완성됬다.(...)] || 초반부부터 [[노우토|메인 적대 세력]]이 [[히토츠귀|주요 괴인]]들을 제거한다는 설정으로 시작하였지만, 중반부로 흘러가면서 [[쥬우토|또 다른 괴인들]]과 [[돈 무라사메|악의 전대 전사]]가 등장하여 본편의 세력은 졸지에 5파전으로 흘러가기 시작하였다. 심지어 [[굉굉전대 보우켄저]]의 [[네거티브 신디케이트]]처럼 서로 협력하기는 커녕 서로 적대하며 물어뜯기 바빴으며,[* 위의 27화에서 나온 대난전이 바로 대표적인 예시이다.] [[천장전대 고세이저]]의 [[천장전대 고세이저 #s-6.3|사악한 영혼]]들처럼 악역 집단이 완전히 괴멸되고 새로 등장하는 방식도 아니고 '''기존의 주요 악역들은 단 하나도 퇴장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신규 악역들이 계속 등장하고 있는 추세. 결국 이게 감당이 안됬는지 46화에서 [[쥬우토]] 관련 스토리를 급전개로 마무리 지어버렸다.(...)[* 이 과정에서 지로의 배경설정도 같이 바뀌었다.] 46화에서 쥬우토들이 악역집단으로서 괴멸을 맞이한 뒤에는 최종화까지 4회 남은 시점에서 소노시를 비롯한 노우토들이 주요 악역의 위치에 올라왔는데, 소노시 일행은 퇴장하지 않는 상황에 최종화 바로 직전에 소노나&소노야라는 뉴페이스들이 튀어나와 급전개로 끝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중이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돈 무라사메와 마더는 [[맥거핀]] 이 되는 것으로 확정이 되었다. * '''괴인들의 슈트 재탕''' [[히토츠귀]]는 [[베니츠귀]]와 [[시소츠귀]]의 슈트를 베이스로 재탕을 했으나, 상반신의 슈트의 뛰어난 퀄리티 및 히토츠귀의 모티브가 된 전대의 요소를 오마주하는 등 컨셉 및 디자인 면에서는 크게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히토츠킹]]의 경우는 풀 CG로 나온 [[열차귀|열차킹]]과[[구급귀|구급킹]]을 제외하면 겨우 머리 장식이 바뀌는 것이 전부. 이마저도 [[공룡귀|공룡킹]]부터는 예산 문제인지 [[히토츠귀]]의 머리 슈트를 그대로 [[히토츠킹]]에 옮겨 씌우는 식으로 재탕하면서 혹평을 받고 있다. 그리고 19화에서 [[염신귀]]는 아예 선배 자동차 전대의 히토츠귀인 [[고속귀]]와 [[격주귀]]의 슈트를 재탕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천장귀(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천장귀]]. [[굉굉귀]]. [[초수귀]]. [[백수귀]]도 이전 히토츠귀의 디자인을 자신들의 모티브에 맞게 재활용했다. [[쥬우토]]들은 아예 머리 슈트들을 제외하면 전부 재탕이다. 단 이건 예산 문제로 발생한 작품 외 문제점으로, 이는 키라메이저, 젠카이저도 같이 공유하는 점이다. * '''아동 대상 작품이라기에는 지나치게 어둡고 잔혹한 스토리와 충격적인 동심파괴 전개'''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학부모 발작버튼.gif|width=550]]}}}|| || 본편 48화 || 상술했듯이 돈브라더즈의 스토리는 어둡고 시리어스한 전개이기에 아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문제는 아이들 입장에선 이게 이해하기 어려운 정도로 끝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순화되어 나오긴 해도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민간인의 사망 장면, 쥬우토들의 공포적인 분위기, 특히 [[키지노 츠요시]]가 폭주하는 장면은 아이들에게 보여줘도 되나 우려되는 정도의 장면들이며,[* 특히 8화, 34화, 44화에서 각각 [[간접 살인]], [[배신]], [[살인미수]]를 적나라하게 저질렀다. 심지어 살인미수건도 원래는 [[살인]]에 해당된거나 다름었었다. 게다가 이 3요소는 지금보다 시리어스 스토리가 많았던 80~90년대초 전대에도 없었던 요소이다.] 48화에서는 [[소노로쿠]]가 아예 아기가 든 유모차를 육교에서 밀어버리는 만행(아동학대 및 유괴, 살인미수)을 저질렀다.[* 실제로 저런짓을 아기가 당한다면 엄마도 없이 혼자 낮선곳에 보내져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지 모르는 상황이라 생존확률이 낮을 뿐더러, 무사한다 쳐도, [[PTSD|무의식적으로 정신적 트라우마가 생겨, 육교를 건너는것을 무서워할것이며,]] 이것을 시전한 [[소노로쿠|가해자]]는 [[징역|당연히...]]] '''결국 학부모 학회에서 3번이나 경고를 먹었을 정도'''라고 한다.[* 키지노의 신고로 츠바사가 체포되고 나중에 그를 신고한 키지노가 체포되어 감옥에서 서로 싸우거나, 소노시가 소화기를 민간인에게 노골적으로 뿌려대거나, 히로인이자 주인공인 하루카가 무려 스폰지밥 못지않게 난폭운전을 하는 장면. 이 3개의 장면이 클레임 걸렸다고 한다. 심지어 클레임이 걸려왔는데도 '''소노시가 재등장한뒤 소노시가 소화기를 뿌려대는 장면들이 등장한다.''' 한술 더 떠서 소노로쿠가 '''아기가 탄 유모차를 빼앗아 계단 밑으로 밀어버리면서 노우토의 세계로 보내버리는 장면이 나왔다.'''] 물론 전체적으로 보면 80~90년대 초 전대에 비하면 양반이지만,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밝은 분위기의 스토리 전개가 많았던 2000 ~ 2010년대의 전대들과 비교해본다면 말이 달라진다. 그 예시로 슈퍼전대 시리즈는 민간인 엑스트라들이 대부분 선한 인물로 나오거나, 설령 악인으로 나오더라도 [[크라임 보스|일회용 악역 취급받거나,]] 알고보니 딱한 사정이 있었고 나중에 갱생하는 전개로 넘어갔다. 반면 본작의 민간인들은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악인들이 매우 많으며,[* 심지어 현실에 존재할 법한 악인 유형들만 등장시켰다.] 죗값을 확실히 치룬 경우가 딱 [[쾌도귀|3]][[마진귀|명]][[비밀귀|밖]]에 없다. === 총평 === == 시청률, 완구 판매량 == * 일본 내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기 때문에 [[마진전대 키라메이저|전전작]], [[기계전대 젠카이저|전작]]에 이어 이번작 역시 시청률을 측정하지 않는다. * 완구 판매량의 경우 호조를 보이고 있다. 첫 공개 당시 거대전 담당 메카가 콜라보 메카인 [[돈 젠카이오]] 뿐이였고, 작은 피규어 위주였던 체인지 히어로즈여서 불안감이 컸었으나, 방영 직후 반응이 뒤바뀌어졌다. 변신기인 [[돈블래스터]]는 전작의 [[기어틀링거]]와는 다르게 [[해적전대 고카이저|고카이저]] ~ [[기계전대 젠카이저|젠카이저]]의 변신음을 구현함으로써 슈퍼전대판 [[디케이드라이버]]로 불리고 있으며, [[돈 모모타로]]의 무기인 잔글라소드는 적외선 연동 및 각 전대 필살기 발동시 전대별 색깔로 LED가 발동되는 점을 어필받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전작에서 시작된 신규 상품군인 체인지 히어로즈를 이번 작부터 차기 주력으로 내세우게 되는데, 전작의 미미했던 점을 보완해 각 멤버 피규어와 [[얼터(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얼터]]들의 장점을 최대한 살림과 동시에 아기자기함과 컴팩트함을 강조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인기를 모으고 있다. 거기에 1호 로봇인 [[돈 오니타이진]]은 가장 늦게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DX 1호 로봇 사상 최대크기와 최초의 전신 관절 풀가동 사양'''을 내세움으로써 공개당시 큰 화제가 되었는데, 2022년 4월 말에 예약을 걸자말자 당일 매진을 기록했으며, 발매일인 5월 28일엔 오프라인 완판이라는 전대 로봇 역사상 보기 힘든 판매 기록을 세웠다. * 22년 3~5월 간의 매출을 다룬 반다이 1분기 매출표에 의하면, 총 매출 16억엔, 완구 매출 13억엔으로 전작인 젠카이저에 비해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매출에는 5월 28일 정식발매한 돈 오니타이진의 판매량이 잘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2분기 매출액을 기대해볼만 한다. * 22년 상반기 누적 총 매출 35억엔, 완구 매출 29억엔으로, 젠카이저 대비 총 매출 9억엔 / 완구 매출 7억엔이나 올랐다. 2년 전인 키라메이저 때와 비교해도 높은 수치이며, 무엇보다 루팡VS패트 이후 지속됐던 하락세를 4년 만에 깨뜨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어 3분기 누적 총 매출 49억엔, 완구 매출 41억엔을 기록해 같은 기간 젠카이저 대비 총 매출 16억엔 / 완구 매출 14억엔 높은 성과를 올렸다. == 관련 작품 == * [[기계전대 젠카이저]] 42화 - [[돈 모모타로]] 선행출연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meets 가면라이더 덴오 노려라! 돈오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meets 센파이저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스핀오프 이것이 돈브라더즈의 나노리다! 아바타로의 진정한 모습!?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THE MOVIE 신 첫사랑 히어로]]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with 돈브라더즈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라 하오! 슈슛하고 20th Anniversary]]의 스핀오프 프리퀄.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with 돈브라더즈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th 용서받지 못한 아바레]]의 스핀오프 프리퀄.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이스터 에그 및 오마쥬|이스터 에그 및 오마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이스터 에그 및 오마쥬)] == 여담 == * 10년 전, [[특명전대 고버스터즈]]를 연상시키는 오마쥬 요소가 많다. {{{#!folding [펼쳐보기] * 고버스터즈와 돈브라더즈 두 작품 모두 전대 이름이 "~즈"로 끝난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를 강조하고 있다. * [[시리어스물]] + [[사이버펑크]] 노선의 전대 작품이다. 돈브라더즈는 [[피카레스크]] 색채와 전대 크로스오버를 가미했다. * 14년전의 [[염신전대 고온저]]와 4년전의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에서는 요리 담당의 블루([[코사카 렌]], [[요이마치 토오마]])가 있으며, [[히야마 노부유키]]는 적과 자신의 영혼을 바꾸는 괴인 역으로 출연했다. * 13년전의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와 3년전의 [[기사룡전대 류소우저]]는 시리어스 노선 전대 작품. 도검과 검술 중심에, 도덕성을 강조한다. 주인공 레드([[시바 타케루]], [[코우(기사룡전대 류소우저)|코우]])는 천부적인 재능의 소유자이며, 블루가 주인공 레드를 동경하고([[이케나미 류노스케]], [[멜토]]), 그린이 주인공 레드와 라이벌 구도([[타니 치아키]], [[토와(기사룡전대 류소우저)|토와]]). 자기소개 순서 컬러가 각 5번째 소개([[하나오리 코토하]]/[[밤바(기사룡전대 류소우저)|밤바]])의 컬러와 성별을 제외하면 똑같으며, 신전사가 골드이다([[우메모리 겐타]], [[카나로]]). 두 골드는 보조 컬러가 남색, 단검이 주무기(사카나 마루/모사 블레이드), 전용메카가 수중생물형 메카(이카 [[다이카이오]] - [[가재]] + [[오징어]]/[[키시류넵튠]] - [[모사사우루스]] + [[암모나이트]])인 점이 닮았다. * [[천장전대 고세이저]]는 12년전, [[마진전대 키라메이저]]는 2년전 전대 작품. 주인공 레드([[아라타(천장전대 고세이저)|아라타]], [[아츠타 쥬루]])가 자리배치 및 단체포즈 시 3번째 & 5번째 소개 전사 옆에 서며([[아그리(천장전대 고세이저)|아그리]] & [[하이드(천장전대 고세이저)|하이드]]/[[하야미 세나]] & [[오오하루 사요]]), 신전사가 실버이며([[고세이 나이트]], [[크리스탈리아 타카미치]]), 두 실버는 메카의 일부가 된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세이 그랜드]], [[기간트 드릴러]]). 두 주인공 레드의 경우는 성격이 순한 편이며 때로는 열혈로 나오기도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 바로 11년전의 [[해적전대 고카이저]]와 전작 [[기계전대 젠카이저]]는 전대 크로스오버 작품. 주인공([[캡틴 마벨러스]], [[고시키다 카이토]])은 자리배치 및 단체포즈 시 2번째 & 4번째 소개 전사 옆에 서며([[조 깁켄]] & [[돈 도고이어]]/[[쥬란]] & [[마지느]]), 주인공과 깊은 유대를 가진 새형 마스코트 캐릭터가 있으며([[네비]], [[셋짱]]), 해적 컨셉의 전사가 있으며(고카이저 6인, 골드츠이카 일가), 해적선 형태의 기지가 있다(고카이 갤리온, 크로커다이오). 덧붙여, 마스코트 성우인 [[타무라 유카리]]와 [[후쿠엔 미사토]]는 [[프리큐어 시리즈]] 출연 경력이 있다. 차이점으로 주인공의 경우 전자는 레드이고 후자는 화이트, 해적선 기지의 경우 전자는 주인공 일행 기지이고 후자는 골드츠이카 일가 전용기지이다. * 제목이 저(~ger/~쟈/~ジャー)가 아닌 영어 복수의 의미인 즈(~ズ/~S)로 마치며, 코드네임이 전대명에 중간 3글자로 되어있다(버스터/브라더 & 시스터). 돈브라더즈는 주인공 레드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 해당된다. * 메인 [[각본가]]인 [[코바야시 야스코]]와 [[이노우에 토시키]]는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각본으로 참여한 경력이 있으며, [[가면라이더 아기토]]와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공동 각본 경력, [[슈퍼전대 시리즈]]에서는 [[미래전대 타임레인저]]의 공동 각본 경력이 있다. * 선글라스 모티프의 아이템이 있다. 고버스터즈는 일반 선글라스, 모핀 브레스, 모핀 블래스터, GB 커스텀바이저. 돈브라더즈는 [[잔글라스]], [[돈블래스터]], 잔글라소드. * 주인공 측 전사들은 불행 요소가 있다. 전자는 소중한 가족들 및 기타 사람들이 메사이어 데이터와 일체화되어 언제 죽을지도 모른다는 심리적인 아픔이 있으며, 후자는 돈브라더즈로 선택받은 이후 불행에 빠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후자는 그 불행이 누군가의 수작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 어디까지나 가능성의 얘기지만. * [[사쿠라다 히로무]]와 [[모모이 타로]]는 문무겸비 + 유능함 + 스트레이트 + 선량함 속성의 주인공 레드. 전자는 쿨시크함이, 후자는 쾌활함이 강조된다. 둘다 총과 검 형태의 무기(이치간 버스터 & 소우간 블레이드/돈블래스터 & 잔글라소드) & 전용 바이크([[치다 닉]]/[[엔야라이돈]]) & 전용메카([[CB-01 치타|고버스터 에이스]]/[[돈 젠카이오]], [[로보타로#s-2.2.1|돈 로보타로]])를 능숙하게 다룬다. 소중한 가족이 살아있다는 점도 닮았다(전자는 누나인 사쿠라다 리카, 후자는 양아버지인 [[모모이 진]]). * [[이와사키 류우지]]와 [[사루하라 신이치]]는 영장류([[고릴라]], [[원숭이]]) + 괴력 + 두뇌파 + 박학다식 + 온화함 속성의 블루. 주인공 레드와 둘이서 문무겸비를 달리는 공통점이 있다. 전용메카인 [[GT-02 고릴라|고릴라]] 버스터 애니멀 모드와 [[로보타로#s-2.2.2|사루 브라더 로보타로]]도 생김새가 닮았으며 괴력과 약삭빠름을 자랑한다. 둘다 슈트액터가 [[타케우치 야스히로]]이다. * [[우사미 요코]]와 [[키토 하루카]]는 최연소에 여고생이며 옐로 히로인이다. 건방지고 입이 험하지만 선량한 점이 닮았다. 또한 주인공 레드와는 충돌하는 점과, 블루와는 친남매 마냥 의기투합이 잘되는 점도 닮았다. * [[진 마사토]] & [[비트 J. 스태그]]와 [[이누즈카 츠바사]] & [[키지노 츠요시]]는 기본 3색(레드, 블루, 옐로) 이외의 컬러링(골드 & 실버, 블랙 & 핑크) 보유에 서로 친밀한 사이이다. 전자는 인간과 버디로이드의 우정을 보여주었고, 후자는 서로 소중한 사람과 각자 비슷한 경험이 있다는 닮은 점으로 친밀해졌다. * [[모모타니 지로]]는 [[진 마사토]] & [[비트 J. 스태그]]처럼 선글라스 아이템 보유(모핀 블래스터/잔글라스), 골드와 실버 컬러의 신전사이다. 특징으로는 진과 J는 3+2 전대 소속에 신전사 2명이며 골드와 실버를 각자 가진 반면, 지로는 5+1 전대 소속에 신전사 한명으로 골드와 실버를 둘 다 가졌다. 또한 공통점으로 레귤러 멤버 중 한명과 인연이 있었으며([[이와사키 류우지]]/[[모모이 타로]]), 진은 서브 히어로인 블루와, 지로는 주인공 레드와 인연이 있다는 점이 특징. * 신이치와 하루카는 3화에서 변신 상태에서 첫 대면시 [[이와사키 류우지|푸른색 고릴라]]와 [[우사미 요코|노란색 토끼]] 드립을 쳤다. * [[쿠로키 타케시]]와 [[고시키다 카이토(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돈브라더즈의 카이토]]는 쿨시크한 검은색 이미지의 조력자이다. 전자는 피눈물도 없는 냉혹무정한 사람에서 인간적으로 변화한 반면, 후자는 인간성이 좋으며 여러모로 인간적인 성품을 가졌다. * [[치다 닉]]과 [[엔야라이돈]]은 주인공 레드 전용 바이크이며, [[고버스터 에이스]]와 [[돈 젠카이오]] & [[로보타로#s-2.2.1|돈 로보타로]]는 초반에 1호 메카 대신 활약한 주인공 레드 전용메카이다. 그중 닉은 주인공 레드 히로무의 파트너 버디로이드이자 절친이며, 에이스와 돈 젠카이오는 전용 바이크와 일체화되어 탄생하는 공통점이 있다. 덧붙여 에이스와 돈 로보타로는 인간형 메카에 검이 주무기에 고속이동과 근접격투가 특기라는 공통점이 있다. 마침 돈 로보타로의 첫 상대가 고버스터즈 컨셉의 [[특명귀]]이다. * [[고버스터오]]와 [[돈 오니타이진]]은 1호 메카로서 등장시기가 늦은 편이며(고버스터즈 6화, 돈브라더즈 12화), 주인공 레드가 메인 파일럿으로서 주도권을 잡고, 근접격투와 검술이 특기이다. 그리고 우연인지 한글 정발명도 앞을 제외하면 둘 다 똑같다. (고'''버스터 킹''', 돈 '''버스터킹''') * 아공간과 노우토 레이어는 현실세계와 공존하며 악의 조직([[버그러스]], [[노우토]])과 관련된 이공간이다. * [[엔터(특명전대 고버스터즈)|엔터]] & [[에스케이프]], 노우토 3인방([[소노이]], [[소노니]], [[소노자]])은 인간형 악의 간부이다. 전자는 하나같이 막장에 냉혈한에 동료애가 결여된 반면, 후자는 평화형 악역에 서로 동료애가 깊다.}}} * [[2022년]] 봄, 일본 현지 방영 시기 기준으로 아직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지 않고 있어 배우들과 기타 스태프들의 건강이 걱정된다는 반응이 다수다. 더구나 백신을 접종해도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점차 증가세에 접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 따라서 올 한해 동안 코로나가 진정되지 않는다면 이번 촬영도 실내 및 세트에서만 진행하고 CG 처리 위주로 방영분을 보낼 가능성이 높다. 본래 특촬물은 TV 방영기간에 놀이동산에서 히어로쇼를 하며 관객과 소통하는 행사를 자주 열게 되는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심해지면서 이런 행사를 자주 열지 못했다. 이것을 오히려 역이용하여 어차피 하지 못할 것이라면 그간 시도하지 못한 방식을 마음껏 해보겠다는 제작진의 의도가 보인다.[* [[슈퍼전대 시리즈]]에서는 한번씩 리미터가 풀리는 일이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거대로봇의 등장인데, [[이시노모리 쇼타로]] 원작 시절에서는 도입하지 못했으나, [[야츠데 사부로]]라는 명의로 제작된 이후로 제한이 풀리게 되자 과감하게 투입했고 덕분에 작품이 이어지는 요소로 작용했다.] * 은근히 그리드맨과 엮이기도 하는 작품인데 본작의 변신아이템 돈블래스터의 성우 하마노 다이키는 [[그리드맨 유니버스]]의 3번째 작품인 [[SSSS.DYNAZENON]]에서 [[가우마]]역을 맡았고 거대전 필드가 [[전광초인 그리드맨]]의 컴퓨터 월드와 비슷해서 1화가 방영된 날, 트위터에선 그리드맨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제작진들이 출연진에게 '자칫 잘못하면 돈브라더즈에서 슈퍼전대 시리즈의 역사가 [[우주형사 갸반|끝날 수도 있으니 그만큼 책임감을 가지고 작품에 임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한 것 때문에[[https://youtu.be/QxM-X-gUlI8?t=270|#]] 돈브라더즈로 시리즈가 끝날지도 모른단 설이 와전되고 있으나, [[시라쿠라 신이치로]]가 해당 발언에 대하여 이는 어디까지나 배우들에게 각오를 주기 위한 말이었을 뿐, '''실제로 슈퍼전대가 시청률이나 수익만을 이유로 끝날 일은 없다'''고 답변했다. 사실 이는 일종의 전통으로 캐스팅 확정 후 주연 배우 일동과 제작진의 미팅에서 반드시 나오는 발언이다. 과거 라이더나 슈퍼전대에 출연한 주연 배우들도 인터뷰에서 "너희들이 제대로 안하면 이 시리즈가 끝날 수 있다"라는 발언을 들었다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어디까지나 긴장감 조성 및 앞으로 잘 해보자는 뜻일 뿐이다. * [[시라쿠라 신이치로]] 프로듀서가 젠카이저 방영 당시 인터뷰 때 고카이저처럼 역대 슈퍼전대의 슈트를 개조한다면 되돌릴 때 또한 꽤 많은 시간을 소모할 것이라 발언한 적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본작에서 사용하는 슈퍼전대의 아바타 체인지는 성별에 맞춰 슈트가 있는게 아니라 기존 슈트를 그대로 착용한다.[* 이 때문에 키지 브라더가 변신하는 핑크 전대 멤버는 전부 여성형으로 되어 있었으며 [[키지노 츠요시]]도 류소우 핑크로 변신하자 '잠깐, 이거 여성용이잖아' 라고 말한다. 그것도 모자라서 체형을 보면 아예 여성 슈트 액터가 연기하고 있다.] * 초반부는 팀원들끼리 대화한다기보다는 [[방백#s-4|방백]]으로 많이 이루어져 있다. * 전작 요소를 집어넣은 작품 중 유일하게 슈퍼전대란 명칭이 나오고 있지 않고 있는데, 아예 자신들이 쓰는 힘이 무엇인지 제대로 아는지도 불명이다. * 방영 전에 일찌감치 신전사 정보가 나왔던 전작들과는 달리 방영 시작 3개월 차에 접어 든 시점까지 관련 정보가 뜨지 않고 있다. [[https://www.youtube.com/shorts/6QQozRMqwJk]] 정확히는 아니지만 6번째 전사의 촬영장면이 유출되었고 이후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tj0969&logNo=222746658094&navType=by|돈 드래고쿠]]가 신전사의 변신체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 아주 황당하게도 12화가 방영도 안된 상태였던 5월 18일에 13화 예고편이 통째로 유출되었다.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가 작품 내외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팬들이 이탈하고 있는 상황에서 [[헤이세이 라이더]] 전반을 집필한 각본가 [[이노우에 토시키]]가 본작의 각본을 맡은 덕분에 본작에서 헤이세이 초기 가면라이더가 가진 요소를 품게됨으로써 슈퍼전대 팬덤을 비롯한 가면라이더 팬덤의 욕구마저 모두 충족시키고 있었다. 그러한 연유로 [[가면라이더 갤러리]]에서는 가끔씩 본작을 라이더로 취급하는(...) 황당한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 인간이 욕망에 뒤틀려 변하게 된 [[히토츠귀]]와 [[히토츠킹]]들과 검이 본체인 [[돈 무라사메]]를 제외하면, 본작의 악역들은 '''인간들 사이에서 모습을 숨기며 평상시에는 인간들처럼 생활한다.''' 물론 이들은 평상시에도 평범한 일상을 보내지는 않는다. [[노우토]]들은 인간의 모습으로 변장하여, 인간들 사이에서 [[소노이|그림을 그리거나 감상, 혹은 수집하면서 그 그림들 속에서 인간의 미숙함을 보고있거나]], [[소노니|연애에 흥미를 가져서 데이트를 시도하거나]], [[소노자|인간의 감정을 알고싶어서 인간의 감정을 따라하는 기행을 벌인다]]. 본편의 전투원인 [[아노니]]들은 아예 인간계에서 인간처럼 생활하며 숨어지낸다. [[쥬우토]]들도 빙의할 숙주를 찾은 뒤 그 숙주에 빙의하여 인간계에 숨어지낸다. [[쥬우토(학)|고양이 쥬우토]]는 [[사야마 켄지]]로 의태하여 고양이 모양 종이 접기를 하거나, 고기 냄새를 발견하면 무작정 쳐들어가는 등 여러 민폐를 끼치며 인간계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쥬우토(학)|학 쥬우토]]는 평상시에는 키지노 미호의 인격으로,생활한다. * 우연히 손에 넣은 선글라스를 쓴 일반인이 세계의 진실을 알고 인간 세상에 숨어든 이종족과 대항한다는 플롯은 오래 전 미국에서 소설과 만화, 영화로 나왔던 [[화성인 지구 정복]]에서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선글라스 착용 시에 쓸 수 있는 포털 이동 능력 역시 본 영화에서 외계인들이 사용하던 시계에 탑재된 능력을 그대로 가져온 것. * 총집편인 26화에서 30분 전 방영되는 [[가면라이더 리바이스|가면라이더 리○이스]][* 한국판은 삐처리도 안 해줌과 동시에 아예 세이버 첫 방영당시 최종화 전개가 스포되는것과는 차원이 다른 상황이 일어나게되는데 무려 [[https://blog.naver.com/ptj0969/222883002316|최종화 전개 일부분이 그대로 더빙이 되어 방영했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거대한 스포를 해버렸다!!!'''라고 한다.(...) 이후 방송에서는 제대로 삐처리가 되었지만 문제는 소리가 너무 작아서(...) 삐처리가 안된것 처럼 느껴진다.]가 마지막화라는 [[메타발언]]을 했다. 이 다음에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이렇게 된 이상 우리도 마지막화로 가자]]'''는 타로의 멘트가 압권. 심지어 본편에서는 아예 리바이스 최종화를 카이토가 직접 보고 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여담으로 [[고시키다 카이토]]는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세이버 + 젠카이저 슈퍼 히어로 전기|첫 등장]]을 본 전적이 있다. 리바이스를 보고 하는 말이 '''"어떤 이야기가 될까?"''' 돈브라더즈 26화에서 최종화를 보고는 '''"[[카이토 준이치|좋은 최종화였다.]]"''' 메타적으로 보면 고시키다 카이토는 리바이스의 [[https://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5/read/30629883?|시작과 끝을 모두 본 인물이 되는 것이다.]]] * 21~26화까지는 시리어스한 전개 대신 밝은 일상 전개 느낌의 에피소드들이 대부분이었는데, 공식홈페이지에 따르면, [[높으신 분들|윗선]]에서 7~8월 동안 본편에서 '''3가지의 행동은 절대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이후 9월부터 본격적으로 스토리가 진행된다고 밝혔다.[* 이후 27화부터, 다시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시리어스한 전개의 분위기로 되돌아갔다.] 윗선에서 당부했던 3가지는 다음과 같다.[* 어쩌면 시라쿠라 신이치로와 이노우에 토시키가 윗선이나 다른 제작진 등 다른 사람들이 커버해주는 일이 없으면 언제든지 폭주할 수 있는 성향이기 때문인 듯하다.] * '''인물들 간의 관계는 변화가 없어야 한다.''' * '''새로운 설정이나, 정보 추가를 시키는 것을 금지한다.'''[* 아무래도 [[돈 무라사메]]처럼 뜬금없이 나오는 캐릭터를 막기 위한 조건으로 보인다.] * '''중요 캐릭터를 사망 처리를 금지한다.'''[* 이미 [[모모이 타로]]를 죽인 이력이 있기에 또 일어날 것을 감안하여 조건을 건 것으로 보인다.] *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오랜만에 민간인 사망자들이 생긴 작품이다.''' 사실 다른 슈퍼전대 시리즈에서도 [[갱글러 괴인|민간인 사망자]]가 [[플레이어(동물전대 쥬오우저)|간간아]] [[월드(기계전대 젠카이저)/목록#s-1.2|나왔지만]] '''간접적으로 보여줬으며 직접적으로 사망했다고 말하거나, 보여주진 않았다.''' 현재 돈브라더즈 내에서 사망이 확정 혹은 사실상 유력한 민간인들은 총 "2명" 이다.[[고양이 쥬우토]]의 복제 대상인 버스 안내원, [[사야마 켄지]]. 더욱 절망적인 사실은, 본작에서 현재 사망한 민간인들을 살릴 방법은 '''"아예" 없다는 것이다.''' * 2022 일본 인터넷 유행어 TOP 100에서 '''4위'''를 달성했다. 또한, 작품 내 등장하는 괴인, [[히토츠귀]]는 검색어 50위에 올랐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분류: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