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세토 코르사 시리즈)] ||<-2>
'''{{{+1 {{{#white Assetto Corsa}}} {{{#F70400 Competizione}}} }}}''' [br] '''{{{#white 아세토 코르사}}} {{{#F70400 컴페티치오네}}}''' || ||||<:><#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ccbmw.png |width=100%]]}}} || || 개발 ||<(> 쿠노스 시물라치오니[* Kunos Simulazioni] || || '''유통''' ||<(> [[505 게임즈|[[파일:505 게임즈 로고.svg|height=33&theme=light]][[파일:505 게임즈 로고 화이트.svg|height=33&theme=dark]]]] || || '''장르''' ||<(> [[시뮬레이션 게임]]/[[레이싱 게임]] || || '''게임 엔진''' ||<(> [[언리얼 엔진 4|[[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svg|height=25&theme=light]][[파일:언리얼 엔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25&theme=dark]]]] || || '''플랫폼''' ||<(>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4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Xbox One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발매일''' ||<(> '''얼리엑세스''' [br] [[2018년]] [[9월 12일]] [br] '''정식 출시''' [br] [[2019년]] [[5월 29일]] (PC) [br] [[2020년]] [[6월 23일]] (PS4, XBOX) || || '''홈 페이지''' ||<(> [[https://www.assettocorsa.it/competizione/|영문 홈 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뮬레이션 [[레이싱 게임]] [[아세토 코르사]]의 외전격 작품. 아세토 코르사가 최소한의 장비만 있으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심 레이싱이라면, 컴페티치오네는 [[알팩터 2]]에 준하는 심 레이싱 게임이다. [[SRO 모터스포츠 그룹]] 독점 라이선스 게임으로 실제 [[GT 월드 챌린지]] 및 [[GT 시리즈 인듀어런스 컵]]에서 사용한 차량과 리버리가 그대로 등장, 심지어 게임 내 UI도 2019 시즌 GT 월드 챌린지 스킨과 가까운 것을 사용한다. 실제 대회에 출전했던 자동차, 리버리만 등장하며, CPU들이 실존하는 선수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번호도 실제 대회에서 사용한 번호가 부여되고, 리버리도 [[GT 월드 챌린지]]에 등장하는 팀들의 리버리 중에서 고를 수 있다. 실제 대회를 보고 저 차 한번 몰아보고 싶다는 유저들에겐 큰 호재라고 할 수 있다. || [youtube(3XQrPTPhgbU)] || || 2020년 6월 23일 콘솔에도 출시되었다. || == 요구 사양 == ||<-3><:>'''시스템 요구 사항''' || || || '''최소 요구 사항''' || '''권장 요구 사항''' || ||<:>'''운영 체제'''|| Windows 10 x64 20H2 [* 2020년 10월 업데이트 버전] || Windows 10 x64 21H2 || ||<:>'''프로세서'''|| Intel Core i5-4460 이나 AMD FX-8120 이상 || Intel Core i5-8600K 이나 AMD Ryzen 5 2600X 이상 || ||<:>'''메모리'''|| 4GB 이상의 RAM || 16GB 이상의 RAM || ||<:>'''그래픽'''|| GeForce GTX 460 2GB 이나 Radeon HD 7770 이상 || GeForce GTX 1070 8GB 이나 Radeon RX 580 8GB 이상 [br] 레이트레이싱 사용시 RTX 2070 이상 || ||<:>'''저장공간'''|| 50GB 이상 || 50GB 이상 || ||<-3> [[https://www.assettocorsa.net/competizione/|영문 공식 홈페이지]] || == 트레일러 == || [youtube(JTeEG8pAajs)] || || ▲ 2018 E3 얼리 액세스 트레일러 || || [youtube(CezuNmeKzWA)] || || ▲ 2018 E3 얼리 액세스 테크 데모 || == 등장 차량 == * [[FIA]] GT3 * 2013 [[애스턴 마틴 V12 밴티지]] GT3 * 2019 [[애스턴 마틴 V8 밴티지]] GT3 * 2015 [[아우디 R8]] LMS * 2019 [[아우디 R8]] LMS 에보 * 2022 [[아우디 R8]] LMS 에보 II * 2015 [[벤틀리 컨티넨탈]] GT3 * 2018 [[벤틀리 컨티넨탈]] GT3 * 2022 [[BMW M4]] GT3 * 2016 [[BMW M6]] GT3 * 2012 에밀 프레이 재규어 G3 * 2023 [[페라리 296 GTB|페라리 296 GT3]] * 2018 [[페라리 488 GT3]] * 2020 [[페라리 488 GT3]] 에보 * 2017 [[혼다 NSX]] GT3 * 2019 [[혼다 NSX]] GT3 에보 * 2018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 2019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에보 * 2023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에보 2 * 2016 [[렉서스 RC]] F GT3 * 2015 [[맥라렌 650S]] GT3 * 2019 [[맥라렌 720S]] GT3 * 2023 [[맥라렌 720S]] GT3 에보 * 2015 [[메르세데스-AMG GT]]3 * 2020 [[메르세데스-AMG GT]]3 에보 * 2015 [[닛산 GT-R]] 니스모 GT3 * 2018 [[닛산 GT-R]] 니스모 GT3 * 2016 [[포르쉐 911 GT3 R]] (991) * 2019 [[포르쉐 911 GT3 R]] (991.2) * 2023 [[포르쉐 911 GT3 R]] (992) * 2017 레이터 엔지니어링 R-EX GT3 * RACB GT4 * 2018 [[알핀 A110]] GT4 * 2018 [[아우디 R8]] LMS GT4 * 2018 [[애스턴 마틴 V8 밴티지]] GT4 * 2018 [[BMW M4]] GT4 * 2017 [[쉐보레 카마로]] GT4.R * 2012 [[지네타]] G55 GT4 * 2016 [[KTM]] X-보우 GT4 * 2016 [[마세라티 그란투리스모]] MC GT4 * 2016 [[맥라렌 570S]] GT4 * 2016 [[메르세데스-AMG GT]]4 * 2019 [[포르쉐 718 카이맨 GT4]] 클럽스포트 * GTC * 2017 [[포르쉐 911 GT3 컵]] (991.2) * 2022 [[포르쉐 911 GT3 컵]] (992) * 2015 [[람보르기니 우라칸]] 슈퍼 트로페오 * 2021 [[람보르기니 우라칸]] 슈퍼 트로페오 에보 2 * 2020 [[페라리 488]] 챌린지 에보 * TCX * 2020 [[BMW M2]] CS 레이싱 == 등장 서킷 == === 기본 === *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 (스페인) * [[브랜즈 해치]] (영국) * [[헝가로링]] (헝가리) * [[미사노 월드 서킷 마르코 시몬첼리]](이탈리아) *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이탈리아) * [[뉘르부르크링]] (독일)[* 노르트슐라이페 미포함] * [[폴 리카르 서킷]] (프랑스) * [[실버스톤 서킷]] (영국) * [[스파-프랑코샹 서킷]] (벨기에) * [[잔드보르트 서킷]] (네덜란드) * [[졸더르 서킷]] (벨기에) === 인터컨티넨탈 GT DLC === * [[마운트 파노라마 모터레이싱 서킷]] (호주) * [[라구나 세카 레이스웨이]] (미국) * [[스즈카 서킷]] (일본) * [[칼라미 서킷]]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20 GT 월드 챌린지 DLC === * [[이몰라 서킷]] (이탈리아) === 브리티쉬 GT DLC === * 올튼 파크 서킷 (영국) * 스네터턴 서킷 (영국) * [[도닝턴 파크 서킷]] (영국) === 아메리칸 트랙 DLC === *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미국) *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미국) * [[왓킨스 글렌 인터내셔널]] (미국) === 2023 GT 월드 챌린지 DLC === * [[리카르도 토르모 발렌시아 서킷]] (스페인)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플랫폼}}}''' || '''{{{#ffffff,#dddddd 메타스코어}}}''' || '''{{{#ffffff,#ddd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assetto-corsa-competizione, g=, score=7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assetto-corsa-competizione/user-reviews, y=, score=6.9)]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13791; font-size: 0.75em" [[PS4|{{{#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assetto-corsa-competizione, y=, score=7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assetto-corsa-competizione/user-reviews, y=, score=5.5)]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assetto-corsa-competizione, g=, score=76)]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assetto-corsa-competizione/user-reviews, r=, score=4.8)]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7861, title=assetto-corsa-competizione-, rating=strong, average=75, recommend=54)] 전작에 비해 너무 어려워졌다는 평가도 조금 보이지만, 대부분 심레이싱 유저들은 이번 작품에 대해 호평을 내놓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 카스 3|2020년에 접어들며 새로 출시되는 심레이싱 게임들이 대중성과 수익을 위해 무리하게 아케이드 성향을 지나치게 섞어서 내놓았다가 하나같이 전부 심레이싱 유저들에게 평점테러 먹고 폭망]]하면서 더 재평가 되는 상황. 무엇보다도 현존하는 심레이싱 게임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물리엔진의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작은 모드를 일일이 설치했던 야간 레이스와 날씨효과가 기본으로 탑재, 다양한 환경에서 레이스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사운드도 뛰어나다는 평가가 매우 많다. 독보적인 존재에 있다는 [[레이스룸]]을 압도할 정도. 엄밀히 따지고 보면 등장차량이 GT3 정도가 메인이지만, 이것저것 넣고 대충 만들어 완성도 떨어뜨릴 바에 특정 컨텐츠를 더욱 깊게 파고들어서 게임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다보니 실제 서킷을 주행하는 현직 프로 선수들도 높은 평가를 주었을 정도며, 대회가 없는 자투리 시간에 페이스를 유지할 겸 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다만 매드니스 엔진을 사용한 [[프로젝트 카스 2]], [[오토모빌리스타 2]]에 비해 VR 모드 최적화가 매우 좋지 않다. RTX3080 으로도 [[메타 퀘스트 2]] 에서 상옵을 겨우 구동한다. 여러가지 최적화 세팅이 필요한게 흠. 다른 단점이라면 서킷 수가 매우 적다는 것이다. SRO 라이선스를 받았지만 아시아 서킷은 소외된 채 유럽 서킷만 충실히 재현되어 있어 서킷이 10개 겨우 넘는데다 레이아웃도 고를 수 없어서 부족한 편이다. DLC를 사야 20개를 넘는다. 콘솔은 평가가 좀 낮은데, 버그가 많았는데다가, 레이싱 휠 지원이 늦어진 게 이유로 꼽힌다. [[분류:2018년 게임/앞서 해보기]][[분류:2019년 게임]][[분류:레이싱 게임]][[분류:시뮬레이션 게임]][[분류:이탈리아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DLSS 지원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