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VyaRolGv2xA)] ||싱가포르 해군의 아스터 미사일 요격 영상|| 아스터는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개발한 미사일이다. [[MBDA]] 프랑스와 [[MBDA]] 이탈리아, [[탈레스]]의 합작 회사인 Eurosam이 개발·생산하며, 유럽판 [[SM]]계열 미사일로 외부에 인식되고 있다. SM계열과의 차이점은 액티브 호밍이라는 것. 미사일 자체의 가격은 높아지지만 전체 시스템의 부피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사거리와 크기가 다른 아스터-15와 아스터-30이 배치되어 있다. == 제원 == || '''제원''' ||ASTER-15||ASTER-30|| || '''종류''' ||단거리 대공미사일 ||장거리 대공미사일 || || '''배치''' ||2001년 ||좌동|| || '''제작사''' ||Eurosam ||Eurosam || || '''중량''' ||298 kg ||450 kg || || '''길이''' ||4.2 m ||4.9 m || || '''직경''' ||180 mm ||180 mm || || '''엔진''' ||고체연료/2단 로켓 ||고체연료/2단 로켓 || || '''사거리''' ||1.7–15 km ||3–120 km || || '''최대 고도''' ||13 km ||20 km || || '''속도''' ||마하 3 (1000 m/s) ||마하 4.5 (1,400 m/s) || || '''탄두''' ||파편탄||파편탄|| == 상세 == 기능적으로는 단거리와 장거리를 모두 커버하는 표준형 대공 미사일이다. [[미카 대공 미사일|미카 미사일]]에 탑재된 레이더 능동유도 시커를 사용하기에 동시교전능력에서 [[SM-2]]나 [[ESSM]]에 비해 유리하다. [[FREMM급]]이나 [[호라이즌급]]은 최대 32 ~ 50여개 정도의 목표와 동시교전 할 수 있다고 한다. 아스터-15와 아스터-30은 본체는 동일하고 30이 보다 긴 부스터를 장착하고 있다.[[https://www.seaforces.org/wpnsys/SURFACE/Aster-SAM.htm|#]] 때문에 Aster 30은 Sylver A50 또는 A70 수직 발사 시스템(VLS)을 사용해야 하고, 미해군 Mark 41 VLS에도 삽입 가능하다. 제원상 직경은 180mm라고 하지만 사방에 날개가 여러 개 붙어있고 아스터-15의 부스터도 날개폭만큼이나 굵어서 전체적인 용적은 매우 크다. 참여한 업체로는 [[MBDA]]와 [[탈레스]]가 각각 66%, 33%의 비율로 지분을 가지고 있다. 2001년 실전에 배치되어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신형 군함에 장착되었다. 프랑스가 해외로 판매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리야드급 호위함]] 3척에도 아스터가 장착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https://www.star.com.tr/savunma/turkiyeden-samp-t-aciklamasi-surec-tamamlandi-haber-1615803/|#]] == 파생 및 개량 == ||
[[파일:ffCy4g9.jpg|width=400&height=350]]|| || 아스터-30의 발사 장면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Aster30.jpg|width=400&height=350]]|| || 아스터-30의 지대공 버전 SAMP/T || Aster-30의 경우 지대공 시스템인 SAMP/T 체계에 탑재되는 Block 1이 있으며, 업그레이드로 [[PAC-3]]처럼 Ku 밴드 시커 대신 Ka 밴드 시커를 탑재해 탄도탄 대응력을 높인 [[https://www.youtube.com/watch?v=JG2B-Ot9SL4|Block 1NT(New Technology)]]가 개발되어 있고[* 이 미사일이 적용된 지대공 체계는 SAMP/T NG로 불린다.], 중거리 탄도탄 요격 능력을 갖춘 Block 2의 개발이 논의되고 있다. 이 지대공 시스템은 [[프랑스]], [[이탈리아]], [[싱가포르]]가 채용하고 있다. 추가로 [[터키]]가 자국 방산업체 로켓산과 아셀산을 내세워 SAMP/T를 기반으로 탄도 미사일과 스텔스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공동생산하는 것을 타진하고 있다. 또한 Tenue de Situation Multi Plateformes(TSMPF)라는 이름의 프랑스판 [[CEC]]가 적용되어 [[SM-6]]와 같은 네트워크 교전 능력도 갖추었다. 이 능력은 2019년 9월, [[호라이즌급]]에서 Aster 30을 통해 처음 실증되었다.[[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19/09/french-navy-demonstrates-its-1st-cooperative-engagement-with-frigate-destroyer/|#]] == 운용국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프랑스]] - 함대공/지대공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3]] [[이탈리아]] - 함대공/지대공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함대공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3]] [[사우디아라비아]] - 함대공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3]] [[이집트]] - 함대공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3]] [[모로코]] - 함대공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3]] [[알제리]] - 함대공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3]] [[카타르]] - 함대공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3]] [[싱가포르]] - 함대공/지대공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3]] [[그리스]] - 함대공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 - 전쟁 중 프랑스에서 공여, 지대공 == 여담 == [[007 노 타임 투 다이]]에서 [[45형 구축함]]의 4번함 '드래곤'에서 이 미사일을 쏴서 사핀의 기지를 파괴한다. == 같이 보기 == [[미카 대공 미사일]] [[분류:대공 미사일]][[분류:프랑스군/미사일]][[분류:영국군/미사일]][[분류:이탈리아군/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