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전재판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 ||<-2>
{{{#ffffff '''{{{+1 아야사토 마이코}}}'''[br]綾里 舞子 | Misty Fey}}} || ||<-2>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Mugshot-misty.png|width=50%]] || || '''최초 등장''' ||[[역전, 그리고 안녕]] || || '''출생 연도''' ||1969년 or 1970년 || || '''나이''' ||(실종 당시) 33{{{#!folding [ 스포일러 ] '''[[텐류사이 에리스|향년 4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직업''' ||영매사 || || '''신장''' ||164cm || || '''가족''' ||친언니 [[아야사토 키미코]][br]친딸 [[아야사토 치히로]][br]친딸 [[아야사토 마요이]][br]조카 [[아야사토 하루미]] {{{#!folding [ 스포일러 ] 조카 [[미야나기 치나미]][br]조카 [[하자쿠라인 아야메]]}}} ||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카무라 카오리]][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윤은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Mugshot-misty.png]] [[역전재판 시리즈]]의 등장인물. [[아야사토 치히로]]와 [[아야사토 마요이]]의 어머니이며, [[아야사토 키미코]]의 동생이다. 쿠라인류 영매도의 당주[* 원문은 家元(가원)이라고 표기한다.]로, 마요이의 언급에 따르면 엄청난 영력을 지닌 [[영매]]사였다고 한다. 실사 영화에서의 배우는 요 '''키미코'''. ~~배우가 언니의 이름~~ === 이름의 유래 === 이름의 유래는 한자 그대로 '춤추는 아이(舞子, 마이코)'. 또는 '나(MY)'일 가능성도 있다[* 언니 키미코의 [[키미(인칭대명사)|키미]]가 한자 그대로 읽어도 '너'라는 뜻이기도 하다.]. 북미판과 프랑스판의 이름은 '미스티 페이(Misty Fey)'인데, 미스티 페이는 말 그대로 안개(Mist), 또는 성과 함께 읽어 신비주의자(Mystify)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높다. == 작중 행적 == === 과거 === [[파일:external/www.court-records.net/GyakutenSaiban3-517.png]] [[DL6호 사건]]의 수사가 난항을 겪자, 경찰에 의해 극비리에 초빙되어 사건의 피해자 [[미츠루기 신]]을 영매한다. 그런데 그녀가 지목한 [[하이네 코타로]]가 무죄로 풀려나자 세간으로부터 사기꾼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쓴다.[* 정확히는 경찰 측은 수사에 영매가 사용된 것이 알리기를 원하지 않아 이를 숨기려고 했으나 당시 마이코의 변호사였던 [[호시카게 소라노스케]]에게 뇌물을 주고 이 사실을 알아낸 [[코나카 마사루]]가 멋대로 기사화하고 마이코를 사기꾼이라 비난하면서 전국적으로 비난받게 된 것이다.][* 그녀의 능력은 진짜라 실제로 미츠루기 신의 영혼을 불러냈으나, 신 본인이 사건에 대해 오해를 하고 있었기에 본의 아니게 위증을 하고 만 것이다.] 이로 인해 정·재계에 걸쳐 막강한 힘을 발휘하던 쿠라인류 또한 하향세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래도 나루호도가 역전재판 1에서 DL6호 사건을 해결함에 따라 2편에서는 영매 의뢰도 들어오게 되고, 3편에서는 원래 정·재계에서 행사하던 영향력이 있었고 아직 남아있었던 만큼 점점 쿠라인류도 사기꾼의 오명에서 벗어나 힘을 되찾아 가는 중이라고 언급된다. 그러나 사건이 해결된 후에도 그녀는 돌아오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그녀는 스스로 크나큰 멍에를 뒤집어쓰고 [[쿠라인 마을]]을 나오게 되고, 행방불명된다. === [[역전재판 3]] === [[파일:화려한 역전 족자.jpg|width=300]] 제5화 <[[화려한 역전]]>에서 나루호도와 마요이가 [[하자쿠라인]] 별당 수행당에 갔을 때 족자에 그려진 모습으로 나온다. 그림 위에 그려진 문양은 쿠라인류 당주임을 알리는 증표라고 한다. [[아야사토 마요이|마요이]]는 문양을 보고 나서야 어머니임을 알았다며, 자신의 어머니의 얼굴조차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한다. [[나루호도 류이치]]가 15년 만에 [[DL6호 사건]]을 해결했지만, 여전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기에 가문에서 죽은 사람 취급을 받는 날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고 한다. [include(틀:스포일러)] ||<-2>
{{{#ffffff '''{{{+1 텐류사이 에리스}}}'''[br]天流斎 エリス | Elise Deauxnim}}} || ||<-2>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Elise_OA.png|width=50%]] || || '''최초 등장''' ||[[화려한 역전]] || || '''출생 연도''' ||1969년 or 1970년 || || '''사망 연도''' ||2019년 2월 6일[* [[역전재판 시리즈/연표|연표]] 기준.] || || '''나이''' ||향년 49세[* 연 나이로는 50세지만 생일이 불명인 데다 사망 시기가 2019년 2월로 아직 한 해의 초반이므로 생일이 안 지났을 확률이 높다.] || || '''직업''' ||동화 작가 || || '''신장''' ||164cm ||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모리모토 나미코[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양정화]][* [[카르마 메이]]와 중복.] || ||<|2> '''테마곡''' || 역전재판 3 테마곡[br]"텐류사이 에리스 ~ 다정한 멜로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_t_dhE1zIE, width=100%, height=80)]}}} || 나루호도 일행이 마요이의 영력 수련을 위해 찾아간 하자쿠라인에서 동화 작가 '텐류사이 에리스'로 모습을 드러냈으나 얼마 안 가 죽음을 당한다. 당시 그녀의 정체는 그녀가 죽고 나서까지 아무도 몰랐지만 계속 조사를 해나가며 그녀가 쿠라인류 당주의 부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게 드러나면서 아야사토 마이코로 정체가 밝혀진다. 예전의 사건으로부터 상당히 세월이 흘렀고 정체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이유도 있어서 애니메이션판 성우도 교체되었다. 그녀가 하자쿠라인에 오게 된 계기는 [[고도 검사]]가 키미코의 계략을 알렸기 때문이며, 키미코의 계략으로 죽을 위기에 빠진 마요이를 돕기 위해[* 그녀가 들고 있는 지팡이는 사실 [[지팡이칼]]이었는데, 고도 검사는 그 검이야말로 자식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하겠다는 어머니로서의 각오를 보여주는 거라고 말했다.] 하자쿠라인으로 온 것이다. 결국 [[아야사토 하루미|하루미]]가 [[미야나기 치나미|치나미]]를 영매하는 걸 막기 위해 대신 치나미를 영매한다. 하루미가 치나미를 영매하면 치나미가 그녀의 딸 [[아야사토 마요이|마요이]]를 살해할 것을 알았기 때문. 사실 하루미가 영매하는 것만 막으면 사건은 애초에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고, 그래서 사건이 일어나기 전 자기와 함께 밤에 동화책을 읽지 않겠냐고 미리 권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하루미는 스페셜 코스를 치르는 마요이에 대한 걱정 + 엄마(키미코)의 최후의 부탁 + 당주를 위한 일이라는 말에 속아 별당으로 영매를 하러 가서 실패했다. 하루미가 동화를 읽으러 오지 않자 조급해진 그녀는 하루미보다 먼저 치나미를 영매하게 된다. 마요이는 그녀에게 영매된 치나미로부터 습격당하고, 이 과정에서 영매된 치나미, 즉 마이코는 누군가의 칼을 맞고 살해당한다. 그리고 마이코가 죽어 의식이 끊어진 치나미는 분명 마요이가 반격으로 마이코를 단도로 찔러 죽인 거라고 확신한다. 사실 이는 마요이가 한 일이 아니고, 배후에서 협력하던 [[고도 검사]]가 뒤에서 마요이를 도와준 것이다. 마요이를 치나미로부터 지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다만, 굳이 죽이지 않아도 치나미를 영매 중인 마이코를 제압할 수 있었다. 애초에 치나미의 체격으로 고도 같은 건장한 남성과 정상적으로 치고받더라도 이기기 힘들 건데, 당시엔 고도가 기습까지 가능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고도가 사용한 것이 마요이의 지팡이 칼이었기에, 칼을 뽑지 않고 두들기기만 해도 제압할수 있었다. 이에 대해선 고도 본인도 마요이를 도와줘야겠다는 생각보다 복수심이 앞섰던 것이라고 인정한다.] 마이코가 살해당하자 영매당하고 있던 치나미는 의식이 끊어지고, 이 틈을 타 마요이가 치나미를 영매함으로써 그녀의 위협받던 목숨을 보전한다. 자세한 것은 [[고도 검사]], [[미야나기 치나미]] 문서를 참고. 이후 마요이가 혹시라도 누명을 쓰는 것을 막기 위해 고도는 지면에 떨어진 모든 혈흔을 없애기 위해 석등 근처의 눈을 모두 치워버리고, 그녀의 시신을 불타는 다리의 철근 로프에 묶어 던져 건너편의 [[하자쿠라인 아야메]]에게 건네주고 아야메는 그것을 받아 칠지도로 찔러 사건을 조작했다.[* 하지만 고도는 시력의 문제로 치나미가 최후의 발악으로 붉은색의 피로 쓴 석등의 "마요이"라는 메시지를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역시 피가 주변의 어디까지 떨어지지 않았는지 알 수가 없어서 석등 주위의 눈을 전부 치워버렸는데 결국 이게 고도를 진범으로 몰아붙이는 단서 중 하나가 되었다. 굳이 일부러 이런 짓을 할 사람은 하얀 바탕에 빨간색이 보이지 않는 고도밖에 없기 때문.][*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조금 상황이 다른데 석등에 묻은 단서를 누가 적었느냐는 얘기를 하고있는데 이때 고도는 네들 아까부터 뭔 개소리를 하는거냐면서 동문서답을 하는 상황이 연출되어 자신이 범인이라고 알려주는 웃지못할 상황이 벌어졌다.] 참고로 그녀의 행방불명은 아주 행방불명이라고 할 수 없었던 게, 작중 [[고도 검사]]의 언급에 의하면 경찰은 그녀의 움직임을 계속 감시하고 있었다고 한다. 경찰은 그녀의 영매 능력이 가짜가 아니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사건 해결을 영매에 의존했다는 것을 밝힐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의 누명을 벗겨주지 못한 듯하다. 후반부에 마요이를 지키기 위해 각오하는 모습이나 딸들의 어린 시절 사진을 간직하고 있는 것을 보면 과거에 그녀는 당주가 되기보다는 분가로 지내더라도 딸들과 행복하게 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다만, 치히로가 변호사가 된 이유 중 하나가 마요이와 당주 자리를 놓고 싸우기 싫어서라는 이유도 있던 것을 보면 그녀 역시 당주 자리에 욕심이 없던 건 아니었던 듯하다. 물론 마이코 본인이 정말 당주가 되고 싶어서 경쟁했다기보다는 딸들의 장래를 위해서 됐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언니인 키미코는 영력이 매우 부족해 당주가 되기에 부족했기에 어쩌다 보니 자신이 당주가 된 듯하지만 그 결과 키미코와의 사이는 파국이 났고 세상 사람들에게는 사기꾼이라며 욕먹고, 딸들하고도 오랫동안 헤어져있다가 결국 [[아야사토 치히로|장녀]]는 자신보다 먼저 죽어버렸으며 마이코 본인도 [[미야나기 치나미|다른 사람]]의 모습을 한 채 [[아야사토 마요이|막내딸]]의 눈 앞에서 살해당하는 비극을 맞이한다. == 기타 == * 첫 구상에서는 마이코의 정체에 대해 의외성을 주자는 뜻에서 [[비키니(역전재판 시리즈)|비키니]] 주지의 정체가 마이코였다는 설정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비키니의 디자인이 결정되고 나서 무산되었다고... * 이름의 에리스는 북미판에서도 보이듯이 원래는 [[엘리스]](Elise)라고 읽는 게 맞다. 이름의 유래는 [[모리 오가이]]의 소설 [[무희#s-4]]의 히로인인 엘리스로, 엘리스가 무희라는 점에 착안하여 무희 = 춤추는 아이 = 舞子(마이코)에서 유래되었다. 텐류사이는 별 뜻 없이 즉흥적인 작명이라고. 북미판의 성인 Deauxnim은 프랑스어로 "둘"을 뜻하는 Deux와 "이름"을 뜻하는 접미사 nym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두 개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뜻.[* 참고로 Deauxnim은 듀늠이라고 읽는다.] == 관련 문서 == * [[역전재판 시리즈/등장인물]] [[분류:아야사토 가문]][[분류:역전재판/등장인물]][[분류:역전재판 3/등장인물#bl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