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2>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아오모리현 선거구}}}}}}'''[br]{{{-1 {{{#ffffff 青森県選挙区}}}}}}}}}||}}}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ninsen_Aomori.svg|width=100%]]}}}|| || '''선거인 수''' ||<-2> 1,216,386명 (2021) || || '''구성 행정구역''' ||<-2> [[아오모리현]] || || '''의원정수''' ||<-2> 2인 || || '''국회의원''' ||<-2>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2025 개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다키사와 모토메 || ||<-2> 2028 개선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다나부 마사요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오모리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110만 명이다. 정수는 2인이며,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하는데, 이는 1947년의 [[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제1회 선거]]부터 한 번도 바뀌지 않은 것이다. 몇 번의 선거를 제외하면, 1회 선거때부터의 전통적인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강세 지역이다. 80년대 후반부터 비자민계가 간혹 당선되기도 했지만, [[민진당(일본)|민진당]] 후보가 당선된 2016년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4회 선거]]때의 2위 자민당 후보와의 표차는 1.31%p에 불과했기 때문에 여선히 보수색이 강하다고 평가받는다. == 현재 국회의원 == ||<:>{{{#ffffff 2025년 개선}}}||<(>[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다키사와 모토메(滝沢求)|| ||<:>{{{#ffffff 2028년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다나부 마사요(田名部匡代)|| == 역대 국회의원 == ||<:>'''{{{#ffffff 연도(회차)}}}'''||<:>'''{{{#ffffff 의원명}}}'''||<:>'''{{{#ffffff 소속 정당}}}'''||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86(14회)]]||<:>야마자키 타츠오||<:>[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89(15회)]]||<:>미카미 타카오||<:>[include(틀:무소속)]|| ||<:>1991(14회 보궐)[* 자민당 야마자키 타츠오 의원이 아오모리현지사 출마를 위해 참의원을 사퇴했다. 하지만 현직 지사였던 키타무라 마사야에게 밀려 낙선한뒤 정계에서 은퇴하였다.]||<|2><:>마쓰오 간페이||<:>[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국민회의)]||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2(16회)]]||<:>[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5(17회)]]||<:>야마자키 쓰토무||<:>[include(틀:신진당)]||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8(18회)]]||<:>다나부 마사미||<:>[include(틀:무소속)]||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1(19회)]]||<:>야마자키 쓰토무||<:>[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4(20회)]]||<:>다나부 마사미||<|2><:>[include(틀:민주당(일본))]||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7(21회)]]||<:>히라야마 고지||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0(22회)]]||<:>야마자키 쓰토무||<|2><:>[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3(23회)]]||<:>다키사와 모토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6(24회)]]||<:>다나부 마사요||<:>[include(틀:민진당(일본))]||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9(25회)]]||<:>다키사와 모토메||<:>[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22(26회)]]||<:>다나부 마사요||<:>[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아오모리현 선거구|{{{#fff 아오모리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민진당(일본)|[[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width=60]]]] || '''다나부 마사요[br](田名部匡代)''' || '''302,867''' || '''1위''' || || [include(틀:민진당(일본))][*사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추천][*공산 [include(틀:일본 공산당)] 지지][*생 [include(틀:생활당)] 지지] || '''49.19%'''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자키 쓰토무[br](山崎力) || 294,815 || 2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명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47.88%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SQ로고.svg|width=50]]]] || 미쿠니 유키[br](三國佑貴) || 18,071 || 3위 || || [[행복실현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DF; font-size: .9em" {{{#ffffff '''행복실현당'''}}}}}}]] || 2.93% || 낙선 || ||<|2> '''계''' || 총 투표 수 || 615,753 ||<|2> '''투표율'''[br]55.31% || || 선거인 수 || 1,140,629 || ===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아오모리현 선거구|{{{#fff 아오모리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키사와 모토메[br](滝沢求)''' || '''239,757'''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명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1.49%'''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릿켄 포함 하얀색.svg|width=50]]]] || 오다기리 토오루[br](小田切達) || 206,582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사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추천] || 44.36%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코야마 히다코[br](小山日奈子) || 19,310 || 3위 || || [include(틀:NHK당)] || 4.15% || 낙선 || ||<|2> '''계''' || 총 투표 수 || 465,649 ||<|2> '''투표율'''[br]42.94% || || 선거인 수 || 1,109,104 || ===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아오모리현 선거구|{{{#fff 아오모리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선거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다나부 마사요[br](田名部匡代)''' || '''277,009'''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사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추천] || '''53.45%''' || '''당선'''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이토 나오히토[br](齊藤直飛人) || 216,265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명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1.73% || 낙선 || ||<|2><#f66620> [[참정당|[[파일:참정당 심볼.svg|width=45]]]] || 츄조 에이타로[br](中条栄太郎) || 13,607 || 3위 || || [include(틀:참정당)] || 2.63%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사사키 아키라[br](佐々木晃) || 11,335 || 4위 || || [include(틀:NHK당)] || 2.19% || 낙선 || ||<|2> '''계''' || 총 투표 수 || 531,101표 ||<|2> '''투표율'''[br]49.49% || || 선거인 수 || 1,073,060 || 여당 자유민주당에서는 [[스모]] 선수 출신으로 아오모리현의회 의원을 지낸 사이토 나오히로 후보를 공천했다. 연립 여당인 공명당에서는 사이토 후보를 추천했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 참의원인 다나부 마사요 참의원을 재차 공천했다. 6년전과 마찬가지로 사민당의 추천을 얻어냈지만 작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패배 이후 민공 공투 기조가 약화되면서 공산당에서는 이번에는 별도로 다나부 후보를 추천하거나 지지하지 않았다. 그외 NHK당에서는 자영업자 사사키 아키라 후보를, 참정당에서는 부동산 회사 사장인 츄조 에이타로 후보를 각각 공천했다. 선거 과정에서 1인 선거구 중 유일하게 일찍부터 야당 우세 선거구로 분류되었고, 선거 유세 과정에서 [[아베 신조 피살 사건]]이 터지면서 보수 표심 결집이 일어났음에도 개표 결과 11.72%p 차라는 넉넉한 차이로 입헌민주당의 다나부 후보가 자민당 사이토 후보에게 승리를 거뒀다.[* 특히 다나부 후보는 저번 선거에서 완전히 이기지 못한 아오모리현 3대 도시인 [[아오모리시]], [[하치노헤시]], [[히로사키시]]에서 적게는 7% 많게는 38%의 격차로 승기를 잡았다.] 입헌민주당이 부진한 상황에서 다나부 후보가 선전한 이유는 지역 내 막강한 기반과 상대 후보의 지역기반이라고 보여진다.[* 다나부 후보의 경우에는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지낸 부친 다나부 마사미의 영향력이 지금까지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현에서도 2번째로 큰 도시인 하치노헤시의 기반이 있는 다나부 후보와 달리 사이토 후보는 인구 1만 2천명의 이타야나기정 출신이라는 점도 있다.] 입헌민주당이 승리한 단 둘뿐인 1인 선거구 중 한 곳이자[* 나머지 한 곳은 [[나가노현 선거구]]다.], 야당 전체로 봤을때 야당이 승리한 4개의 1인 선거구 중 하나다. 패배한 사이토 후보는 이후 2023년 현의원 선거에서 다시 출마를 하였으나 자신의 사직 후 보궐선거로 당선된 현직에게 약 30% 차이로 패배하였으며 이후 정치 은퇴를 선언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sBGKLnYR-k)]}}} || || '''{{{#FFF 당선에 환호하는 다나부 마사요 후보}}}''' || 여담으로 당선된 다나부 후보는 선거가 치러진 7월 10일 당일 생일로 [[생일|버스데이 당선]]이라는 영광을 얻었다. [[분류:선거구/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