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 '''{{{#fff 독일 제국군 육군 원수[br]{{{+1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br]August von Mackensen }}}'''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nton Ludwig August von Mackensen.png|width=100%]]}}} || || 이름 ||<(>'''Anton Ludwig August von Mackensen'''[br]안톤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외래어 표기법]]을 원칙대로 적용하면 '폰마켄젠'이 되지만 '마켄젠'으로 알려졌기에 관용적 예외가 인정된다.]|| ||<|2> 출생 ||<(>[[1849년]] [[12월 6일]] || ||[[독일 연방]] [[프로이센 왕국]] [[작센주]][br][[비텐베르크]] 하우스 라이프니츠 (Haus Leipnitz)|| ||<|2> 사망 ||<(>[[1945년]] [[11월 8일]] (향년 95세) || ||[[연합군 점령하 독일]] [[하노버]] 헤비호스트(Habighorst)|| || 자녀 ||장남 한스 게오르크 폰 마켄젠 차남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 복무 ||<(>[[프로이센 왕국]]군 (1869 ~ 1871년)[br][[독일 제국군]] (1871 ~ 1918년)[br][[국가방위군]](1918 ~ 1920년)|| || 최종 계급 ||<(>[[육군]] [[원수(계급)|원수]] (Generalfeldmarschall)|| || 주요 참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br][[제1차 세계 대전]]|| || 주요 서훈 ||<(>[[철십자 훈장 #s-5.4.3| 대십자 철십자장]][br][[푸르 르 메리트]]|| [목차] [clearfix] == 개요 == '''최후의 [[후사르]](Der letzte Hussar)''' [[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제국군]] [[장군]]으로 [[보불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나치당]]의 집권부터 몰락까지, 프로이센 군대가 겪은 두 차례의 흥망성쇠를 지켜본 인물.[* [[프로이센 왕국]] → [[독일 제2제국]] → [[바이마르 공화국]] → [[나치 독일]] → [[플렌스부르크 정부|패망]] [[ 연합군 점령하 독일|후 점령]]까지 체험한 인물이다.] == 생애 ==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 1849년 프로이센 왕국 작센 주 비텐베르크 근교 달렌베르크(Dahlenberg) 근교 하우스 라이프니츠(Haus Leipnitz)에서 태어났다. 농장의 관리인이었던 부친은 그가 가업을 잇기를 바라서 1865년에 할레에 있는 김나지움으로 보냈다. 1869년에 제2친위후사르연대(Leib-Husaren-Regiment Nr. 2)에 자원입대했고, 보불전쟁에 참전해 2급 철십자 훈장을 받고 소위로 승진하는 등 공을 세웠다. 제대하고 나서 한때 할레 대학을 다녔으나 1873년 다시 군에 들어가 [[빌헬름 2세]]의 군사사 교사를 맡기도 했으며 이때의 인연으로 빌헬름 2세와 친밀한 관계를 가졌으며 참모본부에서 복무(1891년~1893년)하면서 [[슐리펜 계획]]의 창안자인 [[알프레트 폰 슐리펜]] 백작에게 강한 영향을 받았다. 이후 제1친위후사르연대(Leib-Husaren-Regiment Nr. 1), 친위후사르여단(Leib-Husaren-Brigade), 단치히에 주둔하던 31사단을 지휘했으며 1908년에 제17군단의 군단장이 되어 대전 발발 직후까지 지휘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 || [youtube(-VKYp0U01p0)] || || 최후의 후사르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 [[파일:FsyWm_lXoAAJiI0.jpg|width=500]] || ||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발행된 엽서의 마켄젠 초상화. || 제 1차 세계대전 시기에 그는 그의 참모장 [[한스 폰 젝트|젝트]]와 함께 독일 제국의 전략가로 명성이 높았다[* 물론 현대 한국 대중들~~이라고 해봤자 1차대전에 관심 가지는 사람은 소수 역덕이나 밀덕 정도지만~~에게 있어서 이름이라도 잘 알려진 이는 [[파울 폰 힌덴부르크]]나 [[에리히 루덴도르프]], 붉은 남작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정도]. 1914년 8월 [[타넨베르크 전투]]에 참전하고, 그 해 11월 제9군 사령관이 되어 [[세르비아 왕국]]을 정복했다. 이듬해 4월 16일, 그의 자리를 [[레오폴트 막시밀리안 요제프 마리아 아르눌프]]에게 넘기고, 제11군 사령관으로 옮겨 [[고를리체-타르노프 공세]]를 실시하여 러시아 전선을 돌파[* 그러나 애초 [[동맹국]]이 목표로 했던 러시아 주력군의 포위섬멸은 러시아군이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 마켄젠을, 그리고 나레프 강 유역에 힌덴부르크를 오랫동안 묶어놓는데 성공하면서 달성되지 못했다.], 이 전공으로 원수로 승진했다. 이후 세르비아 전역에서 마켄젠 집단군(독일 제11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3군, 불가리아 제1군)을 지휘하여 세르비아의 저항을 분쇄하는 데 성공했지만 세르비아 왕국군의 잔존전력이 [[알바니아]]로 퇴각하는 것을 저지하지 못했다. 그 결과 세르비아군은 프랑스에 의해 재무장되어 발칸 전선에 재투입된다. 1916년에 [[루마니아 왕국]]이 참전하자 1개월만에 루마니아를 탈탈 털고는 종전 때까지 루마니아 군정 총독으로 있었다. === 전간기 그리고 말년 === [[파일:external/ww1blog.osborneink.com/mackensenhitler.jpg|width=500]] 마켄젠의 90세 생일을 축하하러 온 [[아돌프 히틀러]]와 함께. 좌측 프로이센 기병원수 예복을 입은 노인이 마켄젠. 1918년의 휴전협정 이후 헝가리와 슬로바키아에 억류되어 있다가 이듬해 귀국하였고, 1920년에 전역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에 반대하였으나 [[파울 폰 힌덴부르크|힌덴부르크]] 등처럼 정계에 진출하지는 않았다. 1924년까지는 정치에 별로 관심이 없었지만, 이후 마음을 바꿔 전쟁영웅의 이미지로 우파정당들을 지지했다. 1932년 대통령선거에서는 [[아돌프 히틀러]] 대신 [[파울 폰 힌덴부르크]]를 지지하였다. 1933년에 [[헤르만 괴링]]은 그를 프로이센 주의회 의원으로 임명했다. 나치 시대에 그는 군주제 지지자로 남아 있었으며 간혹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그의 [[기병]] 원수 군복을 입고 등장하기도 했다. [YouTube(N327B21m_OM)] ▲ 1936년 87세 나이에 슈톨프[* 현 폴란드 스웁스크]에서 연설하는 마켄젠 (39초~). 1934년 [[장검의 밤]] 당시 [[쿠르트 폰 슐라이허|슐라이허]]가 숙청당하자 장군참모협회에서 히틀러와 괴링에 대해 비난연설을 했다. [[너무나도 많은 돈이었다|이에 히틀러는 프로이센 브뤼소의 토지 1,250 헥타르를 줬고, 매수된 마켄젠은 연회를 열어 히틀러를 초대해 화답했다.]][* 마켄젠 원수는 1차 대전의 뛰어난 명장이고 왕당파의 거두였으므로 그를 죽인다면 국방군 내 왕당파([[융커]])의 복종을 받지 못하게 된다는 계산 하에 그를 달랜 것이다.] 그 땅은 원래 호엔촐레른 왕가 사유지였기 때문에 네덜란드에서 유배 중이던 [[빌헬름 2세|카이저]]는 불쾌감을 드러냈다.[* Black Marks: Hitler's Bribery of His Senior Officers during World War II, NJW Goda[[https://m.dcinside.com/board/arm/1161093|번역본]]] [[파일:former-prussian-german-field-marshall-august-von-mackensen-during-his-95th-birthday-1944.jpg]] 1944년 95세 생일을 맞아 찍은 마켄젠의 사진. [YouTube(lBvHLIeEbeE)] 95세 생일 필름. 1945년 독일의 패색이 짙어지자 독일에 입성한 영국군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기도 하였으나, 곧 풀려나 11월 8일 96회 생일을 얼마 앞두고 [[하노버|하노버 주]]에서 사망하였다. == 가족 == 아우구스트는 첫 아내 도르테리아 폰 혼과 결혼하고 그녀가 죽은 뒤 레오니 폰 데어 오스텐과 결혼해 4남 1녀를 두었으며 다 도르테리아의 자녀였다. 그의 아들 중 [[https://en.wikipedia.org/wiki/Hans_Georg_von_Mackensen|한스 게오르크 폰 마켄젠]]은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의 딸 비니프레트 폰 노이라트와 결혼했고, [[나치당]]에 가입하여 외교관으로 활동했고, 친위대 [[중장]] 계급도 부여받았다. 3남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1889-1969)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군 장성으로 기병 병과를 선택하여 상급대장까지 진급했고 동부전선과 이탈리아에서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종전과 함께 체포되어 로마에 소재했던 영국 군사법원에 의해 전쟁범죄로 유죄가 인정되어 사형선고를 받았다. 1947년 10월 2일부로 그의 형량은 21년 징역으로 감형되었고 5년간 복역한 후 1952년 10월 2일에 석방되었으나 다른 나치 시절 장성들처럼 서독 군대에 참여하지 않고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행정구역)|주]] 노르토르프 근처 알트 뮐렌도르프에서 죽을 때까지 은둔생활을 했다. == 기타 == * 예의를 갖춰야 할 자리가 있으면 항상 프로이센 기병 예복 차림을 하는 걸로 유명했다. [[프로이센 왕국]]이 [[독일 제국]]으로 바뀌고 [[기병]]이 [[자동차]]와 [[전차]]로 바뀌었으며 다른 원수들이 모두 시대의 변화에 따른 예장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그만큼은 항상 프로이센 기병 예복을 버리지 않았다. 당장 위의 사진들에서도 전부 프로이센 기병 예복을 입고 있다. * 마켄젠이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보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힌덴부르크보다 2년 늦게 태어났고(1849년생) 보불전쟁 당시에 자원입대까지 했던 사람이 힌덴부르크보다 12년을 더 살아 나치 독일이 패전하고 2차 대전이 종전되는 '''1945년''' 후반까지 살았다.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이 계획한 [[마켄젠급 순양전함]] 1번함 마켄젠은 이 사람의 이름에서 왔다. == 대중매체 == * [[발리언트 하츠: 더 그레이트 워]]에서 등장하는 악역이자 [[페이크 최종보스]]인 폰 도르프 남작의 모티브로 보인다. 수염의 모양과 토텐코프(해골 문양)가 그려진 프로이센 기병 모자를 보면 거의 확실하다. [[A7V]] 전차 투입에 본인이 직접 들어가서 조종하나 주인공 프레디에게 대파당하고 흠씬 두들겨 맞고 보직 해임당하고 좌천된다.[* 남작 본인에게는 죽음보다 더 치욕스러운 결말이라고 한다.] 이렇게 보면 대우가 박해보이지만 프랑스 장군 [[로베르 니벨]]은 작중에 인간말종 장교의 모티브로 나오는 걸보면 그다지 편향된 대우는 아니다.[* 이 장교는 이름도 대놓고 니벨이고 나중에 또다른 주인공 에밀에게 삽으로 얻어맞아 죽는다.] *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는 시나리오 시작 당시 독일 제국의 육군사령관으로 있다가 은퇴 이벤트가 뜨며 [[리타이어]]한다. * [[Hearts of Iron IV]]에서 [[독일국(Hearts of Iron IV)|독일]]을 플레이 할시 국가 중점 히틀러 축출을 진행하여 [[오스터 음모사건|히틀러에 반기를 들면]][* 다른 것도 아니고 무려 첫 중점인 '''[[라인란트 재무장]]의 대체 중점'''이다(독일 AI는 역사적 진행시 무조건 라인란트를 가장 먼저 찍는다.). 마켄젠을 중심으로 한 카이저 충성파 및 융커 장성들이 라인란트 재무장에 반발해 휘하 병력 및 반나치 민병대를 이끌고 독일 서부에서 봉기하는 설정이며, 이에 맞서기 위해 히틀러 역시 슈츠슈타펠을 무장시키고 [[요제프 디트리히|친나치]] [[파울 하우서|및]] [[발터 모델|잔류파]] [[발터 크뤼거|장성]] [[무장친위대|휘하 병력들]]을 이끌고 방어에 나선다. 한편 라인란트는 전쟁/내전이 발생할 시 자동으로 비무장이 취소되어 이 루트를 타도 라인란트 재무장은 가능해진다. 참고로 슈츠슈타펠의 장성들 중 [[펠릭스 슈타이너]]는 유일한 군사정부 측 장군으로 나온다. 56년으로 가는 길 모드에서는 만슈타인과 구데리안도 히틀러 측 장군으로 나오고 내전 난이도도 바닐라보다 높다.] 독일이 둘로 나눠져 내전이 시작되고 마켄젠이 독일 군사정부의 지도자로 나온다. 고증대로 군주제 지지자로 나오며 이후 다시 [[빌헬름 2세|황제]]를 데려와 [[독일 제국]]을 만들거나 자유 선거제를 도입하고 [[빌헬름 황태자|빌헬름 3세]]를 즉위시킨 후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국]]을 수립할 수 있다.[* 위에 썼다시피 카이저 충성파와 융커 장성들이 나치 독일의 막나가는 정책에 반발하여 독일 내전을 일으켜 지대한 역할을 했으며, 자유 선거 재도입 직후 중점인 왕당파와의 협상에서 이들이 만족할 만한 보상을 제시해주고 부활한 민주정에 충성하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 있다. 황제가 국가원수의 자리에 앉는 것은 이 게임의 대체역사 루트에서 필연인 것.] 하지만 핵심영토 공방 20%인 마켄젠의 성능이 좋다보니 전쟁중엔 웬만해서는 마켄젠을 지도자에 놓는다. 오죽하면 죽었어도 시체라도 지도자 자리에 앉혀야 한다는 소리가 나온다.[* 공격, 방어 보너스는 핵심영토에서만 적용되기 때문에 내전에서 이기고 나서 타국을 공격하는 입장이라면 그다지 매력이 없다. 핵심영토 공방 20%를 준 것은 플레이어가 독일 내전을 쉽게 이기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지 딱히 패러독스가 마켄젠을 고평가했기 때문은 아니다. 하지만 내전으로 인해 약해진 독일 본토가 침공받을 상황이라면 저 공방 20%는 매우 크게 다가온다.] *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에선 주인공이 세운 민주 독일과 나치당이 한참 내전을 벌일 때, 왕당파와 함께 [[빌헬름 2세|카이저]] 복고 쿠데타를 일으켜 독일 내전을 [[삼파전]]으로 만든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융커들만의 사조직이었던 왕당파는 독일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했고, [[삼일천하|결국 삼일만에 진압]]. 마켄젠 본인은 카이저를 배신하고[* 이 세계관에서도 나치를 비판하지 않는 대가로 옛 독일 황가의 사유지를 받았다고 한다. 왕당파와 함께 한 것도 이걸 만회하고, 다시 한번 제국의 공신으로 대접받기 위해 벌인 짓이다.], 나치를 배신하고, 민주 독일을 배신한 [[위안스카이|처지]]가 되어 허탈하게 웃다가 자결한다. * [[루마니아]]에서 1999년에 만든 전쟁 영화 'Triunghiul mortii(죽음의 [[트라이앵글]](riangle of Death) 이란 뜻이다.)'에서 잠깐 등장한다. 실제 인물과 딱히 닮다고는 못할 배우가 연기했지만, 특유의 털모자와 콧수염은 잘 재현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13izbOqrk9o|#]] [[분류:1849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의 귀족]][[분류:독일의 원수]][[분류:작센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