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게로우 프로젝트/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우터 사이언스.png|width=100%]]}}} || ||<-3>
{{{#fff,#373a3c '''{{{+2 アウターサイエンス}}}'''[br](Outer Science)[br](아우터 사이언스)}}} || || '''가수''' ||<-2> [[IA -ARIA ON THE PLANETES-|IA]][* Mekakucity M's에서는 [[ONE -ARIA ON THE PLANETES-|ONE]]가 불렀다.] || || '''작곡가''' ||<|3><-2>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진(프로듀서)|[[파일:진로고B.png|width=80]][br]{{{#373a3c 진(자연의 적P)}}}]]}}} || || '''작사가''' || || '''조교자''' || || '''영상''' ||<-2>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시즈(일러스트레이터)|[[파일:시즈로고B.png|width=80]][br]{{{#373a3c 시즈}}}]]}}} || || '''페이지''' ||<-2> [[http://nicovideo.jp/watch/sm2172081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HswIHVN5D4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투고일''' ||<-2> 2013년 8월 31일 || || '''주인공'''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82b24; font-size: 1em" [[눈이 맑아지는 뱀|{{{#fff XXX}}}]]}}}}}}''' || || '''달성 기록''' ||<-2>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 || ||<|2> '''[[VOCALOID 오리지널 곡/노래방 수록 목록|{{{#ffffff,#fff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 43694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 28164[* 히든곡] || ||<-5> {{{#fff '''[[카게로우 프로젝트|{{{#fff 카게프로}}}]]의 수록곡'''}}} || ||<-5> '''투고 순서''' || || [[해질녘 예스터데이]] || → || [[아우터 사이언스]] || → || [[서머타임 레코드]] || ||<-5> '''회차 순서''' || || [[아야노의 행복이론]] || → || [[아우터 사이언스]] || → || [[마리의 가공세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계속 돌아가는「비극」의 이야기. >''「그럼 다음의 다음의 다음에, 또 만나자」'' >'''「눈은 입만큼 말을 하는 이야기」''' 아우터 사이언스는 '''여름의 마지막 날'''[* 이 곡이 음악편의 최종화임을 생각하면 이것이 우연이 아님을 직감할 수 있다.]인 2013년 8월 31일 [[니코니코 동화]]에 업로드된 곡으로, 진의 [[카게로우 프로젝트]] 14번째로 투고된 곡이며, 주인공은 '''[[눈이 맑아지는 뱀|쿠로하]]'''. 노래의 영상은 [[시즈(일러스트레이터)|시즈]]가 제작했다. 카게로우 프로젝트 음악편의 마지막 화이다. 진의 마이리스트 설명문에도 最終話(최종화)라고 쓰여 있다. 장르는 [[스피드코어]] 록. == 상세 == 곡 PV가 시작하면서 몇 가지 문구가 나오는데, 각각 시작할 때 쿠로하의 "[[세토 코스케|이 녀석]]을 사랑한다면, 괴물의 힘을 사용해라(こいつが愛おしいのなら化け物の力を使え)", 마리의 "네가 없는 세상 따위 이젠 싫어",[* 화면이 깨진 연출이 있어 해석하기 어렵다. --어떻게 찾은 거냐--][* 또한 마리의 문구 이전에 메카쿠시단 단원들이 스쳐 지나가는데, 단원들의 옆에 쓰인 글자들은 그 단원이 소유한 [[10마리의 뱀|능력]]이다. 특이한 점은 무능력자인 신타로만 XX로 표기된다.] 음악 : 진 PV : 시즈 후에 나오는 "ROUTE : BADEND", "Shall We Start?"이다. 대놓고 루프세계 설정임이 밝혀졌다(...).[* 또한 노래 시작 부분인 0:10 장면과 노래의 마지막인 3:31의 장면이 서로 같다. ] 진의 세컨드 앨범 메카쿠시티 레코즈의 초회 특전 스페셜 북에 수록된 [[마리의 가공세계]]의 코믹스의 내용에서는, 쿠로하가 광기에 가득 찬 표정으로 마리의 눈앞에서 키도, 카노, 세토를 죽인다. 그러나 세토의 목을 조르는 것을 보고 메두사로 각성한 마리에 의하여 돌이 된다. 이후 마리는 모종의 이유에 의해 다시 루프를 실행하려 한다. 쿠로하는 곡 내내 마리에게 "괴물의 힘"을 사용하라고 종용하는데, 아마 이 "괴물의 힘"은 아자미가 마리에게 루프의 총괄 능력으로서 넘겨준 "눈을 합하는 능력"으로 추정된다. 이 가사의 내용과 [[마리의 가공세계]]의 가사의 내용, 또 스페셜북 코믹스의 내용으로 미루어서 팬덤이 '''추측'''하기로는 "눈을 합하는(맞추는) 능력"은 사실 "아지랑이 데이즈"에 진입하며 뒤집어씌워진, 뱀이 준 눈에 깃든 능력을 한곳으로 회수하는 것이며, 다시 말해 주어진 능력을 회수한다는 것은 모두 죽게 된다는 것. 그래서 마리가 "눈을 합하는 능력"을 쓰지 않고 버티고 있으니 얼른 루프를 이어 받으라고 쿠로하라는 존재가 코노하의 몸을 빌어 나타나 마리에게 "눈을 합하는 능력(=괴물의 힘)"을 사용하라고 종용하지만 마리가 끝까지 말을 듣지 않자 결국 메카쿠시단 모두를 죽인다. 마지막으로 세토까지 죽이려고 들자 마리는 "눈을 합체시키는 능력"을 사용하여 진정한 메두사로 각성, 쿠로하를 돌로 만들게 된다[* "눈을 맞추는 능력"밖에 가지고 있지 않았던 마리는 상대를 잠시동안 멈추게 하는 정도밖에 하지 못했다.]. 결국 어느 쪽을 선택하든 모두 죽게 되는 배드 엔드로 끝나기에, 마리는 다시 한번 더 루프를 실행하게 된다는 이야기. 단, 어디까지나 추측이니, 판단은 각자의 몫. 그나마 확실한 것은 마리가 시간을 되돌린다는 것밖에 없다. 쿠로하가 마리의 눈앞에서 세토의 시체를 끌고 가는 장면이 있다.[* 수정 전에는 '''왜 세토를 끌고 갔는지는 불명'''이라고 되어있었지만, 아마도 마리를 메카쿠시단에 가입시킨 사람이 세토이기 때문일 것이다.] 쿠로하가 마지막에 "다음에도 다음에도 비웃어주겠다"라며 팔을 뻗는 부분이 있는데, 스토리보드 북의 시즈 인터뷰에 따르면 이때 쿠로하가 밟고 있는 검은 것들은 루프를 수없이 반복한 끝에 나온 메카쿠시단의 시체들이다. 쿠로하와 [[메카쿠시단]]이 대치하는 장면은 [[로스타임 메모리]]에도 나오는데, 이것으로 보아 어느 시점에서 루트가 갈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S_BkNcCAAAMMQj.png|width=100%]]}}} || || '''「[[로스타임 메모리|{{{#fff 로스타임 메모리}}}]]」의 루트''' || [[로스타임 메모리]]의 루트에서는 신타로와 마리, 키도, 모모가 있다. 여기서의 엔딩은 쿠로하가 자살하려는 것을 신타로가 대신 맞고 쓰러진다.[*스포일러 이때 카노, 세토, 에네(타카네)가 없는데, 이들은 소설 5권 후반의 팀이다.즉,이 셋이 신타로 일행에게 진실을 말하기 전에 쿠로하가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다] [* 소설과 PV내용에 차이가 있는데, 소설에서는 완전히 잠식당하기 전의 쿠로하가 자살하려는 부분이 없고 신타로가 죽는 이유가 다르다. 여기서는 총을 맞아 죽었고 소설에서는 쿠로하가 머리를 붙잡고 잡아 찢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S_BqDACQAAkEFm.png|width=100%]]}}} || || '''「아우터 사이언스」의 루트''' || 아우터 사이언스에선 배드 엔드. 신타로가 없고, 마리, 키도, 세토, 카노, 모모가 있다. 여기서의 엔딩은 쿠로하에 의해 마리를 제외한 모두가 사망, 이 이후로 [[마리의 가공세계]]로 이어지는 듯하다. 여기서 신타로와 에네가 없는 이유는 로스타임 메모리의 2절에 나오는 히키코모리 상태 루트여서 그렇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실제로 쿠로하가 메카쿠시단을 살해하는 장면 나열 중 창에서 빛이 새어 들어오는 방 [[키사라기 신타로|침대에 걸쳐진 다리]] 및 [[에네|아무것도 비추지 않는 모니터]]가 스쳐가는데 이 부분이 로스타임 메모리 2절에서 신타로가 에네를 죽이고 자살한 직후의 풍경과 일치한다. 공식적으로 악곡군은 ROUTE XX에 해당하며 여기서 신타로는 자살한 것으로 취급된다.[* 연표에 "신타로, 에네를 살해 후 자살"이라 적혀있다.] 여담으로 끝에 시간을 돌리는 부분의 영상은 메카쿠시단이 쿠로하를 만나는 장면[* 에네, 신타로 제외], 타카네와 신타로가 총 게임을 하면서 서로 화를 내고 있고 뒤에 [[타테야마 아야노|두명의]] [[코노하|아이들]]이 보고 있는 장면, 히비야와 히요리가 강에서 가재를 가지고 노는 장면, 누군가가[* 아야카로 추정된다.] 책으로 켄지로의 머리를 때리는 장면, 시온이 책을 읽는 장면, 아자미와 츠키히코가 시온을 목마 태우고 걷는 장면, 아자미의 탄생을 뜻하는 듯하다. VOCALOID 전당 입성은 4시간 25분 만에 이루어졌고, '''[[아야노의 행복이론#s-2.3|1위]]'''와는 약 14분 차이로 역대 2위. ~~심지어 1위도 카게프로 곡이다~~ 2014년 3월 [[금영엔터테인먼트|금영노래방]]에 수록되었다. 번호는 43694. [[TJ미디어]]에 히든곡으로 수록되었다. 곡번 28164. 앨범 MEKAKUCITY M's에서는 [[ONE -ARIA ON THE PLANETES-|ONE]]가 불렀으며 애니메이션 무비 영상이 공개되어 있다. [include(틀:카게로우 프로젝트 2019 음악 총선)] 카게프로 2019 악곡 총선거에서 5위를 차지했다. 쿠로하를 뭐라 불러야 할지 몰라서 우물쭈물하는 카노&에네와 쿠로하의 광기가 압권(...) === [[메카쿠시티 레코즈]]에서의 설명 === ||
'''「이 이야기는 픽션 따위가 아냐.[br]그러니, 너희들의 그런 『비극』은[br]하품이 나올 정도로 바보 같아」''' 예를 들면 어른이 어린아이에 대해서 「유치하다」라고 느끼는 순간이 있듯이, 가끔씩, 사람은 위에서 다른 것들을 무시할 때가 있습니다. 어린아이에게는 장대하고 장절한 일이라도, 어른이 보면 하찮고 쓸모없는 일. 그러나, 그런 어른에게도 위에서 내려다보는 존재가, 있다면. 이 곡은 모든 것을 내려다보는 괴물의 곡입니다. 사람의 생명을, 마음을, 만남을, 생각을, 죽음을 모든 것을, 마치 책 안의 사건과도 같이 「바보 같다」고 내려다보는, 그런 존재가, 혹시 누군가의 일상을, 녹말처럼 주무르기 시작했다면. 어쩔 도리 없이 계속되는 비극을, 마음껏 즐겨주세요. || === 달성 기록 === ||<#d9e5ff,#50545e><(> * 2013년 11월 17일에 [[VOCALOID 전설입성]] * 2015년 6월 7일에 200만 재생 달성 * 2018년 6월 19일에 300만 재생 달성 * 2021년 7월 28일에 400만 재생 달성 || ==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sm21720819, width=640, height=360)]}}}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swIHVN5D4o, width=640, height=360)]}}}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f2RRq-r9I, width=640, height=360)]}}}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ONE -ARIA ON THE PLANETES-|ONE]] ver. AMV [* TeddyLoid 어레인지.]''' || == 미디어믹스 == === 앨범 수록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TMkm2c0hL.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번역명'''}}} || [[메카쿠시티 레코즈]]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원제'''}}} || [[MEKAKUCITYRECORD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트랙'''}}} || 07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발매일'''}}} || 2013년 5월 29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링크'''}}} || [[http://nicovideo.jp/watch/sm2172081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HswIHVN5D4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내레이션 == [[메카쿠시티 액터즈]] 보컬&사운트 컬렉션 앨범인 MEKAKUCITY M's에서는 [[ONE -ARIA ON THE PLANETES-|ONE]]에 의해 새롭게 커버되어 수록되어 있는데, 초반부에 1분여에 달하는 내레이션이 추가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눈이 맑아지는 뱀이 아자미를 꼬드기는 듯한 내용. --팬들은 싫어한다.-- ||
{{{#ffffff,#000 永きに惑いし、我が主よ}}} || || 오래도록 헤멘 나의 주인이여 || || {{{#ffffff,#000 うら深き悲しみに揺蕩う、哀れな子羊よ}}} || || 깊고 깊은 슬픔에 흔들리는 불쌍한 어린 양이여 || || {{{#ffffff,#000 ようこそ、我が欲念の正殿へ}}} || || 잘 오셨습니다. 나의 욕념의 정전에 || || {{{#ffffff,#000 ここは、祈りの終着点}}} || || 여기는 기도의 종착점 || || {{{#ffffff,#000 あなたが一つ望むなら、望みは一つの未来となり}}} || || 당신이 하나를 소망하면 소망은 하나의 미래가 되고 || || {{{#ffffff,#000 あなたが一つ願うなら、願いは一つの世界となる}}} || || 당신이 하나를 기원하면 기원은 하나의 세계가 됩니다 || || {{{#ffffff,#000 悠久を彷徨いし、我が主よ}}} || || 유구를 헤매는 나의 주인이여 || || {{{#ffffff,#000 あなたに叡智(えいち)を授けましょう}}} || || 당신에게 지혜를 드리지요 || || {{{#ffffff,#000 その御心に憐憫の情あらば、我が叡智は一つの道となり、}}} || || 그 마음에 연민의 정이 있으면 나의 지혜는 하나의 길이 되고 || || {{{#ffffff,#000 愛する者の行く末を、照らす光となるでしょう}}} || || 사랑하는 자의 장래를 비출 빛이 되겠지요 || || {{{#ffffff,#000 永きに惑いし、我が主よ}}} || || 오래도록 헤맨 나의 주인이여 || || {{{#ffffff,#000 あなたの願いを叶えましょう}}} || || 당신의 기원을 이뤄드리지요 || || {{{#ffffff,#000 あなたの望みを叶えましょう}}} || || 당신의 소망을 이뤄드리지요 || || {{{#ffffff,#000 あなたが望む永遠を}}} || || 당신이 바라는 영원을 || || {{{#ffffff,#000 叶える術を授けましょう}}} || || 이룰 수단을 드리지요 || == 가사 == ||
{{{#ffffff,#000 矮小く惨めに生きた生命が}}} || || 치이사쿠 미지메니 이키타 세이메이가 || || 작고 비참하게 살았던 [[츠키히코|생명]]이 || || {{{#ffffff,#000 死んではドアを叩くでしょう}}} || || 신데와 도아오 타타쿠데쇼우- || || 죽어선 문을 두드리겠지 || || {{{#ffffff,#000 小さな主は見兼ねる}}} || || 치이사나 아루지와 미카네루 || || [[아자미(카게로우 프로젝트)|작은 주인]]은 차마 볼 수 없어 || || {{{#ffffff,#000 「嫌な話だ」}}} || || 야나 하나시다 || || 「[[사신 레코드|싫은 이야기]]네」 || || {{{#ffffff,#000 大きく拡がる 喉と胴体は}}} || || 오오키쿠 히로가루 노도토 도우타이와 || || 크게 넓어지는 목구멍과 몸통은 || || {{{#ffffff,#000 死んだ心を 溶かす様に}}} || || 신다 코코로오 토카스요우니 || || 죽은 마음을 녹이듯이[* 이부분은 코노하의 세계사정의 죽은 몸과 마음을 다시 데운 기계같아 라는 가사와 유사하다.] || || {{{#ffffff,#000 ゆっくり命を 飲み込み}}} || || 윳쿠리 이노치오 노미코미 || || 천천히 목숨을 삼켜가며 || || {{{#ffffff,#000 目を刳り貫く}}} || || 메오 쿠리누쿠 || || [[10마리의 뱀|눈]]을 도려내 || || {{{#ffffff,#000 ねぇ、君も祈っちゃったんでしょう?}}} || || 네 키미모 이놋챳탄데쇼우 || || 이봐, [[코자쿠라 마리|너]]도 원했던 거지? || || {{{#ffffff,#000 僕に睨まれた時にさ}}} || || 보쿠니 니라마레타 토키니사 || || 내가 노려보고 있을 때에 말이야 || || {{{#ffffff,#000 そんな悲壮精神が}}} || || 손나 히소우세이신가 || || 그런 비장한 정신이 || || {{{#ffffff,#000 大好物だ}}} || || 다이코부츠다 || || 정말 좋아 || || || || {{{#ffffff,#000 ようこそ、我が胎内へ}}} || || 요우코소 와가 타이나이에 || || 어서 와, 나의 태내에 || || {{{#ffffff,#000 愛とエゴの終着点}}} || || 아이토 에고노 슈챠쿠텐 || || 사랑과 자아의 종착점 || || {{{#ffffff,#000 君もすぐに 生まれ変われる}}} || || 키미모 스구니 우마레카와레루 || || [[코자쿠라 마리|너]]도 곧 [[메두사|다시 태어날 거야]] || || {{{#ffffff,#000 怪物みたいで 素敵なことでしょう?}}} || || 카이부츠미타이데 스테키나 코토데쇼우 || || 괴물 같아서 멋진 일이지 않아? || || {{{#ffffff,#000 「あぁ、神様、なんで」って}}} || || 아 카미사마 난뎃테 || || 「아, 신이시여, 어째서」라 해도 || || {{{#ffffff,#000 「もう嫌だよ」と泣いたって}}} || || 모- 야다요토 나이탓테 || || 「이제 싫어」 라고 운다 해도 || || {{{#ffffff,#000 受け入れろよ これが運命だ}}} || || 우케이레로요 코레가 사다메다 || || 받아들여라, 이것이 운명이다 || || {{{#ffffff,#000 次の次の次の主に懸命しよう}}} || || 츠기노 츠기노 츠기노 누시니 켄메시요우 || || 다음의 다음의 다음의 [[코자쿠라 마리|주인]]에게 [[메카쿠시단|헌]][[몰살|신]]하자 || || || || {{{#ffffff,#000 神話も命も人の運命も}}} || || 신와모 이노치모 히토노 운메이모 || || 신화도 목숨도 사람의 운명도 || || {{{#ffffff,#000 うっかり恋に落ちるのも}}} || || 웃카리 코이니 오치루노모 || || 무심코 [[아자미(카게로우 프로젝트)|사]][[츠키히코|랑]]에 빠지는 것도 || || {{{#ffffff,#000 ひっそり蛇は笑い出す}}} || || 힛소리 헤비와 와라이다스 || || 조용히 뱀은 비웃고 있어 || || {{{#ffffff,#000 「馬鹿な事だ」}}} || || 바카나 코토다 || || 「바보 같은 일이야」 || || {{{#ffffff,#000 あぁ、なんだいなんだい もう溜らないね}}} || || 아 난다이 난다이 모- 타마라나이네 || || 아, 뭐야 뭐야 더는 모이질 않네 || || {{{#ffffff,#000 くすんだ心を 舐るのは}}} || || 쿠슨다 코코로오 네부루노와 || || 칙칙한 마음을 핥는 것은 || || {{{#ffffff,#000 小さな命に取り付き}}} || || 치이사나 이노치니 토리츠키 || || 조그마한 목숨에 달라붙어 || || {{{#ffffff,#000 目を埋め込む}}} || || 메오 우메코무 || || 눈을 심어 넣어 || || {{{#ffffff,#000 あぁ、君に宿っちゃったんでしょう?}}} || || 아 키미니 야돗챳탄데쇼우 || || 아, 너에게 깃들어 있는 거지? || || {{{#ffffff,#000 目を合体させる(アワセル)運命(ノウリョク)がさ}}} || || 메오 아와세루 노우료쿠가사 || || [[눈을 합치는 뱀|눈을 [ruby(합치는, ruby=마주치는)] [ruby(운명, ruby=능력)]]]이 말이야 || || {{{#ffffff,#000 君がこの悲劇の 「女王」なんだ}}} || || 키미가 코노 히게키노 죠오난다 || || [[코자쿠라 마리|네]]가 이 비극의「여왕」이야 || || || || {{{#ffffff,#000 謳歌しろよ生命よ}}} || || 오-카시로요 세이메이요 || || 구가해라 생명이여 || || {{{#ffffff,#000 愛とエゴの合掌祭}}} || || 아이토 에고노 갓쵸사이 || || 사랑과 자아의 합장제 || || {{{#ffffff,#000 揺れる日々も崩れ始める}}} || || 유레루 히비모 쿠즈레 하지메루 || || 흔들리는 날들도 무너져 가기 시작해 || || {{{#ffffff,#000 「始めの悲劇」へ足並み合わせて}}} || || 하지메노 히게키에 아시나미 아와세테 || || 「최초의 비극[* 마리가 과거로 돌아가기 전의 세계 즉 메카쿠시단 전원(마리 제외) 이 죽은 첫 번째 루프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에 발을 맞춰 || || {{{#ffffff,#000 「返して」と嘆いたって}}} || || 카에시테 토 나게이탓테 || || 「돌려내」라고 한탄해 봤자 || || {{{#ffffff,#000 「もう嫌だよ」と哭いたって}}} || || 모- 야다요 토 나이탓테 || || 「더는 싫어」라고 울어 봤자 || || {{{#ffffff,#000 知る事かよ それが運命だ}}} || || 시루코토카요 소레가 사다메다 || || 알까 보냐, 그것이 운명이다 || || {{{#ffffff,#000 酷く脆くちゃちな物語(ヒビ)が 正銘だろう}}} || || 히도쿠 모로쿠 챠치나 히비가 쇼우메다로- || || 심하고 무른 하찮은 [ruby(이야기가, ruby=나날이)] 진짜잖아 || || || || {{{#ffffff,#000 なんて馬鹿な生命だ}}} || || 난테 바카나 세이메이다 || || 얼마나 바보 같은 [[코자쿠라 마리|생명]]인가 || || {{{#ffffff,#000 何度でも 抗って}}} || || 난도데모 아라갓테 || || 몇 번이고 저항해서 || || {{{#ffffff,#000 同じ話(ヒビ)へ逆流(モド)り始める}}} || || 오나지 히비에 모도리 하지메루 || || 같은 [ruby(이야기, ruby=나날)]로 [ruby(역류하기, ruby=되돌아가기)] 시작해 || || {{{#ffffff,#000 無謀に 無様に}}} || || 무보우니 부자마니 || || 무모하게 꼴사납게 || || {{{#ffffff,#000 泣いて、哭いて、啼いて、綯いて}}} || || 나이테 나이테 나이테 나이테 || || 울고, 울고, 울고, 꼬아서 || || || || {{{#ffffff,#000 あぁ、無様な生命よ}}} || || 아 부자마나 세이메이요 || || 아, 꼴사나운 생명이여 || || {{{#ffffff,#000 「なんで?」だのと言う前に}}} || || 난데 다노토 유우 마에니 || || 「어째서?」라고 말하기 전에 || || {{{#ffffff,#000 求め過ぎた 罪に傅け}}} || || 모토메스기타 츠미니 카시즈케 || || 지나치게 갈구했던 죄를 받들어 || || {{{#ffffff,#000 虚ろな奇跡が 弾けて崩れて}}} || || 우츠로나 키세키가 하지케테 쿠즈레테 || || 공허한 기적이 터지면서 무너져가 || || {{{#ffffff,#000 「もう、なんだか良いや」って}}} || || 모- 난다카 이이얏테 || || 「이젠, 아무래도 좋아」라며 || || {{{#ffffff,#000 何度もただ泣いたって}}} || || 난도모 타다 나이탓테 || || 몇 번이고 그저 울어봐도 || || {{{#ffffff,#000 終わりすらも 直に薄れる}}} || || 오와리스라모 지키니 우스레루 || || 결말조차도 곧 희미해져 || || {{{#ffffff,#000 次の次の次に来る}}} || || 츠기노 츠기노 츠기니 쿠루 || || 다음에 다음에 다음에 오는 || || {{{#ffffff,#000 次の次の日を}}} || || 츠기노 츠기노 히오 || || 다음의 다음의 날을 || || {{{#ffffff,#000 次の次の次も 嘲笑しよう}}} || || 츠기노 츠기노 츠기모 쵸쇼시요우 || || 다음의 다음의 다음도 비웃어주지 || == [[리듬 게임]] 수록 == === [[GROOVE COASTER]] === 아케이드와 모바일은 IA 버전이, 스위치는 ONE 버전이 수록되었다.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곡목록=보컬로이드™ ,곡명=アウターサイエンス ,작곡표기=じん(自然の敵P) ,작곡링크=진(프로듀서) ,버전AC= ,폴더명=보컬로이드™ ,BPM=195 ,SIMPLE레벨=5 ,NORMAL레벨=10 ,HARD레벨=12 ,SIMPLE노트수=292 ,NORMAL노트수=457 ,HARD노트수=540 ,SIMPLE애드립=47 ,NORMAL애드립=47 ,HARD애드립=47 ,SIMPLE체인=1\,496 ,NORMAL체인=2\,267 ,HARD체인=2\,468 ,주소=ZhEYocF-170 ,퍼펙트= )] 패턴 자체만 놓고 보면 그렇게 어려운 곡은 아니다. 전체적으로 노트가 신디사이저음이나 보컬 멜로디 박자를 따라간다. 하지만 스크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으면 금세 게이지는 바닥으로 떨어지니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후살에 등장하는 연속 슬라이드도 주의.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WAI WAI PARTY!!!!]][anchor(GROOVE COASTER WAI WAI PARTY!!!!)] ==== [include(틀: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채보 ,곡명=アウターサイエンス ,작곡표기=진 ,작곡링크=진(프로듀서) ,작곡틈=ft. ,작곡표기2=ONE ,작곡링크2=ONE -ARIA ON THE PLANETES- ,단일보컬= ,보컬표기=ONE ,보컬링크=ONE -ARIA ON THE PLANETES- ,폴더명=VOCALOID™ ,DLC폴더명=VOCALOID™ Pack 3 ,BPM=195 ,EASY레벨=3 ,NORMAL레벨=7 ,HARD레벨=11 ,MASTER레벨=14 ,EASY노트수=207 ,NORMAL노트수=338 ,HARD노트수=553 ,MASTER노트수=719 ,EASY애드립=10 ,NORMAL애드립=19 ,HARD애드립=19 ,MASTER애드립=13 ,EASY체인=1\,222 ,NORMAL체인=1\,687 ,HARD체인=2\,506 ,MASTER체인=3\,178 ,액티브EASY레벨=2 ,액티브NORMAL레벨=6 ,액티브HARD레벨=9 ,액티브EASY노트수=179 ,액티브NORMAL노트수=287 ,액티브HARD노트수=445 ,액티브EASY애드립=10 ,액티브NORMAL애드립=9 ,액티브HARD애드립=15 ,액티브EASY체인=1\,030 ,액티브NORMAL체인=1\,372 ,액티브HARD체인=2\,088 ,주소=e2QCFkogSJ8 ,EASY주소=MhBvd8anJfw ,NORMAL주소=I_iwbYYpgMU ,HARD주소=CnMPjsSjtl0 )] 보컬로이드 팩 3의 해금곡이다. 사실상 아케이드 판의 리뉴얼 버전인 곡. * [[GROOVE COASTER WAI WAI PARTY!!!!/수록곡#VOCALOID™ Pack 3|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maimai 시리즈]] === ||<-7> maimai 난이도 체계 || ||<|2> 난이도 || {{{#green BASIC}}} || {{{#orange ADVANCED}}} || {{{#red EXPERT}}} || {{{#8324ff MASTER}}} || || {{{#green 5}}} || {{{#orange 7}}} || {{{#red 11+}}} || {{{#8324ff 12+}}} || || 노트 수[br](슬라이드 수) || {{{#green 226(5)}}} || {{{#orange 393(7)}}} || {{{#red 663(54)}}} || {{{#8324ff 721(141)}}} || || 장르 ||<-5> niconico & ボーカロイド || || BPM ||<-5> 195 || [youtube(zMLQ0St7K94)] EXPERT 난이도 채보 영상 EXPERT 난이도치고는 11+로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노트자체는 박자를 그대로 따라가지만 손 이동이 상당히 많은편. [youtube(BZIhdAnbdoM)] MASTER 난이도 채보 영상 난이도는 12+이지만 슬라이드 관련하여 상당히 복잡하기에 개인차에 따라 그 이상으로도 느낄 수 있는 채보이다. 후렴구 부분에서의 슬라이드가 전체적으로 손이 꼬이기 쉽게 배치되어 있고 무엇보다 次の次の 하는 구간에서의 슬라이드 연계가 굉장히 복잡하다. 이 구간은 슬라이드의 시작점이 브레이크인 데다가 손 배치가 꼬이게끔 노트가 등장해서 손이 꼬이기가 쉽다. 이 구간을 쉽게 넘기기 위해서는 박자를 어느 정도 외워두는 것이 편하다. 후반부에는 슬라이드 연계가 매우 길게 등장하는데 중간에 슬라이드가 빠지며 손 배치가 바뀐다. 이 구간 역시 브레이크가 많은 중요한 구간이므로 잘 넘기는 것이 중요하다. == 관련 문서 == * [[카게로우 프로젝트]] * [[메카쿠시단]] * [[쿠로하]]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3년]][[분류:VOCALOID 전설입성]][[분류:카게로우 프로젝트/음악]][[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