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아이아스급 대형전함}}}[br]Aias class flagship · アイアース 級旗艦'''|| ||<-2>{{{#!wiki style="margin:-16px -11px;"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gineipaedia.com/RioGrande_damaged%28DVD-CA%29.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ioGrandesketch.jpg|width=100%]]}}}|| ||<-2><:>'''[[은하영웅전설/애니메이션|OVA]]'''[* 해당 함선은 제5함대 기함 [[리오그란데(은하영웅전설)|리오그란데]]]||}}}|| ||<-2><:>'''{{{#FFF 제원}}}'''|| ||<:>'''크기'''||<:>전장 1,159~1,260m, 전폭 72m, 전고 351~365m|| ||<:>'''무장'''||<:>함수 중성자 광선포 30~60문[*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는 80문][br]좌현함포 10~79문[br] 우현함포 10~79문[br] [[스파르타니안]] 24~36기|| ||<:>'''승무원'''||<:>1,216~1,325명[*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는 1,628명.]|| ||<:>'''개발 및 배치'''||<:>SE 781|| ||<:>'''운용 국가'''||<:>[[자유행성동맹]][br][[엘 파실 독립정부]]|| [목차] == 개요 == [[은하영웅전설/애니메이션|은하영웅전설 OVA]]에서 등장하는 [[자유행성동맹군]]의 [[우주전함]]. 네임 쉽은 우주력 781년에 취역한 자유행성동맹 우주함대 총사령기함 [[라자르 로보스#s-4|아이아스]]다. 아콩카과급, 칸첸중가급에 이은 동맹군의 함급으로, 표준전함과 격을 달리하는 크기와 위력, 기타 전투 능력을 갖춘 대형전함이다.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등장하는 영웅 [[아이아스]]. == 외관 및 성능 == [[파일:external/gineipaedia.com/RioGrande_starboard%28DVD-CA%29.jpg]] 아이아스급에 속하는 다양한 함형은 모두 전장 1,159~1,260미터, 전폭 72미터, 전고 351~365미터의 크기를 지닌다. [[자유행성동맹군]]의 표준전함이 전장 624미터, 전폭 65미터, 전고 136.5미터라는 걸 생각하면 엄청난 사이즈다. [[파일:FPA_Warships.jpg]] 그 거대한 외양에 걸맞게, 아이아급 전함들은 30~60(80)문의 중성자 빔포를 [[주포]]로 장착해 외관상으로 강력한 화력을 보여준다. 측면 무장도 충실하여, 무장 시스템이 감소한 루스탐을 제외한 모든 함들의 양 측면에 5문 1조의 [[레이저]] 기총이 다수 장비되어 있다. 함대 관제용으로 장비된 다수의 [[안테나]] 또한 특징적이다. <은하영웅전설 DATABOOK 메카닉&성우 대사전>과 게임 설명에 따르면 동맹군 전함은 제국군에 비해 [[전자전]] 능력이 보강되었다는 설정이 존재하는데, 동맹 전투함 중에서도 최상위 함급으로서 이 부분을 강조한 듯한 외관이다. [[파일:Battleship_Hangar.jpg]] [[파일:Patoroklos_hangar_ONW_BD.jpg|width=640]] [[셔틀]]을 직접 수납할 수 있는 후면 상단의 격납고 또한 특징. 동맹군 전함들은 제국군 전함들처럼 [[대기권]]을 드나들 수가 없어서 셔틀을 활용해 인력을 수송하는데, 아이아스급 함대 기함이 셔틀을 유도, 격납하는 장면이 애니메이션에 묘사된다. == 운용상의 한계 == 이처럼 스펙으로만 보면 제국군의 표준 전함을 충분히 압도할 수준의 전함이다. 그러나 [[자유행성동맹]]의 경제력이 기본적으로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은하제국]]보다 못하기 때문에, 동맹군 표준 전함은 제국군 표준 전함보다 기동력에서 앞서고 사격통제장치에 신경을 많이 썼지만 화력은 열세하고 크기가 왜소하며 항속거리와 전투 지속력, 방어력이 떨어지는 성능으로 양산된 점을 고려해야 한다. 즉 대량 생산해서 함대의 주력으로 삼기에는 비용 및 자재상 불가능하다는 것. 따라서 아이아스급 전함들은 그 강력한 성능을 살려서 [[자유행성동맹군]]의 함대 [[기함]]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단, 마리네티 분함대 기함으로 [[제1차 란테마리오 성역 회전]]에 참전한 [[루스탐#s-3|루스탐]]은 주포가 30문이며 5개 1조의 레이저 기총이 장비되지 않은 등, 아이아스급의 함체이되 공격력이 현저히 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 특성 == "은하영웅전설 함대콜렉션" 함선모형 가이드북에 따르면 아이아스급 전함은 초기형, 중기형, 후기형, 화력증강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형 : 네임쉽 [[라자르 로보스]] 원수의 [[라자르 로보스#s-4|아이아스]], [[무어(은하영웅전설)|무어]] 중장의 [[무어(은하영웅전설)#s-4|페르가몬]], 마리네티 준장의 [[루스탐#s-3|루스탐]] *중기형 : [[파에타]] 중장의 [[파트로클로스(은하영웅전설)|파트로클로스]], [[윌렘 홀랜드]] 중장의 [[윌렘 홀랜드#s-4|에피메테우스]], [[파스톨레]] 중장의 [[레오니다스#s-3.1|레오니다스]], [[루글랑주]] 중장의 [[레오니다스#s-3.2|레오니다스 II]] *후기형 : [[알렉산드르 뷰코크]] 원수의 [[리오그란데(은하영웅전설)|리오그란데]], [[라이오넬 모튼]] 중장의 [[아킬레우스(동음이의어)#s-1.2|아킬레우스]], [[랄프 칼센]] 중장의 [[디오메데스(은하영웅전설)|디오메데스]] *화력증강형 : [[호우드]] 중장의 [[케찰코아틀/창작물#s-2.2|케찰코아틀]][* 화력증강형 초도함], [[알 살렘]] 중장의 [[팔라메데스#s-3|팔라메데스]], [[보로딘(은하영웅전설)|보로딘]] 중장의 페룬 그 외에 워프 안정장치 및 격납고 증대 개조형인 [[우란푸]] 중장의 [[우란푸#s-5|뱅 구]], 기동성을 강화했지만 화력과 방호력을 다소 희생한 [[르페브르]] 중장의 [[르페브르#s-4|쿠 쿨린]], 60문의 전방함포로 화력을 강화했지만 비행단을 희생한 [[애플턴]] 중장의 [[크리슈나#s-3|크리슈나]], 특수작전형으로 가속 및 비행단 시설을 강화한 [[응웬 반 티우]] 소장의 [[마우리아]], 그리고 시험함으로 순항함급의 함포 80문으로 화력증강과 100대의 [[스파르타니안]] 단좌기 비행단을 탑재한 [[에드윈 피셔]]와 [[빌리바르트 요아힘 폰 메르카츠]] 제독의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가 존재한다. == 동형함 == [[파일:attachment/아킬레우스급 전함/a9.jpg]] 왼쪽이 [[르페브르]] [[중장]]의 기함 [[르페브르#s-4|쿠 쿨린]], 오른쪽이 동맹군 표준전함 OVA에는 아래와 같은 아이아스급 전함이 등장한다. * 우주함대 사령장관 [[라자르 로보스]] [[원수(계급)|원수]]의 아이아스 - 아이아스급 전함의 네임 쉽이다. * 제2함대 [[파에타]] 중장의 파트로클로스 * 제3함대 [[르페브르]] 중장의 쿠 쿨린 * 제4함대 [[파스톨레]] 중장의 레오니다스 * 제5함대 [[알렉산드르 뷰코크]] 원수의 리오그란데 * 제6함대 [[무어(은하영웅전설)|무어]] 중장의 페르가몬 * 제7함대 [[호우드]] 중장의 케찰코아틀 * 제8함대 [[애플턴]] 중장의 크리슈나 * 제9함대 [[알 살렘]] 중장의 팔라메데스 * 제10함대 [[우란푸]] 중장의 뱅 구 * 제11함대 [[윌렘 홀랜드]] 중장의 에피메테우스 * 제11함대 [[루글랑주]] 중장의 레오니다스 II * 제12함대 [[보로딘(은하영웅전설)|보로딘]] 중장의 페룬 * 제14함대 [[라이오넬 모튼]] 중장의 [[아킬레우스]] * 제15함대 [[랄프 칼센]] 중장의 디오메데스 * [[양 웬리 함대|이제르론 요새 주둔 기동함대]] [[응웬 반 티우]] 소장의 마우리아 * [[마리네티&저니얼|마리네티]] 준장의 루스탐 그리고 [[에드윈 피셔]] [[중장]]의 기함으로 쓰인 전함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 또한 크기와 형태로 볼 때 아이아스급으로 여겨지고 있다. <은하영웅전설 DATABOOK 메카닉&성우 대사전>의 설정에는 원작 외 다른 전함들이 등장한다. * [[아킬레우스]] : 옛 설정에서 아이아스급 전함의 '''네임 쉽'''. 아콩카과급 및 칸첸중가급에 이은 아킬레우스급의 1번함이다. 제4함대 사령관 사다 중장의 기함으로 우주력 781년 취역, 787년 격침. 이후 제 14함대 사령관 [[라이오넬 모튼]] 중장의 기함 이름으로 부활한다. * [[펜테실레이아]] : 제4변경성역 분함대 기함에서 제7함대 편입, [[암릿처 회전]]에서 격침된다. * 멤논 : 우주력 791년 취역, 제1변경성역분함대 기함에서 제10함대 편입. 분함대 기함으로 작전하면서 [[암릿처 회전]]에서 생환, 수리를 마친 후 변경성역 분함대 기함으로 복귀하였다. * 펠롭스 : 제2변경성역 분함대 기함에서 제3함대 편입, 분함대 기함으로 작전 중 [[암릿처 회전]] 전초전에서 격침된다. * 프로테실라오스 : 제8변경성역 분함대 기함에서 제8함대 편입, 분함대 기함으로 작전하면서 전초전에서 제국군 공격을 벗어나는 데 성공하지만, [[암릿처 회전]]에서 격침된다. * 글라우코스 : 제7변경성역 분함대 기함에서 제12함대 편입, [[암릿처 회전]]에서 격침된다. == 최후 == 781년 취역한 아이아스를 시작으로 아이아스급 전함은 동맹군 함대 기함으로 취역하여 활약하였다. 비록 [[제3차 티아마트 회전]]에서 에피메테우스가 격침되고 [[아스타테 회전]]에서 레오니다스와 페르가몬이 격침되었지만, 여전히 다수의 아이아스급이 동맹군 함대 기함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동맹군에게 있어 재앙이나 다름없는 [[제국령 침공작전]]에서 동맹함대가 일방적으로 섬멸당하면서 아이아스급도 다수 격침 및 나포 되어버린다. 이후 동맹은 함대기함 부족에 시달리는데, 결함투성이 프로토타입이었던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와 [[아가트람(은하영웅전설)|아가트람]]이 분함대 기함으로 취역했으며 그마저도 모자라서 무페세나 아바이 게셀 등 787년형 표준전함을 [[마개조]]한 전함도 기함으로 쓰였다. 이후 [[제8차 이제르론 공방전]]에서 [[응웬 반 티우]] 제독이 공명심에 패주하는 제국함대를 쫓다가 제국 구원함대의 반격에 기함 마우리아와 함께 전사한다. 그리고 1년 뒤 [[버밀리온 성역 회전]]에서 14함대 기함 아킬레우스가 격침되고, [[바라트 화약]]으로 남은 아이아스급도 해체 대상이 된다. 그러나 [[양 웬리]]가 빼돌린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는 건재했고, 총기함 [[리오그란데(은하영웅전설)|리오그란데]]와 15함대 기함 [[디오메데스(은하영웅전설)|디오메데스]]도 해체되지 않고 남아 있었다. 그러나 동맹군 최후의 전투인 [[마르 아데타 성역 회전]]에서 리오그란데와 디오메데스가 격침된다. 뒤이어 은하제국은 [[회랑 전투]]로 [[엘 파실 혁명군]]과 대결하고, 이 전투에서 최후의 아이아스급 대형전함인 [[시바(은하영웅전설)|시바]]가 격침되면서 아이아스급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이후 [[이제르론 혁명군]]이 운용하는 기함 히페리온과 마사소이트는 아이아스급보다 이전에 건조된 구형전함이다. 마리네티 준장의 기함 루스탐은 격침된 장면이 없어 알기 어려우나, 마리네티가 [[마르 아데타 성역 회전]]에 참전했다는 걸 보면 아마도 여기서 격침당했으리라 추측된다. 그 외 아이아스, 레오니다스 II 등 다른 아이아스급 전함들은 주인이 [[리타이어]]한 뒤에는 언급도 되지 않는다. == 설정변경 == 본래 아이아스급의 원래 이름은 아킬레우스로, 우주력 781년 취역한 제4함대 기함 아킬레우스를 네임 쉽으로 한다는 설정이었다. 그러나 플리트 파일 컬렉션이 발매되면서 네임 쉽이 [[라자르 로보스]] 원수의 기함 아이아스로 변경되었고, 이름도 아이아스급 전함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파트로클로스(은하영웅전설)|파트로클로스]]를 네임 쉽으로 하는 파트로클로스급 전함도 있었는데, 은영전 저작권을 관리하는 라이트스태프에서 설정을 통폐합할 때 아이아스급으로 통합되었다. 후지사키 류 코믹스에서도 이 설정에 따라 아이아스급 전함이라고 나온다. [[분류:은하영웅전설/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