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탈슬러그 시리즈/보스/메탈슬러그 7&XX)] ||<-4>
'''아이언 데스 웜[br]アイアンデスワーム[br]Iron Death Worm'''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ormMecha.gif|width=100%]]}}} || ||<-2> 난도 ||<-2> ★★★☆☆ || ||<-2> 체력 || 1인 || 2인 || ||<|3> 검은 부위 || 비기너 || 30 || 50 || || 노멀 || 60 || 100 || || 하드 || 120 || 150 || ||<|3> 나머지 부위 || 비기너 || 15 || 25 || || 노멀 || 30 || 50 || || 하드 || 60 || 75 || ||<|3> 본체 || 비기너 || 300 || 500 || || 노멀 || 600 || 1000 || || 하드 || 1200 || 1500 || [목차] [clearfix] == 소개 == [[메탈슬러그 7]] 및 [[메탈슬러그 XX]] 미션 1의 보스. 이전 문서명인 웜은 오브젝트 뷰어에 드러난 파일명을 베이스로 작성되었으며, [[메탈슬러그 어택]]에 등장하면서 '아이언 데스 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외형 및 특징 == >모덴군의 지저 거점형 병기. 지하 자원 채굴부터, 적 거점으로의 지하 공격 등 범용성이 뛰어나다. 모덴 원수도 탑승하고 있으며, 병사들의 숙련도와 사기는 매우 높다. >---- >메탈슬러그 어택 전방의 거대한 드릴을 선두로 하고 지렁이 처럼 다수의 포탑 적제 칸이 길게 줄지어 탑재되어 있다. [[도널드 모덴]] 원수가 직접 탑승했지만 도널드 모덴은 미션이 끝난 후에 나오는 컷신에서야 등장한다. == 패턴 == 패턴은 포탑마다 다르고, 미션 1 보스치고는 다소 어려운 편에 속한다. 7과 XX가 어렵기로 명성이 높은 게임답게 다른 보스들과 마찬가지로 그 진가를 증명하는 보스. 움직일 때는 보스 자체에도 공격 판정이 있어 보스에게 접촉 시 사망하며 [[메탈슬러그(메탈슬러그 시리즈)|메탈슬러그]]를 탄 상태여도 피해를 본다. * 바주카병 회전 톱날이 열리고, 안에서 모덴군 바주카병이 나와서 공격한다. * [[원형톱]] 사출 포탑이 열리고 안에서 파괴 가능한 원형톱을 내보낸다. 원형톱에서는 낙하 폭탄을 발사하며, 플레이어를 향해 떨어지면서 공격한다. * 낙하폭탄 보스 자체가 회전하면서 낙하 폭탄을 주변으로 뿌린다. 낙하 폭탄은 때리면 튕겨 나간다. * 포탑 + 모덴군 사출 3개 정도의 포탑에서 2개의 포가 나와서 곡선을 그리는 포탄을 발사한다. 그리고 나머지 포탑에서는 모덴군이 나온다. 나오는 모덴군은 자객병과 보병으로, 일정 공격을 하면 난데없이 도망가버린다. * 좁히기 갑자기 스테이지 왼쪽 끝에서 튀어나와 돌면서 땅을 파고 나오기를 2번 반복하며 플레이어의 자리를 좁힌다. 땅으로 들어갈 때 그 자리에 있는다고 압사 판정을 받지 않아서 슬러그를 탄 상태에서는 피해를 보는데 그친다. == 공략 == 피격 판정이 본체와 포탑에 따로 존재하기에 2가지의 파괴 방식이 있다. * 부위가 파괴되어 노출된 부분, 드릴 부분, 끝 부분을 집중적으로 타격한다. 이 방법을 썼을 때 2, 3번째 포탑이 남아있다면 보스 파괴 시 연결 부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노멀부터는 이 방법으로 하면 시간이 엄청나게 걸리게 된다. 노멀 1인 플레이 기준으로 부위 체력을 다 더해봤자 270인데 본체는 600이며 레벨 8에 가까울수록 더욱 단단해진다. 2인 하드 모드 플레이 시의 본체 체력은 '''최종 보스 [[크라켄(메탈슬러그 시리즈)|크라켄]]의 본체 체력보다 높다.''' [[스코어링]] 유저 외에는 비추천. * 부위를 전부 파괴한다. 본체의 체력과는 별개로 부위가 모두 격파된다면 보스는 그 즉시 격파된다. 무난하게 클리어하고 싶거나 타임 어택 중이라면 이쪽이 최선이다. [[메탈슬러그 XX]]에서는 발굴사 루트로 들어가 빅 [[샷건(메탈슬러그 시리즈)|샷건]]을 입수하면 노멀 기준으로 한 방에 부위 하나가 박살 나기에 불쌍할 정도로 빨리 터진다. 하지만 노멀에서도 검은 부위는 한 방에 터지지도 않고, 하드는 모든 부위가 절대 빅 샷건 한대에 터지지 않는다. 빅 샷건의 공격판정이 매우 넓어서 두 개 이상의 부위를 동시에 맞출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해야 한다. 보스 출현 시 아슬아슬하게 옆에 서서 빅 샷건 두 방을 쏜 후 포탄 발사 패턴 등장에 맞춰 발사해 빅 샷건 4방으로 끝내는 것이 가장 빠른 클리어 방법이다. XX의 [[레오나 하이데른|레오나]]는 등장하자마자 후방 [[문 슬래셔]] 캔슬을 쓰면 3초 만에 클리어할 수 있다. 첫 등장할 때 왼쪽 끝에서 솟구쳐오르면서 등장하여 모든 부위가 레오나의 지근거리에 노출되는데 이 때 후방 문 슬래셔 캔슬로 폭딜을 넣는 것이 가능. 그 뒤로는 패턴에 따라 다시 문 슬래셔 캔슬을 쓰거나 빅 샷건 몇 방을 쏟아부으면 끝난다. === 컴뱃스쿨 === [[핸드건]]만으로 클리어하려면 미션 1 보스치고는 꽤 까다로운데, 여기선 [[랄프 존스|랄프]]나 [[마르코 롯시|마르코]]를 추천한다. 5번 패턴을 할 때 적당히 자리 잡고 [[발칸 펀치]]를 쓰면 높은 피해량을 뽑아낼 수 있고 목숨이 2개인 것도 꽤 도움된다. [[마르코 롯시|마르코]]를 선택해 3번 패턴만 피하고 나머지 패턴에 딱총을 난사하는 방법도 존재하며 특히 4, 5번 패턴에서 앉아서 딱총을 난사하면 30초 내로 파괴할 수 있다. == 스토리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G9GpuMJex2o)]}}}|| 보스전이 끝나고 정규군 7인방은 미션 2 배경인 모덴군 지하광산으로 향한다. 이후 아이언 데스 웜의 잔해에서 폭발과 함께 도널드 모덴 원수가 튀어나오고, 도널드 모덴은 박살 난 기체를 둘러보다가 또 망한 것에 한숨을 쉰다. 그런데 갑자기 사방에서 [[썬더 샷]]의 전기와 비슷한 전자파가 퍼지고 아이언 데스 웜의 잔해를 흡수하더니 [[빅 게이트]]가 열리며 [[미래 모덴군]]이 나타난다.[* 이때 빅 게이트에서 먼저 나온 미래 모덴군 보병 3명이 모덴에게 거수경례를 한다.] 예상 못 한 상황에 도널드 모덴은 놀라서 상황을 지켜보지만, 이내 도널드 모덴은 자신에게 경례하는 보병들과 줄줄이 나타나는 미래 모덴군의 디-코카 전차들을 보고 웃으며 미래 모덴군의 등장이 예고된다. == [[메탈슬러그 어택]] == 정식 시리즈 보스 중에서 유일하게 [[메탈슬러그 디펜스]]와 [[메탈슬러그 어택]] 내에서 등장하지 못했지만 2022년 2월 28일 업데이트로 메탈슬러그 어택에서 등장하였다. [[분류:메탈슬러그 시리즈/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