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테마]] [목차] == 개요 == [[유희왕]] 시리즈에 등장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는 카드 테마. 공통 특징은 있지만,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카드군과는 달리 이 카드들을 이름으로 엮는 카드군은 존재치 않는다. 주로 주인공의 라이벌 캐릭터가 사용한 적 있는 카드군이다. 아이즈로만 묶으면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등도 있지만, 이쪽은 앞뒤에 붙는 글자와 아이즈 사이에 띄어쓰고 있고, 이 시리즈와는 차이점이 있다. 일단은 이 문서에는 '○○아이즈 ○○드래곤'이라는 이름의 몬스터를 중심으로 하는 테마를 위주로 서술. == 유희왕 OCG == '○○아이즈 ○○드래곤(○○眼の○龍 / ○○ 눈의 ○룡)[* 일본어로 한자로 쓰고, 카타카나로 읽는다.]'이라는 용을 메인 몬스터로 하고 있으며, 이 카드를 지원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들 발매되고 있다. 초기 한국어 번역은 한국어 의미로 '○○ 눈'이라는 식으로 번역되었으나, [[갤럭시아이즈]]부터는 (기존에 발매되던 붉은 눈과 푸른 눈을 제외하고) 일본어 및 영어 발음을 그대로 음차하기 시작했다.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초기엔 레드아이즈로 직역되었다.],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 등을 겪으며 더이상 의역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듯. 사실 푸른 눈의 툰 드래곤이 오랜 시간동안 블루아이즈 툰 드래곤으로 번역되기도 하는 등 초기부터 번역 통일이 오락가락했다. 푸른 눈, 붉은 눈, 갤럭시아이즈 3개 카드군은 "XX룡 강림"이라는 의식 마법 카드로 소환하는 "[[나이트 오브 드래곤|나이트 오브 XX 드래곤]]"이라는 의식 몬스터가 존재한다. 이 카드의 효과는 공통적으로 해당 카드군의 에이스 몬스터(ex: 붉은 눈 카드군이면 붉은 눈의 흑룡)를 소환할 수 있다. 푸른 눈과 붉은 눈 두 카드군은 두 테마는 태생부터 상반되는 만큼, 공통된 이름을 가진 카드가 많지만 이름만 같고 효과는 모두 다르다. 아래는 그 목록. * '''[[푸른 눈의 백룡]] / [[붉은 눈의 흑룡]]''' * [[전설의 백석]] / [[전설의 흑석]] * [[Sin 푸른 눈의 백룡]] / [[Sin 붉은 눈의 흑룡]] * 푸른 눈의 툰 드래곤 / 붉은 눈의 툰 드래곤 * [[푸른 눈의 아백룡]] / [[붉은 눈의 아흑룡]] 푸른 눈과 갤럭시아이즈끼리도 공통점이 있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과 푸른 눈의 백룡은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이 일치하며, 공격명도 비슷하다. 또한 에이스 몬스터 포함해 공통된 3장(푸른 눈의 백룡 3장 / 레벨 8 몬스터 3장)을 소재로 하여 소환할 수 있는 머리 3개 달린 몬스터가 존재한다.[*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과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다만 엄밀히 말하면 네오 포톤은 어깨에 달린 머리 형태가 실제 머리는 아니다.] 또한 푸른 눈과 갤럭시아이즈 모두 (일부 몬스터 제외) 레벨 8 이상의 빛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서포트하는 다른 테마[* 푸른 눈은 파란 눈 시리즈와 백석 등이며, 갤럭시아이즈는 포톤과 갤럭시]를 병용하여 운용한다. [[오드아이즈]]는 이름 표기에서 한자 표기 없이 카타카나로만 표기되고, 나이트 오브 드래곤 카드도 없는 점 등 다른 아이즈들에 비해 유사성이 적어서 이 시리즈에 껴주지 않기도 한다. 그래도 한자 표기는 없지만 "XX아이즈 XX드래곤"이라는 이름을 가진 카드가 에이스인 점은 동일하고, 비스트아이즈를 제외한 [[펜듈럼 드래곤]]들의 공격명이 푸른 눈과 유사한 "XX의 XX버스트"이거나, [[붉은 눈 융합]](원어: 레드아이즈 퓨전)과 이름이 비슷한 [[오드아이즈 퓨전]]이라는 카드의 존재 등을 보면 전혀 연관성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은 아닐 듯 하다. 결론적으로 소소한 공통점들이 있는 테마들이지만, 이름으로 묶기도 어렵고, 정식 카드군으로 지원받는 일은 없을 것이다. === [[푸른 눈]](블루아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푸른 눈)] === [[붉은 눈|붉은 눈]](레드아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붉은 눈)] === [[갤럭시아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아이즈)] === [[오드아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드아이즈)] 바리에이션으로 [[EM(엔터메이트)#EM 보트아이즈 리저드|보트아이즈]],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룬아이즈]],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비스트아이즈]], [[브레이브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브레이브아이즈]], [[갓아이즈 팬텀 드래곤|갓아이즈]]가 있다. === 아이즈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 * [[오션즈 오퍼|사우전드 아이즈 피시]] *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 [[환술사 다크 아이즈]] * [[환술사 밀레니엄 아이즈]] 이 이외에는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관련 카드들이 있다. === 오마주 테마 === * [[푸른 얼음의 백야룡|'''푸른''' 얼음('''블루아이'''스)]] : 푸른 눈 오마주. *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딥아이즈]] : 푸른 눈 배리에이션. * [[하늘빛 눈의 은룡|하늘빛 눈(Azure-Eyes)]](영문판&국내판 한정) : 푸른 눈 배리에이션. 이쪽은 일본판에선 원본 시리즈와 달리 영어로 읽지 않는다. * [[레드 데몬즈 드래곤|레드 데몬즈]] : 이쪽은 능력치는 푸른 눈 오마주, 이름은 붉은 눈 오마주이다. * [[가라쿠타아이즈 패트 드래곤|가라쿠타아이즈]] : 갤럭시아이즈 오마주. * [[스네이크아이#s-4.2.1|'''스네이크아이'''즈 플랑베르쥬 드래곤]] : 공/수/종족/레벨 모두 오마쥬. 공격력 2500의 [[디아벨스타]]와 대립한다는 것도 비슷하다. === 헷갈리기 쉬운 카드 === 한국판의 번역으로 인해 헷갈리기 쉬운 카드들이다. * [[푸른 눈의 실버 좀비]] 한국판 카드는 나온 바가 없고, 듀얼링크스에서 [[푸른 눈]]으로 번역되었다. 참고로 원래 일본판에선 블루아이즈가 아닌 블루아이드로 구별하고 있다. * SR 빨간 눈의 다이스, SR 세 눈의 다이스 일본판에선 위 시리즈의 [[눈 안]] 자 대신 [[눈 목]] 자를 쓰고 영어가 아닌 일본어로 읽어서 [ruby(赤目, ruby=あかめ)], [ruby(三つ目, ruby=みつめ)]가 되어 구분되며, 영문판에서는 s대신 d를 붙여 Red-Eye'''d''', Tri-Eye'''d'''가 되어 구분되어 있다. 헷갈리게 쓴 건 한국판 뿐. * [[외눈 거인]], 붉은 외눈 거인, 사이버네틱 외눈 거인 [[외눈 거인]] 몬스터들은 애초에 원본 카드의 이름은 ~눈이라는 이름도 아니다. * [[악의 기사 드라고네스|외눈의 방패용]] 일본판에선 외눈의 방패용(一眼の盾竜)이라고 쓰고 원아이드 실드 드래곤(ワンアイド・シールドドラゴン)이라고 읽는 카드. 표기 방법이 꽤 푸른 눈, 붉은 눈, 갤럭시아이즈와 비슷하긴 하지만, 아이즈가 아니라 아이드이다. TCG에서도 One-Eyed라고 표기하여 구분된다. 그래도 앞의 외눈 거인도 그렇고 한국판에선 붉은 눈 푸른 눈과 달리 앞글자와 붙여써서 그나마 구분이 되는 편이다. * [[애꾸눈의 화이트 타이거]], [[애꾸눈의 스킬 게이너]] 애꾸눈 시리즈도 앞글자와 붙여써서 그나마 구분이 되는 편. 일본판 기준으로 [ruby(隻眼, ruby=せきがん)]으로, 영어가 아닌 일본어로 읽어서 읽어 다른 카드. 북미판에선 초창기 카드였던 화이트 타이거는 아예 다르게 번역되었고, 스킬게이너는 외눈의 방패룡과 마찬가지로 One-Eyed라고 표기했다. == 유희왕 러시 듀얼 == [[유희왕 러시 듀얼]]에서는 푸른 눈의 백룡과 붉은 눈의 흑룡이 레전드 카드로 나왔으며, 새로운 카드로는 [[유희왕 SEVENS]]에서 나왔던 [[네코야마 슈뢰딩거]], [[냥데스타]]가 사용한 아이즈를 오마주한 고양이 시리즈가 발매되었다. ===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블루아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 [[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레드아이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 === XX아이즈 XX캣 === ||<-6>
<#901522>
'''{{{#!htmlXX아이즈 XX캣}}}'''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드아이즈 트윈테일 캣.jpg|width=100%]]}}}|| ||<#901522> {{{#!html한글판 명칭}}} ||<-5><:>'''XX아이즈 XX캣'''|| ||<#901522> {{{#!html일본판 명칭}}} ||<-5><:>'''XX[ruby(眼, ruby=アイズ)]のXX[ruby(猫, ruby=ャット)]'''|| ||<#901522> {{{#!html영어판 명칭}}} ||<-5><:>'''XX-Eyes XX Ca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901522><-2> {{{#!html속성}}} ||<#901522><-2><:>{{{#!html종족}}} ||<#901522><-2><:>{{{#!html카테고리}}} || ||<-2><^|1> [[유희왕/속성|어둠,빛 위주]][* 오드아이즈 트윈테일 캣은 땅 속성.] ||<:><-2><^|1>[[유희왕/종족|야수족]] ||<-2><^|1> 효과 || 붉은 눈, 푸른 눈, 오드아이즈를 패러디한 [[네코야마 슈뢰딩거]]와 [[스타캣]] 시리즈를 사용한 [[냥데스타]] 두명이 사용했다. 한국판 번역은 다르지만 둘다 작명이나, 스탯[* 어둠, 빛 속성 야수족 수비력 200.] 등으로 보면 알 수 있듯 같은 시리즈. * 일반 몬스터 * [[푸른 눈의 흰 고양이]] * [[붉은 눈의 검은 고양이]] * [[스타캣#골든아이즈 스타캣|골든아이즈 스타캣]] * [[스타캣#실버아이즈 스타캣|실버아이즈 스타캣]] * 효과 몬스터 * [[스타캣#그린아이즈 스타캣|그린아이즈 스타캣]] * [[스타캣#퍼플아이즈 스타캣|퍼플아이즈 스타캣]] * [[스타캣#다크아이즈 브레이스타캣|다크아이즈 브레이스타캣]] * [[오드아이즈 트윈 테일 캣]]: 원작 오드아이즈는 카타카나로만 쓰는 반면, [[妖]]瞳(요동, 요사스러운 눈동자)이라고 쓰고, 오드아이즈라고 읽는다. [[眼]](눈 안)이 아닌, [[瞳]](눈동자 동)을 쓴 것이 특징. 참고로 눈동자는 영어로 'pupil'이며, 영문판은 아직 발매되지 않았지만, 아이즈라는 기존 번역이 있기 때문에 발음 표기를 우선해서 번역될 가능성이 크다. 속성도 혼자만 땅 속성이다. * 관련 카드 * [[길잃은 고양이]] * [[고양이의 눈]] * [[캣클로 걸]]: 전사족으로 아이즈 캣 시리즈와 함께 퓨전하여, 야수전사족의 퓨전 몬스터가 된다. * [[스타캣 스트라이냐]]: 캣클로걸과 퓨전하여 탄생한 몬스터. * [[스타캣 디스트로이냐]]: 캣클로걸과 퓨전하여 탄생한 몬스터. * [[냥더풀 러시]] * [[야성의 베리어 -노라 포스-]] === 오마주 테마 === * [[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블루 투스]] * [[레드부트 부스트드래곤|레드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