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 분데스리가)] ---- ||<-2>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width=300]] || ||<-2><#fabb00> '''{{{#00274b {{{+1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 ||<-2><#0065a7> '''{{{#fff {{{+1 Eintracht Braunschweig}}}}}}''' || || '''정식 명칭''' ||Braunschweiger Turn- und Sportverein Eintracht von 1895 e.V. || || '''[[축구단 별명|{{{#00274b __별칭__}}}]]''' ||'''{{{#FABB00 Die Löwen (사자들)}}}''' || || '''창단''' ||[[1895년|{{{#000,#ddd 1895년}}}]] [[12월 15일|{{{#000,#ddd 12월 15일}}}]]^^([age(1895-12-15)]주년)^^[* [[https://gesamtverein.eintracht.com/wir-ueber-uns/btsv-sportgeschichte|#]]] || || '''소속 리그''' ||'''[[2. 분데스리가|{{{#505050,#c0c0c0 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 || || '''연고지''' ||[[니더작센|니더작센 주]] [[브라운슈바이크]] (Braunschweig) || || '''홈구장''' ||[[아인트라흐트 슈타디온]] (Eintracht-Stadion) [br] 23,325명 수용 || || '''라이벌''' ||'''[[하노버 96|{{{#179d33 하노버 96}}}]]''' - '''[[니더작센더비]]''' || ||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니콜레 쿰피스 (Nicole Kumpis) || ||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페터 폴만]] (Peter Vollmann) || ||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다니엘 셰르닝]] (Daniel Scherning) || || '''수석 코치'''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안드레아스 치머만]] (Andreas Zimmermann) || || '''주장'''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5]] [[야스민 페이지치]] (Jasmin Fejzić) || ||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이준협]] (2014)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류승우]] (2014~2015)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지동원]] (2021)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eintracht.com|[[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EintrachtBSNews, 크기=25)] [[https://www.facebook.com/eintrachtbraunschwei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eintrachtbraunschweig189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EBS1895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eintrachtbraunschweig|[[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지난 시즌 성적[br](2022–23 시즌)''' ||[[2. 분데스리가]] 15위 || || '''약칭''' ||<#FABB00>'''{{{+1 {{{#00274B EBS / BTSV}}}}}}''' || ||<-2><#0065a7> '''{{{#fff 우승 기록}}}''' || || '''__북부 독일 챔피언십 (1부)__'''[*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00274b (2회)}}} ||1907–08, 1912–13 || || '''[[분데스리가|{{{#00274b __분데스리가 (1부)__}}}]]'''[br](1회) ||1966–67 || || [[2. 분데스리가|{{{#00274b '''2. 분데스리가 (2부)'''}}}]][br](2회) ||1952–53, 1973–74 || || [[3. 리가|{{{#00274b '''3. 리가 (3부)'''}}}]][br](1회) ||1987–88, 2004–05, 2010–11 || ||<-2><#0065a7> '''{{{#fff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5]] [[술레이만 압둘라히]] (Suleiman Abdullahi) [br] (2016년, From [[비킹 FK]], 97.5만 €) ||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게리트 홀트만]] (Gerrit Holtmann) [br] (2016년, To [[1. FSV 마인츠 05]], 300만 €) || ||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프란츠 메르크호퍼]] (Franz Merkhoffer) - 575경기 (1968~1984) || ||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위르겐 몰]] (Jürgen Moll) - 116골 (1958~1968) || ||<-2> {{{#00274b '''스폰서'''}}} || ||<:> '''{{{#ffffff 메인 스폰서}}}''' ||<:> '''{{{#ffffff 유니폼 메이커}}}''' || ||<:> [[헤이카|[[파일:heycar.png|width=70%]]]] ||<:> [[에리마|[[파일:1200px-Erima_logo.svg.png|width=5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_rtDzze1Zg)]}}} || || '''{{{#0065a7 2022-23 시즌 골송}}}'''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2. 분데스리가]]에 속한 축구팀. 연고 도시는 니더작센 주의 브라운슈바이크(Braunschweig)이다. 아인트라흐트 슈타디온(Eintracht-Stadion) 경기장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최대의 라이벌은 [[하노버 96]]이다. == 스쿼드 == === 1군 === [include(틀: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 역사 == 1895년 축구와 크리켓의 스포츠 클럽으로 발족하였다. 1963년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1부 리그 중간을 유지하였고, 1967년에는 견고한 수비에 힘입어 분데스리가 최소 실점으로(34경기 27실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성적 부진으로 1973년, 1980년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때는 1시즌 만에 1부 리그 복귀를 완수했지만, 1985년에 3번째 2부 리그 강등을 당하고 나서는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1987년 2부 리그 17위로 3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1시즌 만에 복귀를 했지만, 2부 리그에서 등수가 중간에서 맴돌았고, 1993년에는 다시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그 후 8년간 3부 리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002년에 근소한 차이로 2부 리그 복귀에 성공했지만, 1시즌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 2005년에도 3번째 2부 리그 승격을 달성했지만 2006-07 시즌 18위로 강등되었다. 07-08 시즌은 3부 리그에서 다시 시작했다. 2008-09 시즌 신설된 [[3. 리가]]에 소속되었다. 그리고 2010-11 시즌 [[3. 리가]]에서 우승하면서, 2부 리그 승격을 달성했다. === 요약 === * 1부/[[분데스리가]]: 1963-1973, 1974-1980, 1981-1985, 2013-2014 (21시즌) === 역대 엠블럼 === ||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1928~1972).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1972~1986).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1986~2012).svg|width=150]] ||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width=150]] || ||<#fabb00> '''{{{#0065a7 1928~1972 }}}''' ||<#60240b> '''{{{#8b7b46 1972~1986 }}}''' ||<#0065a7> '''{{{#fabb00 1986~2012 }}}''' ||<#fabb00> '''{{{#00274b 2012~ }}}''' || == 최근 시즌 == === [[2. 분데스리가]] === ==== 2012-13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intracht braunschweig aufstieg 2013.jpg|width=100%]]}}} || 2012-13 시즌에는 [[미르코 볼란트]], [[마르크 피츠너]], [[베냐민 케셀]], [[마르셀 베어]], [[켄 라이헬]], [[케빈 크라츠]], [[에르민 비차크치치]] 등의 활약으로 2부에서 2위를 차지해 마침내 [[분데스리가]]로 돌아왔다![* 28년만의 승격] === [[분데스리가]] === ==== 2013-14 시즌 ==== 1980년대 이후로 처음 복귀한 [[분데스리가]]. 2013-14 시즌 리그 절반을 치른 17차전까지 2승 3무 12패 18위 꼴지로 강등 위기에 놓였다. 마지막 라운드까지 강등 플레이오프 진출권인 16위와 승점 2점 차였기에 최선을 다해 경기에 임했지만, 결국 최종 경기에서 2부 리그 강등을 확정짓게 되었다. 최선을 다한 선수들에게 먼 길을 찾아와준 서포터들이 격려의 환호와 박수를 보내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510599&date=20140512&page=1|분데스리가 꼴찌 강등팀에 우승급 환호-격려 '감동']] === [[2. 분데스리가]] === ==== 2016-17 시즌 ==== [[분데스리가]] 우승 50주년을 맞은 2016-17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3위를 기록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VfL 볼프스부르크]]에게 총합 2대0으로 패해 승격엔 실패했다. ==== 2017-18 시즌 ==== 2017-18 시즌 17위를 기록해 [[3. 리가]]로 강등됐다. === [[3. 리가]] === ==== 2018-19 시즌 ==== 2018-19 시즌 3. 리가에서도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레기오날리가]]로의 강등마저 염려되는 상태였다가... 22라운드에서의 승리로 최하위에서 벗어났다. 그 뒤로 꾸준히 순위를 올려 35라운드 현재 14위까지 올라왔다. 다만 강등권인 17위와의 승점차가 불과 2점이라 아직은 시즌 막판까지 가야 하는 상황이다. 최종전에서 비기며 17위 [[FC 에네르기 코트부스]]와 승점 45점으로 동률이 되었지만 골득실차에서 1이 앞선 -6을 기록하며 가까스로 잔류에 성공했다. ==== 2019-20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intracht braunschweig aufstieg 2020.jpg|width=100%]]}}} || 35라운드가 끝난 현재 17승 10무 8패로 3위에 올라있다. 그러나 2위인 [[FC 바이에른 뮌헨 II]]가 승격할수 없기에 현재 순위만 유지하더라도 승격이다. 하지만 바로아래 승점 1점차이로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가 승점 4점차이로는 [[FC 잉골슈타트 04]]와 [[MSV 뒤스부르크]]가 맹추격하고 있다. 이후 37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전 3대2로 이기며 2위로 올라섰다. 그리고 동시에 [[2. 분데스리가]] 승격을 확정지었다. 하지만 감독 [[마르코 안트베르펜]]은 보드진과의 의견마찰로 인해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팀을 떠났다. === [[2. 분데스리가]] === ==== 2020-21 시즌 ==== 2시즌만에 복귀한 [[2. 분데스리가]] [[다니엘 마이어]]가 팀의 새로운 감독으로 취임했다.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뛰던 [[펠릭스 크로스]][*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활약 중인 월드클래스 미드필더 [[토니 크로스]]의 동생이다.]를 자유계약으로 영입했다. 팀의 노장이었던 [[베른트 네리히]], [[마르크 피츠너]]를 방출했다. 따라서 주장자리는 [[마르틴 코빌란스키]]에게 주어졌다. 8월 29일 [[FC 한자 로스토크|한자 로스토크]]와 친선전을 벌여 0:1로 패배하였다. ||<-6> [[DFB 포칼|[[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50]]]] || ||||<:> '''{{{#ffffff DFB-포칼 1라운드 (2020.09.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abb00, #0065a7, #0065a7, #fabb00)" '''{{{#ffffff 아인트라흐트 슈타디온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 ||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height=120]][br]'''{{{#00274b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AAB 13%, #ffffff 13%, #ffffff 37%, #005AAB 37%, #005AAB 63%, #ffffff 63%, #ffffff 87%, #005AAB 87%,#005AAB)"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width=120]][br]'''[[헤르타 BSC|{{{#ffffff 헤르타 BSC}}}]]'''}}} || || '''{{{+1 5}}}''' || '''{{{+1 4}}}''' || || '''2' [[마르틴 코빌란스키]][br] 17'(OG)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br] 44' [[마르틴 코빌란스키]][br] 66' [[마르틴 코빌란스키]][br] 73' [[술레이만 압둘라히]]''' || '''23' [[도디 루케바키오]][br] 29' [[마테우스 쿠냐]][br] 65' [[페테르 페카리크]][br] 83' [[도디 루케바키오]]''' || 9월 11일 [[DFB-포칼]]전 [[분데스리가]]의 [[헤르타 BSC]]를 만나 총 9골이 오가는 혈투 끝에 신임주장 [[마르틴 코빌란스키]]의 해트트릭으로 5대4로 승리했다! 하지만 포칼 2라운드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만나 0대2로 패했다. 리그에서는 10라운드가 끝난 현재 3승 2무 5패로 16위에 올라있다. 이후 계속해서 승리를 거두지 못하며 강등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겨울 이적시장에서 [[지동원]]을 임대로 영입했다. 부진 끝 강등을 피할 수 없었다. 또 다시 [[3. 리가]]로 돌아가게되었다. === [[3. 리가]] === ==== 2021-22 시즌 ==== 압도적으로 독주를 달리는 [[1. FC 마그데부르크]] 뒤에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과 2위 자리를 놓고 다투는 양상이다. 시즌 말미까지 라우턴이 공고히 2위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나, 막판 무너지며 역전, 2위를 차지하며 승강 플레이오프 없이 다시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 [[2. 분데스리가]] === ==== 2022-23 시즌 ==== 이전에 팀에서 뛰었던 경험이 있는 [[사울로 데카를리]]를 [[VfL 보훔]]에서 자유계약으로 데려왔다. 출전 시간은 극히 적었지만 직전 시즌 1부 물도 먹은 데카를리이기에 수비면에서 도움이 될 공산이 크다. 주장도 달았던 경험이 있는 [[마르틴 코빌란스키]]가 자유계약으로 [[TSV 1860 뮌헨]] 행을 확정지었다. 임대생 [[루크 이호르스트]]를 20만 유로에 완전영입했고, [[3. 리가]] 탑급 레프트백 [[안톤 동코어]]를 자유계약으로 업어왔다. 또한 [[FC 바이에른 뮌헨]] 유스 시스템으로 성장한 [[론토르벤 호프만]]을 영입하며 최후방라인의 보강도 마쳤다. 주장이자 주전 골키퍼 [[야스민 페이지치]]가 86년생의 많은 나이기에 이에 대한 세대교체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6월 22일, 23일 이틀에 거쳐서 공격을 보강했다. 각각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유망주 [[이마뉘얼 페라이]]를, [[카를스루어 SC]]의 공격수 [[파비오 카우프만]]을 스쿼드에 합류시켰다. 개막라운드의 상대는 저번 시즌 3위를 기록한 강팀 [[함부르크 SV]]. [[미하엘 실레]] 감독은 [[3. 리가]]에서 쓰던 백포를 버리고 백쓰리를 택했다. 3-4-1-2의 포메이션으로 1의 자리에는 [[이마뉘얼 페라이]]가 위치해 에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전술이다. 이적생 [[사울로 데카를리]]와 [[파비오 카우프만]]도 선발 출전했고, 주장이자 수문장 [[야스민 페이지치]]가 부상으로 이탈하며 [[론토르벤 호프만]]이 장갑을 끼게되었다. 약 22,000명의 홈 어드밴티지와 함께 경기에 임했고, 날카로운 역습으로 함부르크의 간담을 서늘케 했지만 연이은 선방에 막혀 선제골을 기록하지는 못했다. 66분까지 0대0으로 꾸역꾸역 버텼지만, 세트피스 상황에서 [[로베르트 글라첼]]에게 선제실점을 했고, 뒤이어 글라첼에게 멀티골을 내주며 0대2로 패배했다. 하지만 뢰벤의 날카로운 역습 전술은 충분히 [[2. 분데스리가]]에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경기이다. 당장 함부르크의 키퍼 [[다니엘 호이어 페르난드스]]가 키커 최고 평점을 받았으니. 1라운드가 끝난 후, 선수진 보강을 위해 2팀의 [[에밀 키시카]]를 콜업했고, [[1. FC 우니온 베를린]]의 윙어 [[엔도 케이타]]를 임대 해 왔다. 2라운드 상대는 [[1. FC 하이덴하임]], 원정 경기이다. 직전 경기와 마찬가지로 역습 위주 쓰리백으로 나섰으나, 초반 자책골의 불운이 있었고, 후반에도 2골을 추가로 실점하며 0대3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이어진 [[DFB-포칼]] 1라운드 [[헤르타 BSC]]전은 어마어마한 4대4 난타전으로 맞붙으며 승부차기로 끌고갔고, 결국 승리하며 자이언트 킬링으로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공교롭게도 2020-21 시즌 1라운드도 헤르타를 만나 난타전 끝 2라운드에 진출한 경험이 있다. [[DFB-포칼]] 1라운드가 끝난 후, [[앤서니 우자]]를 영입했다. 3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을 맞아 쓰리백 포메이션을 버리고 3부 시절 좋은 모습을 보인 4-2-3-1로 전환했다. [[미하엘 슐츠]]와 [[브라이언 헤닝]]이 시즌 첫 선발 경기를 가졌고, 임대로 합류한 [[엔도 케이타]] 또한 바로 선발로 투입되었다. [[야스민 페이지치]]의 여러 차례 선방[* 1회의 PK 포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86분 릴리엔의 루키에게 실점하며 0대1로 패배하고 말았다. 시즌 3전 3패보다 암울한 사실은 아직 리가에서의 득점이 없다는 것. [[홀슈타인 킬]] 원정의 4라운드에서도 무득점 0대3 완패를 당하며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즌 초반 기세가 괜찮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홈으로 불러들인 5라운드, 첫 득점을 이제는 만들어야하는 시점이었고 브라운슈바이크는 해냈다. 시즌 극초반의 쓰리백 시스템으로 돌아갔고, [[안톤 동코어]]와 [[앤서니 우자]]는 선발 데뷔전을 가졌다. 크게 밀리지 않는 전반 경기력을 보였고, 후반 11분 [[로빈 크라우세]]가 선제골을 득점하며 브라운슈바이크의 시즌 첫 골을 만들어냈다! [[니콜라 가보리]]에게 동점골을 실점했지만, 기회를 받은 동코어가 다시 앞서가는 골을 득점하며 리드를 잡았다. 하지만 이 리드는 채 60초도 가지 못했고, 경기는 2대2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드디어 터진 득점과 시즌 첫 승점은 꽤나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인다. 6라운드, 함께 시즌 전패를 달리는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원정을 떠나 1대4로 깨졌다. 5라운드만의 감독 교체라는 과감한 결정을 내린 빌레펠트에게 한 방 먹은 셈. 여러 찬스를 날려 온 [[이마뉘얼 페라이]]의 시즌 첫 골이 나왔다는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이다. 홈에서 [[1. FC 뉘른베르크]]를 맞은 7라운드, 오랜 시간 기다려온 시즌 첫 승을 신고했다! 이적 시장 막판 합류한 [[필리프 벤코비치]]와 [[네이선 더메디나]]는 바로 쓰리백의 좌우측 스토퍼로 투입되어 데뷔 경기를 치렀다. 에이스 [[이마뉘얼 페라이]]가 원더골 포함 1골 1어시스트 맹활약을 펼쳤으며, [[앤서니 우자]] 또한 1골 1도움, [[파비오 카우프만]]은 좋은 결정력으로 멀티골을 만들어냈다. 3명의 공격진이 골고루 터져준 경기로, 비록 2실점과 함께 2번의 리드를 내주었지만 역전승을 일구어 낼 수 있었다. 8라운드 [[니더작센더비]] 원정, [[하노버 96]]의 최근 상승세가 엄청나기에 쉽지 않아 보였지만, [[앤서니 우자]]의 선제골을 바탕으로 1대1 무승부라는 호성적을 거두었다. 여름 이적시장 막판의 보강이 팀에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조금씩 기세가 올라오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9라운드 [[카를스루어 SC]]전 2대1 승리를 거두며 3경기 2승 1무, 드디어 흐름을 탄 모습이다. [[이마뉘얼 페라이]]와 [[앤서니 우자]]는 합작해 2골을 만들어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우자는 최근 3경기 4득점으로 완벽히 팀에 녹아든 모습을 보였다. A매치 기간 이후 치러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원정, 에이스 [[이마뉘얼 페라이]]가 부상으로 결장했지만 1대1 무승부라는 호성적을 거두고 돌아왔다. 라우턴이 주도하는 경기 흐름이었지만 선제골은 오히려 [[리온 라우버바흐]]가 기록했고, BTSV가 앞섰다. 3분 후 바로 동점골을 내주기는 했지만 추가 실점은 없었고, 결국 양 팀은 1대1로 비겼다. == 과거 주요 선수 == * [[장청둥]] * [[켄 라이헬]] * [[마티아스 하인]] * [[미르코 볼란트]] * [[베른트 네리히]] * [[마르크 피츠너]] * [[류승우]][* 류승우 이전에도 한국인이 하나 있었다. 내셔널리그 득점왕 출신인 이준협이 리저브 팀에서 뛰었다.] (임대) * [[지동원]] (임대) == 같이 보기 == [include(틀: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분류: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