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스터)] ---- ||
'''{{{#ffffff 아지 알비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Atlanta_Braves_logo_champion_2021.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21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1}}}]]''' || ---- ||<-3>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8년|{{{#ffffff 2018}}}]]'''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ffffff 202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하비에르 바에즈]][br]([[시카고 컵스]]) || → || '''아지 알비스[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도노반 솔라노]][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도노반 솔라노]][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아지 알비스[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제프 맥닐]][br]([[뉴욕 메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안타왕}}}''' || || [[프레디 프리먼]][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아지 알비스[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트레이 터너]][br]([[워싱턴 내셔널스]]) || ---- [include(틀:2021 All-MLB 세컨드 팀)]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1번}}}''' || || [[에릭 아이바]][br](2016) || {{{+1 →}}} || '''{{{#fff 아지 알비스[br](2017~)}}}'''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비스.jpg|width=100%]]}}} || ||<-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o.1''' || ||<-2> '''{{{+2 아지 알비스}}}[br]Ozzie Albies''' || || '''본명''' ||오자이노 유르디 이안드로 알비스[br]Ozhaino Jurdy Jiandro Albies || ||<|2> '''출생''' ||[[1997년]] [[1월 7일]] ([age(1997-01-07)]세) || ||[[퀴라소]] [[빌렘스타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include(틀:국기, 속령=퀴라소)]) || || '''신체''' ||173cm / 74kg || || '''포지션''' ||[[2루수]] || || '''투타''' ||[[우투양타]] || || '''프로입단''' ||2013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애틀란타 브레이브스|ATL]]) || || '''소속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17~)''' || || '''계약''' ||2019 - 2025 / $35,000,000[*option team option $7,000,000 for 2026 and $7,000,000 for 2027 with buyout $4,000,000] || || '''연봉''' ||2023 / $7,0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 내야수.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와 함께 브레이브스의 미래를 책임질 5툴 플레이어. == 선수 경력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zzie_Albies.jpg|width=100%]]}}} || 퀴라소 출신의 유격수 유망주 알비스는 [[안드렐톤 시몬스]], [[앤드루 존스]]라는 퀴라소 슈퍼스타를 배출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35만 달러 계약을 맺었다. 마이너리그에서는 빠르게 승격하여 19세에 AAA까지 도달했다. 2015년 전체 1픽 [[댄스비 스완슨]]이 이적해오자 포지션을 2루수로 변경했다. 2017년 BA 유망주 순위에서 무려 11위에 오른 알비스는 2017년 8월, 처음으로 콜업되었다. 메이저리그 데뷔 첫 안타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토니 싱그라니]]에게 9회에 '''쓰리런 홈런'''으로 장식하였으며 이 홈런으로 알비스는 메이저리그에서 홈런을 기록한 첫 1997년생으로 기록되었다. 2018년 풀타임 1년차만에 첫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2019년 팀과 연장계약을 맺었는데, 7년 계약 보장 총액이 고작 3,500만 달러이고, 2년 팀 옵션을 합쳐도 고작 9년 4,900만 달러에 불과한 '''역대급 염가 계약'''을 맺었다. 올스타 경험이 있는 22세의 전도유망한 선수가 그야말로 노예 계약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끔찍한 염가 계약을 맺자 업계 관계자들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다. 제프 파산은 트위터를 통해 "모든 구단 관계자, 선수, 분석가, 육성 담당, 스카우트들이 같은 말을 하고 있다. '''알비스의 계약은 선수에게 있어 최악의 계약이 될 것이다.''' 이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가장 무서운 점은 계약 이후 본인의 인터뷰나 행보를 볼 때 '''선수 본인이 이 계약에 대해 불만이 없고 오히려 만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 이런 계약 직후 첫 시즌인 2019년에도 여전히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 2020년, 알비스는 초반 부상을 당했으나 단축시즌이었기에 그 영향이 그리 크지 않았고, 9월 초 복귀하여 남은 시즌을 무난하게 치르고 팀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공헌하게 되었다.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과 2차전 모두 9회에 홈런을 날렸으며, 1차전은 쐐기포로 결정적이었고 2차전은 점수 차가 어느 정도 있었으나 알비스의 홈런 이후 9회말 다저스까지 1점차까지 따라붙으며 유의미한 홈런이 되었다. 그러나 팀은 아쉽게도 탈락하고 말았다. 2021 시즌 전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top 100 중 72위에 올랐다. 2021년 2월 25일 MLB.com에서 패널 5명이 25살 미만 최고의 선수 25인을 뽑았다.[[https://www.mlb.com/news/mlb-best-players-under-25|#]] 참고로 2013년에 키스 로가 뽑았던 [[https://blog.naver.com/s_f_a_r/10156558005|동일한 버전]]과 비교하며, 그들이 어떻게 성장할지 즐거운 상상을 펼쳐 보자. |||||| 2021 MLB.com 버전 |||||| 2013 키스 로 버전 || || '''순위''' || '''이름''' || '''나이''' || '''이름''' || '''당시 나이''' || '''2020 시즌까지의 수상 기록''' || || 1위 || [[후안 소토]] || 22살 || [[마이크 트라웃]] || 21살 || MVP 3회, 올스타 8회, 신인왕, 실버 실러거 8회 || || 2위 ||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 || 22살 || [[브라이스 하퍼]] || 20살 || MVP 1회, 올스타 6회, 신인왕, 실버 실러거 1회 || || 3위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 23살 || [[제이슨 헤이워드]] || 23살 || 올스타 1회, 신인왕 2위, 골드 글러브 5회 || || 4위 || [[완더 프랑코]] || 20살 || [[지안카를로 스탠튼]] || 23살 || MVP 1회, 올스타 4회, 실버 실러거 2회 || || 5위 || [[루이스 로버트]] || 23살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 24살 || 올스타 3회, 실버 실러거 1회 || || 6위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 22살 || [[클레이튼 커쇼]] || 24살 || 사이영 3회, 올스타 8회, 골드 글러브 1회 || || 7위 || [[라파엘 데버스]] || 24살 || [[매니 마차도]] || 20살 ||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1회, 골드 글러브 2회 || || 8위 || [[엘로이 히메네스]] || 24살 || [[스탈린 카스트로]] || 22살 || 올스타 4회, 신인왕 5위 || || 9위 || [[애들리 러치맨]] || 23살 || [[매디슨 범가너]] || 23살 ||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2회 || || 10위 || [[스펜서 토켈슨]] || 21살 || [[엘비스 앤드루스]] || 24살 || 올스타 2회, 신인왕 2위 || || 11위 || [[제러드 켈닉]] || 21살 || [[브렛 로리]] || 22살 || - || || 12위 || [[훌리오 로드리게스]] || 20살 || [[살바도르 페레즈]] || 22살 || 올스타 6회, 실버 슬러거 3회, 골드 글러브 3회 || || 13위 || [[식스토 산체스]] || 22살 || [[아롤디스 채프먼]] || 24살 || 올스타 6회 || || 14위 || [[요르단 알바레즈]] || 24살 || [[맷 무어]] || 23살 || 올스타 1회 || || 15위 || [[키브라이언 헤이스]] || 24살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p/parkeja02.shtml|제로드 파커]] || 24살 || 신인왕 5위 || || 16위 || [[글레이버 토레스]] || 24살 || [[크리스 세일]] || 23살 || 올스타 7회 || || 17위 || '''아지 알비스''' || 24살 || [[맷 하비]] || 23살 || 올스타 1회 || || 18위 || [[마이크 소로카]] || 23살 || [[앤서니 리조]] || 23살 || 올스타 3회, 실버 슬러거 1회, 골드 글러브 4회 || || 19위 || [[바비 위트 주니어]] || 21살 || [[프레디 프리먼]] || 23살 || MVP 1회,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2회, 골드 글러브 1회 || || 20위 || [[딜런 칼슨]] || 22살 || [[야스마니 그랜달]] || 24살 || 올스타 2회 || || 21위 || [[앤드류 본]] || 23살 || [[안드렐톤 시몬스]] || 23살 || 골드 글러브 4회 || || 22위 || [[맥켄지 고어]] || 22살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m/middlwi01.shtml|윌 미들브룩스]] || 24살 || - || || 23위 || [[크리스티안 파체]] || 22살 || [[크레이그 킴브럴]] || 24살 || 올스타 7회, 신인왕 || || 24위 || [[보 비솃]] || 23살 || [[에릭 호스머]] || 23살 || 올스타 1회, 신인왕 3위, 실버 슬러거 1회, 골드 글러브 4회 || || 25위 || [[C.J. 에이브럼스]] || 20살 || [[크리스 틸먼]] || 24살 || 올스타 1회 || 개막 후 첫 한 주간 긴 부진을 겪다가 홈 개막전 시리즈를 기점으로 홈런 포함해서 다시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후 [[마르셀 오즈나]]의 부진과 [[트래비스 다노]]의 부상 이탈로 4번타자 역할을 해주고 있다. 5월 22일 피츠버그와의 경기에서 멀티홈런을 때려냈다. 6월 4일 경기에서 개인 통산 500안타를 달성하였다. 7월 콜로라도에서 열린 올스타전에서 대타로 출전에 2타수 1안타의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8월 10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홈경기에서 연장 11회 6-5로 지고 있던 중 쓰리런으로 극적인 승리를 만들어냈고, 15일 단독 1위를 탈환하기까지 [[댄스비 스완슨]]과 1등 공신 역할을 하였다. 이후 팀은 승승장구하여 4년 연속 지구 우승에 성공하였고, 알비스는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202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모두 준수한 활약을 보였다. 그리고 생애 첫 월드시리즈 무대에 서게 되었고 우승반지도 얻게 되었다. 시즌 종료 후 [[All-MLB 팀]] 세컨드 팀에 선정되었다. 다만 성적 자체는 [[브랜든 라우]]나 [[호세 알투베]]에게 조금 밀리는 지라 월드 시리즈 우승 버프 + 내셔널 리그 실버 슬러거 버프 덕분에 수상했다는 평이 있다. 2022년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복귀 전까지 톱타자로 출장하고 있다. 첫 홈런은 4월 12일 워싱턴 내셔널스 상대로 때려냈는데, 패색이 짙어진 내셔널스가 투수로 올린 야수를 상대로 때려냈다. 4월 14일 ~ 4월 16일동안 모두 샌디에이고를 상대로 3경기 연속 솔로홈런을 때려냈다. 2022 시즌에는 2번의 부상으로 인해 뛰어난 활약은 하지 못했다. 2023 시즌 4월에는 작년의 부상으로 인한 후유증인지 부침을 겪었으나 5월 초반부터 살아나기 시작했고, 6월 9일 펼쳐진 메츠와의 홈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서는 10회말에 짜릿한 끝내기 3점홈런을 때려내며 팀의 짜릿한 스윕승을 이끌었다. 이 경기를 기점으로 완벽히 부활하여 절친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와 함께 타선을 화끈하게 이끌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다리를 넓게 벌리고 허리를 약간 숙인 오픈스탠스 타격 준비자세를 사용하며 거의 허리 근처까지 오는 레그킥을 한다. 작은 사이즈에 비해 공에 파워를 잘 실으며, 유망주 때부터 주목받던 좋은 히팅 능력, 유격수 출신인 덕에 뛰어난 수비력, 스카우팅 리포트에서 70점을 받았을 정도로 좋은 주루 능력을 가진 5툴 플레이어이다. 타석에서는 볼넷을 얻기보다는 존 바깥 공도 때려내는 적극적인 타격을 하며, 우타석에 비해 좌타석 성적이 떨어지는 우상바 성향이 다소 있는 편. 마이너리그에서는 장타력이 약했지만 향후 신체적인 성숙이 끝나면 파워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었고, 실제로 2018년 24홈런과 2루타 40개를 기록하며 스카우터들의 평가가 틀리지 않음을 증명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386525308)]}}}|| == 수상 내역 == ||
'''{{{#FFFFFF 수상 내역}}}'''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월드 시리즈]] 우승 ([[2021년 월드 시리즈|2021]])''' [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3회 (20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20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2루수 [[실버 슬러거]] 2회 (2019, 2021)'''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안타 1위 (2019)''' [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All-MLB 팀|All-MLB]] 세컨드 팀 (2021)''' ||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아지 알비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7 ||<|7>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57 || 244 || 62 || 9 || 5 || 6 || 34 || 28 || 8 || 21 || 36 || .286 || .354 || .456 || .810 || 1.5 || 1.3 || || 2018 || 158 || 684 || 167 || 40 || 5 || 24 || 105 || 72 || 14 || 36 || 116 || .261 || .305 || .452 || .757 || 3.7 || 4.1 || || 2019 || 160 || 702 || 189 || 43 || 8 || 24 || 102 || 86 || 15 || 54 || 112 || .295 || .352 || .500 || .852 || 4.2 || 4.9 || || 2020 || 29 || 124 || 32 || 5 || 0 || 6 || 21 || 19 || 3 || 5 || 30 || .271 || .306 || .466 || .773 || 0.8 || 0.7 || || 2021 || 156 || 686 || 163 || 40 || 7 || 30 || 103 || 106 || 20 || 47 || 128 || .259 || .310 || .488 || .799 || 3.9 || 3.6 || || 2022 || 64 || 269 || 61 || 16 || 0 || 8 || 36 || 35 || 3 || 16 || 47 || .247 || .294 || .409 || .703 || 1.2 || 0.9 || || 2023 || 148 || 660 || 167 || 30 || 5 || 33 || 96 || 109 || 13 || 46 || 107 || .280 || .336 || .513 || .849 || 4.0 || 4.7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7시즌)''' || 772 || 3369 || 841 || 183 || 30 || 131 || 497 || 455 || 76 || 225 || 576 || .273 || .325 || .479 || .804 || 19.3 || 20.2 || == 여담 == [[파일:Kd8XEtF.gif|width=350]] * 자신이 쏘아올린 파울볼에 머리를 맞으며 재미있는 장면을 연출한 적이 있다. *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과 2차전에서 홈런을 뽑아냈는데 두 홈런 모두 9회초에 나온 홈런이었던 데다가 두 번 모두 같은 코스로 날려보냈다. 두 번 모두 외야에 위치한 브레이브스 불펜으로 날아갔는데, 두 홈런 다 불펜에서 몸을 풀던 팀 동료 [[마크 멜란슨]]이 잡아내는 우연을 보였다. [[파일:ACUNAOZZIE.gif|width=350]] [[파일:모성애.gif|width=350]] [[파일:99360F345B025CD51C.gif|width=350]] * 친화력이 좋은 성격인데 특히 97년생 동갑내기 친구인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와는 영혼의 콤비 수준이다. 둘 다 장기 염가 계약을 맺은 것도 비슷하다.[* 다만 아쿠냐보다는 알비스 쪽이 더욱 심한 염가이다.] * 2018 시즌 플레이어스 위켄드 데이에선 'Puchi'라는 별명을 이름 대신 달고 뛰었다. 자신의 할머니가 그렇게 알비스를 불렀다고. 참고로 2017시즌 행사 때는 별도의 별명 없이 이름 그대로 달고 뛰었다. * [[영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그리고 [[파피아멘토어]]까지 4가지 언어를 구사할 줄 안다고 한다. 덕분에 어딜 가든 소통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고 한다. [각주] [[분류:네덜란드의 야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빌렘스타트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현역]][[분류:퀴라소계 네덜란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