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해룡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AquaDragon-DM2-JP-VG.png|width=100%]] || [[파일:AquaDragon-DM4-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아쿠아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アクア・ドラゴン'''||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Aqua Dragon'''||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7.] || 물마족 || 해룡족 || 2250 || 1900 || ||<-5>수중에 숨은 드래곤. 입에서 물덩이를 내뿜어 공격을 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미궁 이외의 필드를 전투시에 강제적으로 [[바다(유희왕)|바다]]로 [[해신의 무녀|바꾸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로 등장한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능력치는 2750/2400이 되기에, 소환 코스트(OCG의 레벨 수치와 유사한 개념) 6짜리 몬스터로서는 유난히 강력했다. 다른 강화 카드도 풍부한데다 [[융합 소환]]까지 가능. 이 때문인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입수가 불가능하다. 또한 비슷한 몬스터인 [[포효하는 바다뱀]]은 이 몬스터의 능력치를 낮추고 거기에 효과를 보탠 듯한 카드가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quaDragon-TP05-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한글판명칭=아쿠아 드래곤, 일어판명칭=アクア・ドラゴン, 영어판명칭=Aqua Dragon, 속성=물, 레벨=6, 공격력=2250, 수비력=1900, 종족=해룡족, 소재="요정 드래곤" + "해원의 여전사" + "존 이터")] 1기 시절 등장한 초 고대 몬스터. 등장 당시에는 '''융합 몬스터 최초로 공격력 2000을 뛰어넘은 카드'''였고, 동시에 최강의 융합 몬스터이기도 했다. 물론 이거보다 공격력이 더 높은 메인 덱 하급 몬스터조차 판을 치는 상황에서 이 카드는 거의 의미가 없다. 소환하기도 지독하게 어려워서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진 카드 '''3장'''을 융합해야 한다는 미칠듯한 융합 난이도를 자랑한다. 해룡족이라 [[용의 거울]]을 이용한 묘지 융합에 대응하는 것도 아니고, 융합 소재 3장도 다들 시궁창스러운 성능을 자랑하여 매우 쓰기 어렵다. 레벨도 높아서 [[인스턴트 퓨전]]으로 꺼내는 꼼수도 불가능. 이 부분은 [[레토르트 퓨전]]이 출시되면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더욱 골때리는 것은 한국에서는 융합 소재 중에서 정발된 게 [[요정 드래곤(유희왕)|요정 드래곤]] 하나뿐이다. 이 카드 자체는 정발이 되었지만 일본 토너먼트 팩에 끼어있던 걸 그대로 갖고 온지라 어쩌다보니(?) 정발이 된 것이라 융합 소재를 같이 정발해주는 배려 따위는 없었다. 이래서는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써도 '''융합 소환이 불가능하다.''' [[마도 사이언티스트]]도, [[돌연변이(유희왕)|돌연변이]]도 금지를 먹은 상황에서 이 카드를 엑스트라 덱에서 어떻게든 꺼내 쓰려면 [[데블 프랑켄]]이나 [[환상소환사]]를 사용하는 방법 정도밖에는 없다. 하지만 데블 프랑켄의 경우 5000 LP라는 코스트가 이 카드의 성능에 비해 너무 크며, 그렇다고 환상소환사로 불러내면 엔드 페이즈시에 파괴되고 만다. 파괴된 이 카드는 정규 융합 소환된 게 아니라 소생도 불가능하다. 사실 마도 사이언티스트나 돌연변이가 현역이라면 이 카드는 [[홍양조]] 다음으로 공격력이 높은 카드기 때문에 아예 의미가 없는 카드는 아니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이렇듯 [[인스턴트 퓨전]]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큰 나머지 긴 시간동안 불우한 취급을 받아왔지만, 효과 몬스터 이외의 레벨 6 이하의 융합 몬스터로 조정한 [[레토르트 퓨전]]이 나오면서 드디어 필드에 간단히 꺼내놓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가 그렇게까지 해서 쓸 가치가 있는 카드겠냐만은... [[검투수#검투수 도미티아노스|검투수 도미티아노스]]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20년 동안''' 유일한 해룡족 융합 몬스터였다. [[유희왕 캡슐몬스터즈]]에서는 먼 옛날에 마을을 지배했던 다섯 마리의 악룡 중 한 마리로 등장한다. 몬스터를 듀얼리스트의 몸에 장착시키는 '듀얼 크로스' 능력으로 [[카오스 솔저]]와 합체한 [[어둠의 유우기]]의 공격으로 다른 네 마리와 함께 쓰러지는 듯 했으나, 곧 다시 부활하여 이들과 함께 융합해 [[F·G·D]]가 되었다. 정작 OCG 기준으로 따지면 드래곤족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몬스터의 융합 소재가 될 수는 없지만, 방영 당시 물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는 존재하지 않았기에 부득이하게 등장시킨 듯. 1기에서는 얼마 안되는 왕도적인 외형의 [[드래곤]] 몬스터지만, 정작 이 카드의 종족은 드래곤족이 아닌 해룡족이다. ||수록 시리즈 || ||<(> 1999-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부스터(유희왕)|Booster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4-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P05-JP007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8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2-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DP2-EN013 | '''[[맥도날드|Promotional Cards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05-KR007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요정 드래곤(유희왕)|요정 드래곤]] ==== ==== [[해원의 여전사]] ==== ==== [[존 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