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면적 단위, rd1=에이커)] [include(틀:이스라엘의 세계유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 9.jpg|width=100%]]}}}||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고대 도시 아크레 || || 영어 || Old City of Acre || || 아랍어 || مدينة عكّا القديمة || || 프랑스어 || Vieille ville d’Acre || |||| 국가·위치 || [[이스라엘]] 북부 관구 || ||<-3> [include(틀:지도,장소=Old City of Akko,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01년]] || |||| 등재기준 ||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v)[*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 || |||| 지정번호 || [[http://whc.unesco.org/en/list/1042|1042]]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크레'''(Acre) 또는 '''아코'''(עַכּוֹ‬, 히브리어)는 [[이스라엘/행정구역|이스라엘국의 북부 관구]]에 위치한 [[항구도시]]이다. [[하이파]] 만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세 [[십자군]] 최후의 근거지였다. 현재 인구는 4만 8천 명인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구시가지로 한정하면 5천 명이다. [[이슬람]], [[기독교]] 시대의 성벽이 [[지중해]]와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뽐낸다. 신시가지에는 [[유대인]], 구시가지에는 [[아랍인]]이 거주한다.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 지도.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jpg|width=100%]]}}}|| ||<-2><:>{{{-1 십자군 및 오스만 시대 구조물들.}}} || === 고대 === 아크레는 기원전 3천 년 무렵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유적이 발견될 만큼 유서깊은 [[도시]]였으며 본래 [[가나안]]인의 도시로 사실상 [[페니키아]] 문화권에 속한 도시였다. 기원전 725년에 아크레가 [[시돈]], [[티레]]와 힘을 합쳐 아시리아 왕국의 살만 에세르 왕에 저항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역사는 다른 페니키아 도시들과 비슷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셀레우코스 왕조]] 사이의 분쟁 지역에 위치한 관계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점령당했다가 셀레우코스 왕조에 점령당하기를 반복했다. 기원전 95~55년에는 [[아르메니아]]의 티그라네스 왕에게 점령당했던 적도 있고, [[로마 공화국]]이 [[헬레니즘]] 제국들과 아르메니아를 차례로 병합하면서 이 지역도 로마의 지배권 안에 들어갔다. === 중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cre1291es.png|width=100%]]}}}|| ||<:>{{{-1 중세의 지도.}}} ||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아크레는 [[이슬람 제국]]의 정복 이후 [[키프로스]]를 약탈하는 해적들의 거점이 되었다.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 치하에 아크레는 대리석으로 된 이슬람 사원과 요새화된 항구를 지닌 번영한 도시였다는 기록이 있다. 십자군이 항구도시 아크레와 야파를 정복하고 요새화한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은 동로마 제국을 거치지 않고 [[십자군 국가]]에서 동방 물산을 직수입하여 엄청난 이익을 얻고 번영을 누린다. ==== [[제3차 십자군 원정]]과 아크레 공방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3차 십자군 원정, 앵커=아크레 공방전)] ==== 1291년 아크레 함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예루살렘 왕국)]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십자군 전쟁/목록, 앵커=종결)] 십자군의 무역 거점이자 보급기지로 번영을 누렸던 아크레는 [[맘루크 왕조]]에 정복된 이후 지역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사페드[* 오늘날 이스라엘 북부 내륙에 위치한 소도시]에 내주고 서서히 몰락했다. 맘루크 왕조도 베네치아, 제노바 같은 도시들과 교역을 활발하게 벌이는 입장이었지만 변방의 아크레보다는 [[알렉산드리아(이집트)|알렉산드리아]]를 무역항으로 더 선호했던 것이다. === [[오스만 제국]]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 구도심.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 오스만.jpg|width=100%]]}}}|| ||<-2><:>{{{-1 아크레 구도심과 제자르 파샤 모스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 성벽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 해자.jpg|width=100%]]}}}|| ||<-2><:>{{{-1 아크레 성벽. 십자군 시절 외벽을 따라 세워졌다. 매우 넓고 깊은 해자가 특징이다.}}} ||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왕조를 무찌르고 [[1517년]]부터 아크레를 지배하기 시작한다. 1596년에 오스만 제국이 시행한 인구 조사에 의하면 고대부터 중세까지 찬란한 번영을 누렸던 아크레 시가 있던 지역의 인구는 겨우 81가구에 독신자 15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1697년]] 이 도시를 방문한 영국인 학자는 십자군 시대에 [[제노바]]와 [[베네치아]]와 교역하며 번영을 누렸던 그 유명한 도시에 이슬람 사원 하나에 초라한 오두막 몇개만 버려진 유적지랑 같이 나뒹굴고 있다고 한탄조로 기록했다. 그러나 17세기에 갈릴리 지방의 아랍인 태수였던 [[자히르 알 우마르]]가 이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간파하고 사람들을 아크레의 폐허가 있던 곳에 정착시키고 요새를 재건했다.[* 버려졌던 십자군 시절 유적을 재활용했다.] 아크레 시는 다시금 항구 도시이자 전략적 요충지로 거듭났다. 나폴레옹이 [[이집트 원정]]을 벌이던 [[1799년]]에 시점에 아크레는 [[제자르 파샤|아흐메트 제자르 파샤]]라는 보스니아 출신 군인의 통치 하에 있었다. 그는 자신이 다스리는 아크레에서 누가 잘못을 하거나 실수를 하면 바로 코나 귀를 자르는 공포 정치로 악명 높았으며, 자신을 알현하는 유럽인들에게는 종이를 꽃 모양으로 선물해주기를 좋아하는 특이한 취미도 갖고 있었다.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이 아크레를 공격했으나 영국인 수병 88명의 지원을 받은 자자르 파샤의 오스만 4천 명이 이를 격퇴하였다. 아크레를 지킨 공로를 인정받아 [[시드니 스미스]]가 이끄는 영국인 수병들은 예루살렘의 성묘교회를 순례할 수 있는 자격을 얻고 방문하게 된다. 이는 십자군 전쟁 이후 최초로 서유럽 군인들이 예루살렘에 입성한 것이기도 했다. 1799년 아크레 전투는 69일간의 공성전이 되었으나 결국 나폴레옹은 패전한다. 이 패전은 나폴레옹 군사경력 중 최초의 실패 사례였다. == 대중문화에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레(acre).png|width=100%]]}}}|| * 게임 [[어쌔신크리드]]의 주무대 중 하나로 등장한다. [[분류:나라별 성채]][[분류:이스라엘의 도시]][[분류:십자군 전쟁]][[분류:옛 수도]][[분류:이스라엘의 세계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