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칸센)] ||<-2> {{{#white {{{+1 秋田車両センター}}}[br]Akita Depot / 아키타 차량센터}}} || ||<-2> '''위치''' || ||<-2> [include(틀:지도, 장소=秋田車両センタ?, 너비=100%, 높이=300px)] || ||<-2> '''기본 정보''' || || '''위치''' || [[아키타현]] [[아키타시]][br]나라야마조난신마치 35-1[br](秋田県秋田市楢山城南新町35-1) || || '''철도[br]사업자''' ||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3ea343 JR 동일본}}}]] || || '''귀속 조직''' || 아키타 지사 || || '''약칭''' || 아키아키 (秋アキ), 칸아키 (幹アキ)[br]아키 (秋) || ||<-2> '''소속 량수''' || || '''기관차''' || 6량 || || '''전동차''' || 317량 || || '''기동차''' || 72량 || || '''객차''' || 1량 || || '''화차''' || 28량 || || '''총합''' || 424량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키타현]] [[아키타시]] [[요츠고야역]] - [[아키타역]] 중간에 있는 JR 동일본의 차량기지며, 아키타 지사 관할이다. 아키타 종합 차량센터와는 다르긴 한데 나무위키에서는 본 항목에서 같이 서술한다. 또한, 기관사 업무 시설인 히로사키 운수구도 같이 설명한다. '아키타 종합 훈련 센터'가 개설되어 있어, 신입 기관사와 차장의 종합적인 훈련을 실시한다. == 연혁 == * 1902년 11월 2일: 아키타 기관고 발족. * 1936년 9월 1일: 아키타 기관구로 개칭. * 1971년 3월 5일: 아키타 운전구 발족. * 1987년 3월 1일: 아키타 기관구 여객열차 부문을 아키타 운전구 아키타 파출소로 분리.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활 민영화에 따라 JR 동일본의 소속이 됨. 아키타 기관구도 동시에 JR 화물 도호쿠 지사에 소속됨. * 2004년 4월 1일: 아키타 차량센터로 개칭. * 2019년 4월 1일: 신칸센 총괄본부 발족, E6계 차량을 총괄본부로 이관.[* 차량기지 자체는 아키타지사 관할이고, 신칸센 총괄본부 소속 직원이 차량센터에 상주(배치)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 아키타 종합 차량센터 == * 위치: 아키타 현 아키타 시 츠치자키 미나토히가시 3쵸메 1-1 (秋田県秋田市土崎港東3丁目1-1) [[아키타역]] - [[츠치자키역]] 중간에 위치한 종합 검수 시설이자 차량 공장이다. 원래 여기는 각종 차량의 제조 및 개조, 정비, 폐차를 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개조나 폐차만 담당한다. 또한, 기동차의 중검수또한 여기서 실시하며 차량의 도색도 이곳에서 실시한다. 일본 국내 및 국외에서 연수생을 매년 받고 있다. == 히로사키 운수구 == * 위치: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오모테마치 1-1 (青森県弘前市大字表町1-1)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히로사키역]] 구내에 있는 기관사 운전업무를 담당하는 곳이다. [[고노선]] 전구간, [[오우 본선]] 아키타~아오모리 구간의 승무원 및 기관사들의 운전 업무를 담당한다. [[히로사키역]]에서 승무원 교대가 이루어진다. == 배치 차량 == 2018년 4월 1일 기준 [[오우 본선]] (신조 - 아오모리역), [[아키타 신칸센]], [[우에츠 본선]] (사카타 - 아키타), [[타자와코선]], [[오가선]], [[고노선]], [[츠가루선]] 열차를 관리하고 주박한다. * [[신칸센 E6계 전동차]] (24편성 168량) * 0번대 7량 편성 24개(Z1-Z24)가 배치되어 있다. [[코마치(열차)|코마치]], [[하야부사(신칸센)|하야부사]], [[야마비코(신칸센)|야마비코]], [[나스노]]로도 운용된다. * 2019년 3월 1일자로 차량자체는 신칸센 총괄본부로 이관되었다. 다만 소속과 정비는 계속 여기서 받는다. * [[583계 전동차]] (1량) * 쿠하네 583-17만 배치되어 있다. 곧 폐차 예정이다. * [[701계 전동차]] (52편성 118량) * 0번대 3량 편성 13개(N1-N13), 2량 편성 25개 (N14-N38) * 100번대 3량 편성 1개(N101), 2량 편성 3개 (N102-N104) * 5000번대 2량 편성 10개(N5001-N5010) * 0번대, 100번대는 오우 본선 (신조~아오모리), 츠가루선 (아오모리~카니타), 우에츠 본선 (츠루오카~아키타)에서 운용된다. * 5000번대는 표준궤 전용이며 [[타자와코선]], 오우선 아키타~오마가리간 운용된다. * [[E751계 전동차]] (3편성 12량) * 4량 편성 3개(A101-A103)이 배치되어 있다. 특급 '츠가루'로 운용된다. * 원래 아오모리 차량센터 소속분이었으나 [[모리오카 차량센터]]에 흡수로 인하여 전입하였다. * [[719계 전동차]] (2편성 4량) * 0번대 2량 편성 2개(H10, H13)이 배치되어 있다. 오우선 인나이~오이와케에서 운용된다. * 원래 [[반에츠사이선]] 용이었으나 2017년 3월에 [[센다이 차량센터]]에서 전입하였다. * [[EV-E801계 전동차]] (1편성 2량) * 2량 편성 1개(G1)이 배치되어 있다. 오우본선, [[오가선]] 전선에서 운용되고 있다. * 2016년 12월 19일에 새롭게 배치된 하이브리드 축전지 전동차다. * [[키하 40계 동차]] (29량) * 500번대 24량, 1000번대 1량, 2000번대 4량이 배치되어 있다. * 500번대는 고노선, 오가선, 츠가루선에서 운용되며, 1000번대와 2000번대는 오가선에서 운용된다. * 키하 48형 동차[* 키하 40계의 수많은 변종중에 한개. 제원은 키하 40계 참고.] (32량) * 500번대 15량, 700번대 4량, 1500번대 12량, 1700번대 1량이 배치되어 있다. * 오우 본선, 고노선, 츠가루선에 운용되며 임시열차 '조이풀트레인 리조트 시라카미' 4량편성 2개와 '크루즈 트레인' 2량편성 1개가 재적하고 있다. * '크루즈 트레인'은 원래 '리조트 시라카미, 아오이케' 편성으로 3량 조합이었으나, 아래의 HB-E300계가 등장하고 나서 1량을 더 조합하여 4량이 되었다. 남은 선두차 2량은 새롭게 '크루즈 트레인'으로 운용이 된다. * [[HB-E300계 동차]] (2편성 8량) * '리조트 시라카미 아오이케'용 4량 편성 2개개 배치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2015년식 신차이며 전술한 키하 40계 패밀리를 대체하고 있다. * 키야 E193계 동차 (3량) * 3량 편성 1개가 배치되어 있다. 종합궤도 시험용 차량이다. * 마니 50형 (1량) * 구호차량 대체용이다. * ED75형 전동차 (2량) * 주로 사업용 공사열차를 견인한다. * 당 센터에 배치된 775기는 2007년 5월 말에 배급열차로 [[오미야 종합 차량센터]]에 회송되어 현재는 [[철도 박물관]]의 전시 차량이다. * EF81형 전동차 (1량) * 아오모리 차량센터의 통합으로 136호기가 2016년 2월 2일에 본 차량센터로 전입하였다. 139호기도 3월에 전입하였으나 타바타 운전소로 또 전출하였다. * DE10형 동차 (3량) * 사업용 공사열차와 임시열차, [[키타카미선]]의 임시 열차나 회송 열차를 견인하는 용도로 쓰인다. * 티키 5200형 (4량) * 레일 수송용 [[화차(철도)|화차]]다. * 호키 800형 (24량) * 자갈 수송용 화차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JR 히가시니혼/차량기지, version=7, paragraph=2.1)] [[분류:일본의 차량사업소]][[분류:아키타 신칸센]][[분류:JR 동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