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가라르지방의 체육관 관장)] [include(틀:포켓몬스터/풀 타입 네임드 트레이너)] ||<-3>
[[파일:아킬.png|width=50%]] || ||<-3> ''파이팅 파머'' || || '''성별''' ||<-2> [[남성]] || ||<|2> '''트레이너 계급''' ||<-2> [[체육관 관장]] || ||<-2> [[포켓몬 트레이너]] || || '''지방''' ||<-2> [[가라르지방]] || || '''담당 지역''' ||<-2> [[터프스타디움]] || || '''배지''' ||<-2> [[파일:Grass_Badge.png|height=60]][br]풀배지 || || '''주된 타입''' ||<-2> [include(틀:풀타입)] || || '''데뷔작''' ||<-2> [[포켓몬스터소드·실드]] || || '''세대''' ||<-2> 8 || || '''등장 게임''' ||<-2>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정보 더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출신지''' ||<-2> [[터프마을]] || ||<|3> '''새벽빛의 날개 성우''' || [[신가키 타루스케]]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 [[류승곤]][* 첫 포켓몬 애니 출연작이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 || [[잭 아귈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 }}}}}}}}} || >'''우오오! 우리는 끈기 있게 버틸 겁니다! 끈기야말로 농사일의 생명!''' >'''자! 다이맥스다! 뿌리째로 뽑아드리겠습니다!''' [목차] [clearfix] == 소개 == === 캐릭터 정보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가라르지방]]에 있는 [[포켓몬체육관]]의 [[체육관 관장]] 중 한 사람. 우람한 근육질 떡대와 그에 어울리지 않는 동글동글한 얼굴을 한 남성으로, 상냥한 성격 때문에 체육관 트레이너들에게도 사랑받고 있다. 「승부를 즐기자」는 모토 아래, 풀타입 포켓몬을 주력으로 끈기 있는 배틀을 선보인다. === 그 외 === ==== 기타 ==== * || [[파일:아킬 다이맥스.gif|width=100%]] || || 아킬의 다이맥스 모션 || 다이맥스 시전시 볼을 정성껏 어루만지다 힘껏 던진다. * 체육관은 우르 20마리를 파란 영역에 넣으면 우르 20마리가 짚더미를 뚫는 방식이다. 중간에 멍파치가 있으며, 도감에 있는 설정대로 우르를 관리하는 포켓몬이 멍파치인데, 우르들이 멍파치를 보면 깜짝 놀라 멍파치가 없는 방향으로 흩어진다. * 앳되어 보이는 얼굴에 키도 [[채두]]와 비슷한 정도인 것에 비해서, 몸은 굉장히 크고 우람한 근육질이라 상당히 이질적이다.[* 게다가 포켓몬 세계관의 모든 트레이너들을 살펴봐도 아킬처럼 근육질인 캐릭터는 그나마 격투 타입 트레이너 몇명과 [[맥실러]] 정도고, 그마저도 근육이 강조되는 캐릭터는 아킬과 더불어 [[시바(포켓몬스터)|시바]]정도 밖에 없다.] 그의 근력과 체력, 그리고 실력은 어릴 적부터 포켓몬들과 함께 지내면서 단련된 것이라고 한다. 사실 이건 [[하푸우]]에 이은 농부 캐릭터로서의 피드백을 이어받은 결과에 가까운데, 하푸우가 정겹고 푸근한 느낌은 잘 소화했지만 10세 이하로 보이는 어린이가 성인도 힘들어한다는 농사일을 한다는 것이 비현실적이라는 느낌이 있는지라 젊은 농부라는 현실적인 체격에 맞춘 디자인이란 평가다. * 흰 자위가 없는 눈에 녹안, 남성 풀 타입 체육관 관장이라는 점에서 [[덴트(포켓몬스터)|덴트]]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 단, 덴트는 깔끔한 웨이터 이미지인데 반해 아킬은 듬직한 농부의 이미지로 상반된다. * 등 번호 831은 고로아와세로 읽으면 야사이, 즉 일본어로 [[야채]]가 된다. 참고로 전국도감에서 831번 포켓몬은 [[배우르|우르]]인데, 우르도 아킬과 관련이 깊은 포켓몬이라는 걸 생각하면 묘한 부분. * 역대 첫번째 체육관 관장들 중 포켓몬 레벨이 가장 높다. 가라르지방은 시작부터 첫 체육관까지의 텀이 가장 길기 때문. * 캐릭터 디자인은 일러스트레이터 [[타케]]가 담당했다. * 리그 카드에 의하면 야청이 아킬을 라이벌로 생각한다고 하지만 아킬 본인은 자신이 곧 라이벌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가 승부를 즐긴다는 점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야청의 승부욕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 야청은 계속 아킬에게 졌는지, 새벽빛의 날개에서는 아킬에게 진 직후 분해하며 쥐고있던 종이컵을 힘껏 쥐어 찌그러트리는 모습이 나온다. * 순하고 잘 웃고 다니고 귀여운 인상인데 몸집은 크고 근육질인 곰돌이 같은 상이어서 귀엽거나 순하게 나오는게 보통이며, [[야청]]이나 [[채두]]와 같이 그려지기도 한다. 동성으로는 마쿠와, 어니언, 금랑, 승재와 엮인다. * 설정화에는 동생이 한 명 나와있다. * [[피오니]]한테 [[레지락]]을 보여줄 때, 우락부락한게 풀타입 체육관 관장을 닮았다고 하면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 삽화 ==== ||
[[파일:아킬 일러스트.png|width=100%]] || || [[승재(포켓몬스터)|{{{#fff 승재}}}]]{{{#fff 의 도전을 받아주는 '''아킬'''}}} || ||
[[파일:IMG_20191216_131742.jpg|width=100%]] || || {{{#fff '''설정화'''}}} || ==== 리그 카드 ==== ||<-2>
{{{+2 {{{#fff '''League Card'''}}}}}} || || [[파일:리그카드_일반_아킬.png|width=100%]] ||농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포켓몬들과 함께 일하면서 근력과 체력뿐만 아니라 포켓몬 트레이너로서의 재능도 갈고닦았다. 상냥한 성격 때문인지 강하지 않은 상대에게는 전력을 다하지 못하기 때문에 체육관 챌린지에서 첫 번째 체육관을 맡고 있다. 애용하는 고무장화는 지지력이 좋아서 마음에 든다고 한다. || || 앞면 || 뒷면 || ||<-2>
{{{+2 {{{#fff '''Rare League Card'''}}}}}} || || [[파일:리그카드_레어_아킬.png|width=100%]] ||결과에 상관없이 승부 자체를 즐겨 성적은 부진하지만 아킬 본인은 매우 강하다. 체육관 챌린지에서도 우르들이 무너뜨리는 건초롤은 하나에 350Kg이나 되지만 아킬은 거뜬히 굴리고 다닌다. 이를 따라서 우르도 구른다. 너무 굴러서 체육관 스타디움 밖으로 탈출한 우르를 뒤쫓는 아킬과 멍파치를 마을 사람들이 다 같이 뒤쫓는 것이 터프마을의 새로운 명물이 되었다.|| || 앞면 || 뒷면 || ==== 관련 테마곡 ==== ||<-3><:>{{{#!HTML}}}|| ||<|2> '''전투! 체육관 관장[br]{{{-2 (소드·실드)}}}''' || 작곡가 || 편곡가 || || 아다치 미나코 || 아다치 미나코 || ||<-3><:>{{{#!HTML}}}|| ||<|2> '''전투! 체육관 관장,,(포켓몬 교체),,[br]{{{-2 (소드·실드)}}}''' || 작곡가 || 편곡가 || || 아다치 미나코 || 아다치 미나코 || ||<-3><:>{{{#!HTML}}}|| ||<|2> '''승리! 체육관 관장[br]{{{-2 (소드·실드)}}}'''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아다치 미나코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한국어 || 아킬 || 서양톱풀의 학명 'Achillea millefolium' 에서. || || 일본어 || 야로 ヤロー || 서양톱풀을 뜻하는 영어 'yarrow' 에서. || || 영어 || 마일로 Milo[* [[마쿠와]]의 이탈리아어 이름과 동일하다.] || 서양톱풀의 학명 'Achillea millefolium' 에서. || || 중국어(간체) || 亞洛[br]Yǎluò ||<|2> 일칭의 음차. || || 중국어(정체) || 亞洛[br]Alok || ==== 대사 ==== ||
'''{{{#ffffff 배틀 시작 전}}}''' || ||저의 포켓몬체육관은 첫 번째 체육관이라 계속해서 챌린저가 찾아옵니다. 그래서 체육관 미션도 비교적 어렵게 내고 있습니다만... 훌륭하게 체육관 미션을 클리어하셨군요! 역시 대단하시네요. 그렇다는 건 당신이 포켓몬을 아주 깊게 이해하고 있다는 뜻이겠죠? 이거 만만치 않은 승부가 되겠네요! 저도 다이맥스를 사용해야겠어요.|| ||'''{{{#ffffff 에이스 출전 직전}}}''' || ||우오오! 우리는 끈기 있게 버틸 겁니다! 끈기야말로 농사일의 생명!|| ||'''{{{#ffffff 다이맥스 전}}}''' || ||자! 다이맥스다! 뿌리째로 뽑아드리겠습니다!|| ||'''{{{#ffffff 에이스 기술 시전}}}''' || ||경악하게 만들어 드리죠. 이것이 바로 다이맥스기술입니다!|| ||'''{{{#ffffff 배틀 종료}}}''' || ||풀의 힘이 모두 시들어버리다니... 당신은 정말 굉장한 체육관 챌린저군요!|| ||'''{{{#ffffff 배틀 후}}}''' || ||당신에게는 많은 결실을 얻은 포켓몬 승부였겠네요. 체육관 챌린지에서 체육관 관장을 이긴 증표로 '풀배지'를 드리겠습니다. 체육관 배지를 8개 모으는 것이 체육관 챌린지의 돌파 조건입니다. 다른 체육관 관장에게도 도전해서 멋지게 승리를 쟁취하세요!|| == 소유 포켓몬 == ===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 터프스타디움 ==== || [[파일:gossifleur.gif]] || [[파일:eldegoss.gif]] || || [[꼬모카]] ♂[br](Lv.19) || [[백솜모카]] ♂[br](Lv.20)[br]{{{-2 다이맥스 사용}}} ||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 __특성__:[br]재생력 || __특성__:[br]재생력 ||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 __기술배치__:[br][[매지컬리프]][br][[돌림노래]][br][[고속스핀]] || __기술배치__:[br][[매지컬리프]][br][[나뭇잎]][br][[돌림노래]] || ==== 포켓몬리그 ==== ===== 소드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shiftry.gif]] || [[파일:eldegoss.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cherrim.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bellossom.gif]] || [[파일:flapple-gigantamax.gif]] || || [[다탱구]] ♂[br](Lv.60) || [[백솜모카]] ♂[br](Lv.60) || [[체리꼬]] ♀[br](Lv.61) || [[아르코]] ♀[br](Lv.61) || [[파일:소실거다이.png]][[애프룡]] ♂[br](Lv.62) ||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include(틀:악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include(틀:드래곤타입)] || || __특성__:[br]일찍기상 || __특성__:[br]재생력 || __특성__:[br]플라워기프트 || __특성__:[br]엽록소 || __특성__:[br]숙성 ||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 __기술배치__:[br][[리프블레이드]][br][[지옥찌르기]][br][[누르기]][br][[속이다]] || __기술배치__:[br][[방어(포켓몬스터)|방어]][br][[코튼가드]][br][[하이퍼보이스]][br][[기가드레인]] || __기술배치__:[br][[쾌청(포켓몬스터)|쾌청]][br][[솔라빔]][br][[매지컬샤인]][br][[웨더볼]] || __기술배치__:[br][[쾌청(포켓몬스터)|쾌청]][br][[솔라빔]][br][[오물폭탄]][br][[문포스]] || __기술배치__:[br][[G의힘]][br][[드래곤다이브]][br][[용의춤]][br][[애크러뱃]] || ===== 실드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ludicolo.gif]] || [[파일:eldegoss.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cherrim.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bellossom.gif]] || [[파일:flapple-gigantamax.gif]] || || [[로파파]] ♂[br](Lv.60) || [[백솜모카]] ♂[br](Lv.60) || [[체리꼬]] ♀[br](Lv.61) || [[아르코]] ♀[br](Lv.61) || [[파일:소실거다이.png]][[단지래플]] ♂[br](Lv.62) || || __타입__:[br][include(틀:물타입)][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 || __타입__:[br][include(틀:풀타입)][include(틀:드래곤타입)] || || __특성__:[br]젖은접시 || __특성__:[br]재생력 || __특성__:[br]플라워기프트 || __특성__:[br]엽록소 || __특성__:[br]숙성 ||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__지닌 도구__:[br]없음 || || __기술배치__:[br][[씨폭탄]][br][[폭포오르기]][br][[누르기]][br][[속이다]] || __기술배치__:[br][[방어(포켓몬스터)|방어]][br][[코튼가드]][br][[하이퍼보이스]][br][[기가드레인]] || __기술배치__:[br][[쾌청(포켓몬스터)|쾌청]][br][[솔라빔]][br][[매지컬샤인]][br][[웨더볼]] || __기술배치__:[br][[쾌청(포켓몬스터)|쾌청]][br][[솔라빔]][br][[오물폭탄]][br][[문포스]] || __기술배치__:[br][[사과산]][br][[용의파동]][br][[철벽]][br][[HP회복]] ||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포켓몬스터 새벽빛의 날개]] === 3화에서 목장일을 하던 도중 가출한 [[호브]]의 [[우르(포켓몬스터)|우르]]가 절벽에서 굴러 목장으로 들어온 것을 발견한다. 이후 목걸이의 태그를 보고 우르가 가출한 것을 알게 되고 [[아머까오]] 택시기사에게 --강제로--우르를 맡긴다. === [[포켓몬스터 스페셜]] === 일하던 중 동생이 찾아와 단델이 추천한 소드와 실드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6화에서 가라르 광산 입구에서 실드,호브,비트,마리가 바위를 치우는 것을 보고 올해 챌린저들은 굉장한 것 같다고 말하며 아머까오 택시를 타고 터프마을로 돌아간다. 그리고 터프스타디움에서 소드와 배틀을 한다. 꼬모카가 소드의 쇠골에게 지자 백솜모카를 다이맥스시킨다. 7화에서 백솜모카의 솜털을 이용해 상대방의 시야를 가리고 그 틈에 공격하는 전술을 사용한다. 그리고 백솜모카의 다이맥스가 풀려 원래대로 돌아오고, 소드의 랜스가 쓰러진 줄 알았으나 소드의 랜스는 쓰러지지 않았고 아직 다이맥스가 풀리지 않아서 다이너클에 백솜모카가 맞아서 시합 불가능이 되어 아킬이 지게 된다. [[분류:체육관 관장/가라르지방]][[분류:포켓몬스터 소드·실드/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