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데몬(유희왕), top2=붉은 눈)] [목차] == 개요 == [[유희왕/OCG]]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53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일어판명칭=悪魔竜(あくまりゅう)ブラック・デーモンズ・ドラゴン, 영어판명칭=Archfiend Black Skull Dragon, 몬스터=, 효과=, 융합=, 레벨=9,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2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6 "데몬" 일반 몬스터 + "붉은 눈" 일반 몬스터, 효과외1=자신은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 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융합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자신 묘지의 "붉은 눈"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그 후\,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 [* 듀얼링크스는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의 데미지] 15년 만에 등장한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리메이크 몬스터로, [[블랙 데몬즈 드래곤|원본]]의 상위호환 카드. "악마룡"이라는 호칭은 원작 [[유희왕]]에서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으로 불렸던 점에서 유래한 것이며, 원본과 달리 융합 소재가 더 널널하고 추가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 일단 블랙 데몬즈 드래곤은 소재의 카드명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융합 징병]] 등의 카드와 연계할 여지가 있어 완전히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나, 필드에 나올 일은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좋다. ①의 효과는 전투하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의 효과 발동을 막는 [[지속효과]]. 높은 타점을 살려 안정적인 전투가 가능해지며, ②의 효과 발동 조건 충족을 돕는다. '공격'시가 아니라 '전투'시이기 때문에 상대가 이 카드를 공격할 때 발동하는 효과도 발동할 수 없고, 덕분에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이나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혹은 [[잠자는 거인 즈신]] 같은 전투 성능이 뛰어난 몬스터들을 일방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다만 발동을 막는 것이므로 지속 효과는 막을 수 없다. ②의 효과는 전투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묘지의 붉은 눈 일반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고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는 [[유발효과]]. "융합 소환한 이 카드"만 효과를 발동할 수 있어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등으로 재소환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지만, 이 카드를 한 번 정규 소환한 후에는 거의 필연적으로 묘지에 붉은 눈 일반 몬스터가 마련되기 때문에 최소 1번은 2400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덱으로 되돌리는 것은 소생 효과가 많은 붉은 눈 덱에 있어서는 디메리트에 가깝지만, 융합 소재로 재사용하거나 [[전설의 흑석]]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득도 있다. 원본과 마찬가지로 높은 공격력과 높은 수치의 효과 데미지 덕분에 쓸모가 없는 몬스터는 아니다. 그러나 타점도 효과로 주는 데미지도 미묘하여 원 턴 킬 수준은 커녕 LP를 절반 줄이는 것도 쉽지 않고, 전투하는 동안을 제외하면 어떠한 내성도 없어 쉽게 제거당한다. 가장 큰 문제는 소환 방식이다. 소환 자체는 [[붉은 눈 융합]]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나, 붉은 눈 융합을 발동한 턴에는 추가 소환이 불가능하여 이 카드와 함께 전투 데미지를 줄 몬스터를 준비하기 어려울뿐더러,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융합 소재로 반드시 일반 몬스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 [[붉은 눈의 흑룡]]이야 붉은 눈 덱이라면 채용할 만한 카드지만, [[데몬 소환]]이나 탈와르 데몬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 이외의 사용처가 사실상 없는 카드라 덱에 부담을 준다. 일러스트나 발매 시기로 보아 [[붉은 눈의 흑염룡]]과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을 융합하여 소환하는 것을 상정한 것으로 보이는데, 문제는 '''듀얼 몬스터가 덱에서는 일반 몬스터로 취급하지 않는다'''는 부분이다. 듀얼 몬스터는 필드와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로 취급하므로 붉은 눈 융합으로 이 카드를 소환하려면 두 몬스터를 필드에 직접 소환해야만 한다. 때문에 이 카드를 상술한 두 몬스터로 소환하려면 [[용의 거울]] 같은 카드를 추가로 채용해야 하며, 안 그래도 효과가 미묘한 이블 데몬은 존재 가치를 크게 잃었다. [[붉은 눈의 강염룡]]과 마찬가지로 일러스트 상의 소재를 사용하는것이 더 불편한 특이한 경우다. 더구나 [[붉은 눈 융합]]으로 소환 가능한 또다른 융합 몬스터인 [[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의 등장 이후로는 더욱 사용 가치를 잃었다. 유성룡에게 타점으로도, 효과의 범용성으로도 밀리며 무엇보다 소재가 너무 무겁다. 유성룡은 소재로 일반 몬스터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듀얼 몬스터 역시 소재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이 카드의 개선판이라고 보아도 되는 수준. 따라서, 게임의 승리보단 다양한 붉은 눈 카드의 활용을 지향하는 몇몇 덱들을 제외한 일반적인 붉은 눈 계열 덱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카드가 되었다. 하지만 [[듀얼 링크스]]의 경우엔 상황이 다르다. LP가 4000으로 시작하는 듀얼 링크스에서는 효과들의 위력이 훨씬 강력하기 때문. 3200 타점 + 전투 시 효과 발동 차단 + 효과 데미지로 원 턴 킬도 가능한 수준이다. 이 카드는 다른 붉은 눈 몬스터보다 늦은 시기인 [[CHAOTIC SOLDIERS]]에서 출시되었는데, 상술한 이유로 듀얼 링크스에서는 너무 강한 카드기에 출시가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링크스의 효과 데미지 조정의 영향으로 데미지 수치가 절반으로 줄었음에도 실제로도 우수한 카드다. == 융합 소재 몬스터 == === 레벨 6 "데몬" 일반 몬스터 === * [[데몬 소환]] * [[탈와르 데몬]] *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나이트메어 데몬즈|나이트메어 데몬 토큰]] (토큰) === "붉은 눈" 일반 몬스터 === * [[붉은 눈의 흑룡]] * [[붉은 눈의 흑염룡]]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관련 카드 == * [[블랙 데몬즈 드래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 || CORE-JP04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4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각주] [[분류:붉은 눈]][[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