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동시의 시내버스)] [[파일:110_3316.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안동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안동시 일반간선버스 11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동 110번 지도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안동터미널) ||<-2> 종점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안동대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06:40 ||<|2> 기점[br]행 || 첫차 || 06:35 || || 막차 || 22:10 || 막차 || 22:00 || ||<-2> 배차간격 ||<-4> 10~20분 (1일 64~66회) || ||<-2> 운수사명 || [[경안여객]] ||<-2> 인가대수 || 8대 || ||<-2> 노선 ||<-4> [[안동터미널]] - 서문교회 - [[옥동주공 3단지|옥동3주공아파트]] - 옥동6~7주공아파트 - [[옥동 휴먼시아 8단지|옥동휴먼시아8단지아파트]] - 아랫제마을 - 옥동사거리 - 태화우성아파트 - 경덕중학교입구 - 안동우체국 - 신시장 - 교보생명 - 구 안동역 - 용상시장 - 용상우체국 - 수도사업소입구 - [[안동대학교]]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안동터미널''' 방향 || 수도사업소입구 ^^06:05, 06:20^^ || || '''안동대학교''' 방향 || 옥동6~7주공아파트 ^^06:05, 06:25^^ || == 개요 == [[경안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간선버스 노선. 안동터미널, 안동대와 안동시내를 잇는다. [[http://naver.me/5ZwG2XGm|전체 정류장 목록]] [[http://www.andong.go.kr/andong/contents.do?mId=0606010200#bus_03|노선도]] == 역사 == * 예전에는 기종점이 용상동 수도사업소, 회차하는 곳이 안동대교였다. 용상에서 출발해서 안동대교 회차 뒤 용상으로 들어가는 노선인데, 1번은 용상-시내-MBC-태화오거리-안동대교-태화삼거리-역전-용상 이렇게 돌고, [[안동 버스 2|2번]]은 그 반대였다. 간혹 기사 재량으로 안동대교까지 안가고 태화우성에서 회차할때가 있었다. 그 이유는 안동대교까지는 손님이 사실상 생명과학고(구, 안동농고) 학생들 위주였고 농고 학생들이 하교할때는 꽤 사람이 많았다 농고서 태화우성까지는 도보로 대략 35분 소요되는 만큼 먼거리를 걸어서 하교하였으며 1999년까지 그랬다고 한다. * 2000년 경 옥동이 개발되면서 옥동까지 연장되었다. 기,종점이 용상에서 옥동 [[이마트 안동점]] 옆 회차지로 변경되었다.[* 과거 옥동발 차량 회차지로 쓰던 곳은 고물상이 들어섰다.] * 옥동 신도시 개발 초기 때 1번과 2번이 이마트쪽 골목길로 운행했으며 당시 [[이마트 안동점]]이 생기기 전이었다. * 2011년에 안동터미널이 이전하면서 종점이 안동터미널로 연장되었으며, 수도사업소 종점 역시 안동대로 연장되었으며, 이 때부터 1번은 신시장 - 구 안동역 구간을, 2번은 운안동 - 화성동 구간을 전담하여 왕복운행하게 된다. * 2018년 1월 1일에 책임노선제가 시행되면서, 기존 3사 공배에서 경안여객 단독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3월 16일에 6시 25분 차량이 옥동 출발로 바뀌어 터미널 첫차가 6시 25분에서 6시 40분으로 늦춰졌다. 그리고 터미널 행 막차가 21시 55분에서 22시로 조정되었으며, 옥동사거리 중간타절 시간대(안동대 22:05, 22:20)가 사라지고 옥동3주공 중간타절 시간대(안동대 22:10)가 생겼다. * 2018년 9월 8일 조정으로 안동터미널 발 막차가 22시 30분으로 늦춰지고, 중간종료가 모두 사라졌다. * [[2022년 안동 시내버스 개편|2022년 3월 21일 안동 시내버스 개편]]으로 8대로 줄어들고 110번으로 변경되었다. 사실상 노선상의 변화는 아예 없다. 번호와 배차만 달라졌을 뿐이다. == 특징 == * 안동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3개 노선(110번, [[안동 버스 111|111번]], [[안동 버스 212|212번]]) 중 하나이며, 경안여객의 초 주력 노선이다. 안동대학교 통학수요와 시내 주요지점(터미널, 옥동, 송현동, 구도심, 용상동, 안동대학교)을 모두 지나기 때문에 오전과 오후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면 항상 손님이 많다. 그나마 212번이 있어 안동터미널 행 수요가 줄어 조금 나아졌다. 110번은 옥동을 빙빙 둘러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여기서 잡아먹는 시간이 길다. * 신시장 뒤쪽 시내를 통과하는 212번과 달리 110번은 신시장 앞을 통과한다. 때문에 안동 장날[* 매월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이 열리는 날이면 미어터지므로 이 때는 웬만하면 212번을 타는 게 낫다. * 옥동주공아파트 단지에서 약간의 [[굴곡 노선/버스|굴곡]]이 있다. 하지만 큰길만 경유해서 나오는 편이라서 크게 불편하지는 않다. * 110번으로 바뀐 이후에도 버스 전면에 1이라고 적힌 빨간색 원형 스티커가 예비차를 제외하고 붙어 있었으며, 2023년 10월 기준 제거된 게 확인됐다. * [[엄마 까투리]] 꽁지 버스가 이 노선에 대부분(항상) 배차된다. * 2022년 탈춤 축제 '탈난 세상,영웅의 귀환' 기간 동안에는 구 안동역, 웅부공원, 안동교회, 성소병원을 경유했다. 축제로 인해 110번의 운행 경로인 구 안동역~안동초등학교까지의 도로가 막혔기 때문이다. === 시간표 === || {{{#fff '''110'''번 운행시간표 {{{-2 '''(2022년 9월 5일 기준)'''[br][[https://www.andong.go.kr/portal/bbs/list.do?ptIdx=66&mId=0606010100|{{{#fff 안동시 홈페이지 발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안동터미널 ,,(기점),,''' || '''시간''' || '''안동대학교 ,,(종점),,''' || || {{{#f00 '''05 25'''}}} 40|| '''06''' ||{{{#00f,#0f0 '''05 20'''}}} 35 50 || || 00 20 30 40 55|| '''07''' ||05 20 35 55 || || 05 20 40 55|| '''08''' ||15 30 40 50 || || 10 30 45|| '''09''' ||05 20 35 55 || || 00 15 30 45|| '''10''' ||05 20 40 55 || || 00 20 35 50|| '''11''' ||10 25 40 55 || || 05 20 35 50|| '''12''' ||15 35 55 || || 05 20 40 55|| '''13''' ||10 20 30 45 || || 10 25 40 55|| '''14''' ||00 15 35 55 || || 10 25 40 55|| '''15''' ||05 15 30 50 || || 15 30 45 55|| '''16''' ||05 20 35 50 || || 05 15 25 40 55|| '''17''' ||05 20 35 50 58 || || 10 25 40 55|| '''18''' ||08 23 35 50 || || 10 20 35 50|| '''19''' ||05 20 35 50 || || 05 20 35 45 55|| '''20''' ||05 15 35 50 || || 10 25 40 55|| '''21''' ||10 30 45 || || 10|| '''22''' ||00 || ||<-3> {{{#f00 '''█'''}}} - 옥동 중간출발 {{{#00f,#0f0 '''█'''}}} - 용상 중간출발 || }}}}}}}}}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안동역]](KTX-이음, 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안동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