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안동시/정치, top2=예천군/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북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안동시·예천군}}}}}}'''[br]{{{-1 {{{#fff [[안동시|{{{#fff 안동시}}}]], [[예천군|{{{#fff 예천군}}}]][br]安東市·醴泉郡[br]Andong–Yecheo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안동시·예천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14,897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북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안동시|{{{#373a3c,#ddd 안동시}}}]] 전역'''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 '''[[예천군|{{{#373a3c,#ddd 예천군}}}]] 전역''' 예천읍, 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 || ||<-2> '''신설년도'''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 ||<-2> '''이전 선거구''' ||<-2> [[안동시(선거구)|안동시]], [[영주시·문경시·예천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김형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21대 총선]]을 앞두고 새로 생긴 [[경상북도]]의 선거구로 [[경상북도청신도시]]를 관할하고 있다. [[예천군]]이 합류하면서 안동 특유의 문중 대결구도의 영향이 적어질 수도 있다고 예측되었지만[* 안동시에서는 소속 정당보다 [[안동 김씨]]와 [[안동 권씨]] 문중의 위세가 선거 판세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잦다.] [[안동시]]가 차지하는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아 이번에도 문중 대결이 성사되었다. 그래도 [[김형동]] 의원이 텃밭에서 과반 이하의 득표를 얻은 이유가 [[권오을]], [[권택기]]와 같은 [[안동 권씨]] 후보자들의 견제와 예천군민들의 문중 정치에 대한 반감이 작용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안동시(선거구)|안동시가 독자적인 선거구]]를 구성했던 시절에도 [[권오을]]이 [[1991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1990년)|민주당]] 당적으로 경상북도의원 선거에서 당선되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당적으로 안동시 갑에서 당선된 이유는 [[안동시]]가 [[포항시 북구(선거구)|포항시 북구]], [[포항시 남구·울릉군]], [[구미시 갑]], [[구미시 을]], [[경산시(선거구)|경산시]]처럼 젊은 층 인구나 외지인 비율이 높다는 이유 혹은 [[경주시(선거구)|경주시]]의 [[권영국]]처럼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 출마한다는 이유로 진보세가 강하고 보수세가 약한 것이 아니라, 순전히 '''[[안동 권씨]], [[안동 김씨]], [[의성 김씨]], [[진성 이씨]], [[전주 류씨]], 풍산 류씨의 문중 정치'''의 영향이 강하다는 증거다. 즉 [[안동 김씨]]나 [[안동 권씨]]의 경우 같은 성씨, 같은 문중 출신이 두 명 이상 나가지 않는 이상 당선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국민의힘]]에서도 문중의 눈치를 보고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시장(공무원)|시장]], [[군수]]와 [[지방의회의원|지방의원]] 후보를 공천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말은 [[더불어민주당]]도 [[권오을]]의 사례처럼 [[안동 권씨]], [[안동 김씨]], [[의성 김씨]], [[진성 이씨]], [[전주 류씨]], 풍산 류씨 등 문중 내 유력 인물을 공천한다면 경북 북부에서도 당선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그만큼 안동시는 당보다는 가문이 더 중요한 곳이라는 뜻. 실제로 안동시는 경상북도치고는 민주당 시의원이 많은 편인데, 민주당 시의원도 상당수 [[안동 김씨]] 출신이기도 하다.] 그리고 예천군도 안동시보다는 덜 하지만 집성촌이 많고 안동시와 인접한 지역이기 때문에 만에 하나 다시 예천군 단독으로 분구된다고 하더라도 문중 대결구도가 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나마 [[경북도청신도시]]에 새로 유입되는 인구, [[SK바이오사이언스]] 안동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연구원]], 생산직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이를 상쇄하고 있는 형편이긴 하지만 선거구 내에서 [[경북도청신도시]]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서 아직도 문중 정치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이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김형동]] 의원이다.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상북도|{{{#cfa547 경북}}}]] [[안동시·예천군|{{{#cfa547 안동시·예천군}}}]])'''}}} || || ''신설''[br][[김광림(정치인)|김광림]][* [[안동시(선거구)|안동시]]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br][[최교일]][* [[영주시·문경시·예천군]]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 || → || '''제21대[br]김형동''' || → || ''현직'' ||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3> 제13대 || [[오경의]] || [include(틀: 통일민주당)] ||<|3>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안동시''' || || [[류돈우]] ||<|2> [include(틀: 민주정의당)] || '''안동군''' || || [[유학성]] || '''예천군''' || ||<|4> 제14대 || [[김길홍]] || [include(틀: 무소속)]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안동시''' || || [[류돈우]] ||<|3> [include(틀: 민주자유당)] || '''안동군''' || || [[유학성]]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31일 ||<|2> '''예천군''' || || [[반형식]] || 1993년 6월 12일 ~ 1996년 5월 29일 || ||<|4> 제15대 || [[권오을]]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2>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안동시 갑''' || || [[권정달]] || [include(틀: 무소속)] || '''안동시 을''' || || ~~[[황병태]]~~ || [include(틀: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1997년 12월 26일 ||<|2> 문경시·'''예천군''' || || [[신영국]] ||<|4> [include(틀: 한나라당)] || 1998년 4월 3일 ~ 2000년 5월 29일 || ||<|2> 제16대 || [[권오을]] ||<|2>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안동시''' || || [[신영국]] || 문경시·'''예천군''' || ||<|2> 제17대 || [[권오을]] ||<|2>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안동시''' || || [[신국환(정치인)|신국환]] ||<|2> [include(틀: 무소속)] || 문경시·'''예천군''' || ||<|2> 제18대 || [[김광림(정치인)|김광림]] ||<|2>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안동시''' || || [[이한성]] || [include(틀: 한나라당)] || 문경시·'''예천군''' || ||<|2> 제19대 || [[김광림(정치인)|김광림]] ||<|4>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2>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안동시''' || || [[이한성]] || 문경시·'''예천군''' || ||<|2> 제20대 || [[김광림(정치인)|김광림]] ||<|2>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안동시''' || || [[최교일]] || 영주시·문경시·'''예천군''' || || 제21대 || [[김형동]]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안동시·예천군'''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안동시·예천군|{{{#ffffff {{{+1 '''안동시·예천군'''}}}}}}]][br]{{{#ffffff 안동시 일원[*안동 중구동, 명륜동, 용상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강남동 (舊 안동시)[br]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舊 안동군)], 예천군 일원[*예천 예천읍, 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삼걸|{{{#373a3c,#dddddd 이삼걸}}}]](李參杰) || 32,293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6.14% || 낙선 || ||<|2> {{{#ffffff {{{+5 '''2'''}}}}}} || '''[[김형동|{{{#373a3c,#dddddd 김형동}}}]](金亨東)''' || '''58,183'''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7.10%''' || '''당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박인우(朴仁雨)}}} || 1,058 || 5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0.85% || 낙선 || ||<|2> {{{#ffffff {{{+5 '''8'''}}}}}} || {{{#373a3c,#dddddd 신효주(申窙䝬)}}} || 944 || 6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76% || 낙선 || ||<|2> {{{#ffffff {{{+5 '''9'''}}}}}} || [[권오을|{{{#373a3c,#dddddd 권오을}}}]](權五乙) || 5,93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80% || 낙선 || ||<|2> {{{#ffffff {{{+5 '''10'''}}}}}} || [[권택기|{{{#373a3c,#dddddd 권택기}}}]](權宅起) || 25,09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32% || 낙선[* 무소속(일부) 단일화 후보([[권택기|{{{#808080 '''권택기'''}}}]]·[[김명호(1960)|{{{#808080 '''김명호'''}}}]])] || ||<|3> '''계''' || '''선거인 수''' || 184,883 ||<|3> '''투표율'''[br]67.97% || || '''투표 수''' || 125,659 || || '''무효표 수''' || 2,145 || ||<-8> {{{#ffffff '''21대 총선 안동시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삼걸|{{{#ffffff 이삼걸}}}]] || [[김형동|{{{#ffffff '''김형동'''}}}]] || [[권택기|{{{#ffffff 권택기}}}]] || || '''득표수[br](득표율)''' || '''25,325 [br] (27.26%)''' || {{{#ffffff '''40,094 [br] (43.16%)'''}}} || '''21,269 [br] (22.89%)''' || '''- 14,769 [br] (▼15.90)''' || '''94,479 [br] (68.65%)''' || ||<-8> '''{{{#fff 구 안동시}}}''' || || '''득표율''' || {{{#004ea2 '''28.27%'''}}} || {{{#ef426f '''41.69%'''}}} || {{{#808080 '''24.02%'''}}} || '''▼13.42''' || '''67.01%''' || || '''중구동''' || 24.96% || {{{#ef426f 44.81%}}} || 23.98% || ▼19.85 || 70.09 || || '''명륜동''' || 27.48% || {{{#ef426f 43.66%}}} || 23.37% || ▼16.18 || 71.08 || || '''용상동''' || 29.11% || {{{#ef426f 40.08%}}} || 23.63% || ▼10.97 || 66.34 || || '''서구동''' || 26.06% || {{{#ef426f 44.82%}}} || 23.74% || ▼18.76 || 70.42 || || '''태화동''' || 22.84% || {{{#ef426f 47.49%}}} || 24.04% || △23.45 || 63.55 || || '''평화동''' || 22.97% || {{{#ef426f 47.23%}}} || 23.96% || △23.27 || 68.60 || || '''안기동''' || 25.27% || {{{#ef426f 43.78%}}} || 24.89% || ▼18.52 || 71.17 || || '''옥동''' || 31.20% || {{{#ef426f 38.67%}}} || 23.91% || ▼7.47 || 63.66 || || '''송하동''' || 31.04% || {{{#ef426f 38.49%}}} || 25.01% || ▼7.45 || 66.32 || || '''강남동''' || '''34.63%''' || {{{#ff7e9d 36.21%}}} || 23.69% || {{{#696969 ▼1.58}}} || 69.53 || ||<-8> '''{{{#fff 구 안동군}}}''' || || '''득표율''' || {{{#004ea2 '''21.32%'''}}} || {{{#ef426f '''48.48%'''}}} || {{{#808080 '''22.97%'''}}} || '''△25.51''' || '''67.31%''' || || '''풍산읍''' || 26.98% || {{{#ef426f 45.67%}}} || 21.97% || ▼18.69 || 65.92 || || '''와룡면''' || 22.56% || {{{#ef426f 42.39%}}} || '''28.55%''' || △13.83 || 67.41 || || '''북후면''' || 20.41% || {{{#ef426f 50.49%}}} || 21.19% || △29.30 || 68.24 || || '''서후면''' || 19.17% || {{{#ef426f 48.36%}}} || 26.48% || △21.89 || 63.60 || || '''풍천면''' || 24.16% || {{{#ef426f 49.96%}}} || 19.14% || ▼25.80 || {{{#696969 62.12}}} || || '''일직면''' || {{{#696969 14.55%}}} || {{{#ef426f 56.44%}}} || 22.50% || △33.94 || 69.62 || || '''남후면''' || 19.05% || {{{#ef426f 48.21%}}} || 27.44% || △20.76 || 71.84 || || '''남선면''' || 23.13% || {{{#ef426f 43.55%}}} || 27.19% || △16.36 || 72.21 || || '''임하면''' || 18.44% || {{{#ef426f 48.54%}}} || 25.91% || △22.62 || 65.61 || || '''길안면''' || 18.41% || {{{#ef426f 51.81%}}} || 24.23% || △27.59 || 70.03 || || '''임동면''' || 15.21% || {{{#ef426f '''56.65%'''}}} || 21.14% || '''△35.50''' || 66.81 || || '''예안면''' || 21.96% || {{{#ef426f 49.82%}}} || 15.46% || ▼27.86 || 68.59 || || '''도산면''' || 26.41% || {{{#ef426f 44.42%}}} || {{{#696969 15.44%}}} || ▼18.01 || '''72.70''' || || '''녹전면''' || 17.85% || {{{#ef426f 47.71%}}} || 21.15% || △26.56 || 69.67 || || '''후보''' || [[이삼걸|{{{#004ea2 이삼걸}}}]] || [[김형동|{{{#ef426f '''김형동'''}}}]] || [[권택기|{{{#808080 권택기}}}]]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34.84%}}} || 34.00% || 9.93% ||<-2> △0.84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0.49%}}} || 37.01% || 12.67% ||<-2> △3.48 || || '''재외투표''' || {{{#004ea2 66.03%}}} || 26.41% || 1.88% ||<-2> △39.62 || ||<-8> {{{#ffffff '''21대 총선 예천군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안동시·예천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삼걸|{{{#ffffff 이삼걸}}}]] || [[김형동|{{{#ffffff '''김형동'''}}}]] || [[권택기|{{{#ffffff 권택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6,968 [br] (22.75%)''' || {{{#ffffff '''18,089 [br] (59.07%)'''}}} || '''3,830 [br] (12.50%)''' || '''- 11,121 [br] (▼36.32)''' || '''31,180 [br] (65.96%)''' || || '''예천읍''' || 16.79% || {{{#ef426f 63.54%}}} || '''14.75%''' || ▼46.75 || {{{#696969 57.44}}} || || '''용문면''' || 12.97% || {{{#ef426f 68.66%}}} || 12.28% || ▼55.69 || 69.51 || || '''효자면''' || 14.77% || {{{#ef426f 66.40%}}} || 13.46% || ▼51.63 || 75.82 || || '''은풍면''' || 14.41% || {{{#ef426f 70.16%}}} || 10.18% || ▼55.75 || '''77.59''' || || '''감천면''' || 14.42% || {{{#ef426f 61.67%}}} || 14.48% || △47.19 || 70.54 || || '''보문면''' || 12.18% || {{{#ef426f 68.40%}}} || 13.83% || △54.57 || 73.37 || || '''호명면'''[*A [[경북도청신도시]]가 있는 동네] || {{{#004ea2 '''42.45%'''}}} || {{{#696969 39.33%}}} || 13.54% || '''△3.12''' || 58.16 || || '''유천면''' || 16.43% || {{{#ef426f 67.36%}}} || 10.26% || ▼50.93 || 61.65 || || '''용궁면''' || 10.49% || {{{#ef426f 73.48%}}} || 10.49% || ▼62.99 || 73.09 || || '''개포면''' || {{{#696969 10.24%}}} || {{{#ef426f '''75.36%'''}}} || 8.38% || {{{#696969 ▼65.11}}} || 68.00 || || '''지보면''' || 12.49% || {{{#ef426f 68.46%}}} || 13.63% || △54.83 || 67.63 || || '''풍양면''' || 10.46% || {{{#ef426f 75.16%}}} || {{{#696969 7.36%}}} || ▼64.70 || 70.20 || || '''후보''' || [[이삼걸|{{{#004ea2 이삼걸}}}]] || [[김형동|{{{#ef426f '''김형동'''}}}]] || [[권택기|{{{#808080 권택기}}}]]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14.40% || {{{#ef426f 65.20%}}} || 9.20% ||<-2> ▼50.80 || || '''관외사전투표''' || 39.12% || {{{#ef426f 44.02%}}} || 10.62% ||<-2> ▼4.90 || || '''재외투표''' || {{{#004ea2 66.66%}}} || 29.16% || 0 ||<-2> △37.50 || [[더불어민주당]]에선 시장 선거에도 출마했던 [[이삼걸]] 전 행정안전부 차관이 단독으로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단수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은 [[김형동]] 변호사를 단수 공천했고, 컷오프된 [[권택기]] 전 의원과 [[김명호(1960)|김명호]] 전 도의원은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권오을]] 전 의원도 무소속으로 예비후보에 등록했다. 무소속 후보가 난립하면서 혼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당초 3자 단일화가 논의되었으나 불발되고, 권택기-김명호 양자 간에만 여론조사 단일화가 확정되었다.[[https://news.imaeil.com/NewestAll/2020032411341032447|#]], 결국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326_0000971192&cID=10899&pID=10800|권택기가 승리]]해 무소속 단일후보로 출마한다. 한편 현직 무소속 [[권영세(1953)|권영세]] 안동시장이 민주당에 입당해 이삼걸 후보를 지지할 것이라는 설이 지역정가에서 나오고 있어 변수가 될 전망이 있었는데, 실제로 선거가 끝나고 반 년이 지나서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8&aid=0000639953|#]] 결과를 보면 경상북도청신도시가 있는 예천군 호명면이 200표 차이로 민주당이 유일하게 이긴 지역이다.[* 하지만 무소속 권택기 후보와 김형동 후보의 득표율을 합치면 52%가 되어 표가 갈려서 이겼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경상북도청]] 소속 공무원이나 [[대한민국 정부|정부]] 소속 공무원, 인근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근무하는 [[연구원]], 생산직 근로자, 외지인들의 유입으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포스코]] 등 철강업이 발달한 [[포항시 북구]], [[포항시 남구·울릉군]], [[IT]] 산업이 발달한 [[구미시 갑]], [[구미시 을]], 외지인들의 비율이 높은 [[경산시(선거구)|경산시]]와 비슷한 결과를 낸 것이다. [[경상북도]]라 보수 우세지만 [[더불어민주당]]이 어느 정도 득표율을 얻은 것과 비슷하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이 하한 미달이라서 경북 선거구를 또 대규모로 조정해야 하는데, 선거구 획정 상황에 따라 예천이 도로 분리되고, 안동 단독 선거구로 회귀 또는 의성군과 복합선거구를 이룰 가능성이 있다. 안동시·예천군 국회의원인 [[김형동]] 의원이 단독으로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군위군 대구 편입]]을 반대했었는데, [[김형동]] 의원의 지지 기반인 [[예천군]]이 분리되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는 분석이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56&aid=0011208351|#]] 게다가 선거구가 변경된 이유도 [[행정구역 개편/대구경북#안동시-예천군 통합|안동시와 예천군의 행정통합]]에 있는 지라 쪼개졌다가는 행정통합 무산이 될 수 있기에 함부로 결정은 못하는 모양. [[군위군]] 측에서는 [[대구광역시]] 편입이 무산될 수 있어서 크게 반발했었지만 [[2023년]] [[7월 1일]]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시행되어 해당 문제는 일단락되었다. [[2022년]] [[12월 3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군위군 대구 편입]] 후 선거구 획정에 대해 "군위군이 대구로 편입되면 안동시·예천군 선거구를 분리한 뒤 의성군·청송군·영덕군과 예천군을 합친다면 의석 수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안동시는 독립선거구가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212030003|#]]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군위군 대구 편입]]이 [[2023년]] [[7월 1일]] 시행되었기 때문에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한데, [[예천군]]이 [[안동시]] 선거구에서 분리될 경우 [[행정구역 개편/대구경북#안동시-예천군 통합|안동시와 예천군의 통합]] 명분이 없어지는 데다 [[경상북도청신도시]]의 행정구역상 문제[* [[경상북도청신도시]]는 [[안동시]] [[풍천면]], [[예천군]] [[호명면]]에 걸쳐 있다.] 때문에 [[안동시]] 지역에서 반발이 생긴 상황이며, [[안동시]] 측은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에서 [[울진군]]을 분리 후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으로 선거구를 구성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89153?cds=news_edit|#]] [[더불어민주당]]에선 [[이삼걸]] 지역위원장이 [[강원랜드]] 사장으로 가면서 지역구를 잠시 떠나게 되었다.[* 임기가 총선 전에 끝나기는 한다.] 총선 후 입당한 [[권영세(1953)|권영세]] 전 안동시장의 출마 가능성도 있는데, 권 전 시장은 '''[[안동 권씨]]'''이기 때문에 만약 출마해서 [[안동 김씨]]인 김 의원과 양자대결을 펼친다면 문중 버프로 민주당 후보 치고 상당히 선전할 거라 추측할 수 있다. 확률은 적지만 [[이재명]] 대표의 고향이 안동이다. 안동에서 역대 가장 높은 득표를 한 민주계열 대통령 후보로써 [[안동시]]가 단일 지역구로 부활시, 험지 출마 가능성이 매우 적지만 없다고는 볼 수 없다. [[국민의힘]]에선 현역 [[김형동]] 의원의 재출마 가능성이 높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북도의 정치]][[분류:안동시]][[분류:예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