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안드레이 이바노비치 기리치}}}[br]Андрей Иванович Гирич[* [[우크라이나어]]: 안드리 이바노비치 히리치 (Андрій Іванович Гіріч)][br]Andrey Ivanovich Giric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안드레이 기리치.jpg|width=100%]]}}} || ||<|2> '''출생''' ||[[1918년]] [[12월 28일]]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키이우주]] 야호틴 || ||<|2> '''사망''' ||[[1973년]] [[4월 11일]] (54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주]] 모니노 || || '''소속 정당''' ||[include(틀:소련 공산당)] || || '''복무''' ||[[소련 공군]] ,,([[1939년|1939]] ~ [[1973년]]),, || ||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대한민국 국군]] 기준 [[준장]]] || ||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br]┗크림 전투[br]┗데브레첸 전투[br]┗[[부다페스트 공방전]][br]┗프라하 공세 || || '''주요 서훈''' ||[[레닌훈장]][br][[소비에트 연방 영웅]][br][[수보로프 훈장]] 3급[br][[적기훈장]][br][[적성훈장]] (2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 공군]]의 [[에이스 파일럿]]. == 생애 == === [[제2차 세계 대전]] ===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기리치는 제12전투항공연대의 편대장이었다. 25일 그는 스타니슬라비우(Станиславів)에서 [[루프트바페]]의 [[Ju 88]]을 격추했다. 9월 28일 로조바 기차역 상공에서 다시 Ju 88을 격추하는 데에 성공했다. 12월 26일 제486전투항공연대 편대장을 역임했으며, 1942년 2월 3일 그는 [[케르치]] 해협에서 [[Bf 109]]를 격추했다. 기리치의 편대원들은 단 한 기의 [[전투기]]도 잃지 않고 추가로 Bf 109 3기를 더 격추했다. 5월 9일 기리치 포함 6명의 편대원들이 약 40기의 Bf 109와 조우했다. 그들은 5기를 격추하고 무사히 도주했다. 11월 5일 [[트베리 주]] 오스타시코프에서 [[He 111]]을 격추했다. 7월 15일부터 12월 8일까지 기리치는 103회 출격해 17번의 공중전을 치렀으며 최소 7기의 [[나치 독일]] [[군용기]]를 격추한 것으로 알려졌다. 9월 6일 Ju 88 1기를, 10월 21일 2기를 격추했다. 이후 제5공군 소속으로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에 참전했다. 8월 25일 [[Fw 190]]을 격추했다. 9월 20일 [[소비에트 연방 영웅]] 훈장 수훈자로 추천되기 전까지 총 439회 출격해 15기의 군용기를 격추했다. 9월 23일 그는 또 다른 Fw 190을 격추했다. 또한 [[부다페스트 공방전]]에서 [[Ju 52]]를 격추했다. 1945년 2월 23일, 소비에트 연방 영웅 훈장과 [[소련]] 최고의 훈장 [[레닌훈장]]을 받았다. === 전후 === 1950년에 공군사관학교를, 1958년에 육군참모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소장으로 전역했다. [[분류:소련의 군인]][[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에이스 파일럿]][[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키이우주 출신 인물]][[분류:1918년 출생]][[분류:1973년 사망]][[분류:의문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