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원도(북한)의 시군)] {{{+1 安邊郡 / Anbyŏn County }}} ||<-2> {{{+2 안변군}}} [br] 安邊郡 / Anbyŏn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1,052km² || || 현재 면적 || 500km² || || 광역시도 || [[강원도(북한)|강원도]] || || 인구 || 93,960명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7면 || || 시간대 || UTC+9 || || 지역 || [[함경도|관북]][* 북한 행정구역을 따라 [[강원도(북한)|관동]]으로 보기도 한다지만 명백히 '''[[철령]] 북쪽''' 지역인데 관동으로 부르는 건 무리수가 있다.] || ||<:><-2>[include(틀:지도, 장소=안변군, 높이=224px, 너비=100%)] || [목차] == 개요 == [[북한]] [[강원도(북한)|강원도]]의 군 중 하나이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그러하지만 원래는 [[함경남도]]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군이었다. == 역사 == [include(틀:조선의 계국백)] [[원삼국시대]]에는 [[옥저]] 지역의 일부였으며 [[고조선]]이 멸망한 뒤 [[한사군]] 중 [[임둔군]](臨屯郡) 불이현(不而縣)이 설치된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가 차지해 비열홀군(比列忽郡)을 설치했고, [[신라]] [[진흥왕]]이 정복한 후 비열주(比列州)로 개칭했다. [[삼국사기]]에는 비열성(卑列城), [[광개토대왕릉비]]와 [[창녕 진흥왕 척경비]]에는 비리성(碑利城)이라는 표기도 나온다. [[남북국시대]]에는 신라 [[9주 5소경]] 중 [[삭주]]에 소속됐으며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 삭정군(朔庭郡)으로 개칭된다. [[후삼국시대]]에는 [[호족(한국사)|호족]] [[윤선]]이 여기에서 [[궁예]]의 [[태봉]]에 반기를 들고 [[말갈]]족을 규합해 대항하다가 궁예가 망한 후 [[고려]]를 세운 [[태조(고려)|태조 왕건]]에게 항복했다. [[고려]] 초기에는 등주(登州)라고 불렀으며, 안변이라는 이름은 고려 초 북방의 [[여진족]]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안변도호부에서 유래한다. 원래 안변도호부는 좀 더 북쪽인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군]])에 있었는데 고려 [[현종(고려)|현종]] 대인 1018년에 등주로 이전하면서 안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비슷하게 다른 도호부로는 [[백제]] 유민을 경계해 설치된 안남도호부([[전라북도]] [[전주시]]→여기저기 이치되다 폐지), 신라 유민을 경계해 설치된 안동도호부([[경상북도]] [[경주시]]→여기저기 이치되다→[[안동시]] 정착), [[요나라]]를 경계해 설치된 안북대도호부([[평안남도]] [[안주시]])가 있었다. [[조선시대]]인 1903년 학포사가 흡곡군(현 통천군 북부)에 편입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서부의 영풍면(永豊面)을 덕원군에 이관하여 풍상, 풍하면으로 나뉘면서 안변군에서 제외되었다.[* 1942년 덕원군의 폐지로 [[문천시|문천군]]에 편입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법동군]] 지역이다.] 안변군을 1946년 소군정 때 북한의 강원도로 편입시켰다. 1952년 북한이 행정 구역을 개정하며 군의 남부지역인 석왕사면과 신고산면마저 [[고산군]]으로 분리되었다.[* 신고산면 최남단의 삼방리 인근 지역은 [[세포군]]에 편입되었다.] 그 대신 [[통천군]] 북부의 흡곡지역의 일부와 [[원산시]] 남부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 지리 == 한반도를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횡단하는 [[추가령 구조곡]]의 동북단부에 해당한다. 군의 서부는 [[마식령|마식령산맥]]이 우뚝 솟아있고 남부·동부는 [[태백산맥]]의 기점이 되고 있다. 추가령구조곡의 북쪽으로 흐르는 남대천의 하류에 열려있는 안변평야에 군의 중심이 있다. 서남쪽에는 한 때의 군역이었던 [[고산군]], 동남쪽으로는 도납령을 넘어 [[회양군]]과 인접한다. 바다쪽으로는 동쪽으로 [[통천군]], 북쪽으로 [[원산시]]가 서로 이웃하여 철도로 연결되고 있다. 서쪽에는 백암산(1225 m) 등의 산을 사이에 두고 [[법동군]]이 있다. == 교통 == [[경원선]](현 [[강원선]])이 지나가는 곳이다. 안변역에서 [[동해북부선]]이 분기되었는데, 철거되었다가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 북한이 먼저 다시 [[금강산청년선]]으로 다시 깔았고, 남한과도 연결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출발한 [[31번 국도]]가 이곳의 신고산면에서 끝난다. 다만 아직은 통일이 되지 않은 관계로 실질적인 종점은 [[양구군]] 동면이다. [[5번 국도]]가 이곳 신고산면을 통과하며 [[31번 국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 군사 시설 == 북한의 미사일 기지 중 하나가 바로 안변군 깃대령에 존재한다. == 관광 == 안변 제일의 명승지라면 단연 [[석왕사]](釋王寺)였지만 북한 기준으로는 [[고산군]]으로 넘어갔다. 석왕사(용지원) 부근은 [[한국지리]] 과목에서 [[선상지]](扇狀地)의 예시로 자주 나오는 곳이다. 신고산면에는 명승지로 삼방협과 [[철령]]이 있지만 이것도 고산군으로 넘어갔다. 안변읍에는 안변가학루가, 신모면에는 보현사가, 서곡면 능리에는 [[이행리|익조]]의 능인 지릉(智陵)이 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함경남도의 하위행정구역)] ||<-4>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svg|height=15]] [[함경남도|{{{#000000,#dddddd 함경남도}}}]]의 [[|{{{#000000,#dddddd 미수복 행정구역}}}]]'''[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안변군 상징.pn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안변군}}}'''[br]安邊郡[br]{{{-1 Anbyŏn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원도 안변,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안변면 문내리 || ||<-2> '''상위 행정구역''' ||<-2> [[함경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7[[면]] || ||<-2> '''면적''' ||<-2> 1,052km² || ||<-2> '''인구''' ||<-2> 102,421명[* 1944년 인구총조사] || ||<-2> '''인구밀도''' ||<-2> 97.36/㎢ || [[파일:안변군기.png|width=50%]] [[파일:안변군.jpg]] 광복 당시 1,052㎢의 면적에 7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안변면'''(安邊面) * 관할 리 : __문내(門內)__, 과남(果南), 곽하(郭下), 내석교(內石橋), 두득(斗得), 문외(門外), 미현(美峴), 비운(飛雲), 상화산(上花山), 송학(松鶴), 영춘(永春), 옥(玉), 외석교(外石橋), 조전(棗田), 중화산(中花山), 탑(塔), 하화산(下花山), 학성(鶴城), 홍문(紅門) * 문내리에 면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원래 학성면(鶴城面)이었다가 1931년에 개칭하였다. [[강원선]]과 [[금강산청년선]]이 [[안변역]]에서 분기한다. * '''배화면'''(培花面) * 관할 리 : __해천(蟹川)__, 낙천(樂川), 내원(內院), 동대(東坮), 문봉(文峰), 방교(方橋), 방화(訪花), 상사고(上沙皐), 송강(松岡), 송상(松上), 수려(水麗), 수악(秀岳), 수항(水項), 신(新), 신기(新基), 어은(漁隱), 옥천(玉泉), 용연(龍淵), 지경(地境), 천양(泉陽), 풍상(豊上), 풍하(豊下), 하사고(下沙皐), 한사(閑沙) * 면적이 43.1㎢로 안변군에서 제일 작지만 24개 리가 옹기종기 모여있다. 강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배화역]]이 있다. 안변읍과 [[원산시]]를 잇는 길목이다. * '''서곡면'''(瑞谷面) * 관할 리 : __성우(城隅)__, 계산(桂山), 계자(桂子), 광자(光自), 남평(南坪), 능(陵), 대대(大垈), 동산(東山), 마우(馬牛), 보성(寶城), 사(寺), 상(上), 상남(上南), 상율(上栗), 상일(上一), 석방(石方), 수성(水城), 수암(水巖), 오(梧), 옹점(瓮店), 용상(龍上), 용평(龍坪), 용현(龍峴), 주암(珠巖), 중(中), 중남(中南), 창(倉), 포(浦), 하남(下南), 하율(下栗), 하일(下一), 학익(鶴翼), 한천(漢川), 후(後) * 서쪽 산지의 보성리, 주암리 등을 제외하면 평지에 32개 리가 옹기종기 모여있다. * '''석왕사면'''(釋王寺面) * 관할 리 : __오산(梧山)__, 고현(古峴), 괴항(槐巷), 구령(九嶺), 구용지원(舊龍池院), 궐(蕨), 근외(芹外), 금(錦), 남산석(南山釋), 노복(蘆福), 능화(陵化), 동상(東上), 동하(東下), 사기(沙器), 상감(上甘), 상룡운(上龍雲), 상사(上寺), 상신흥(上新興), 상탑(上塔), 서상(西上), 송촌(松村), 송하(松下), 신월(新月), 신청(新淸), 옥정(玉井), 인두문(引豆門), 인호(寅湖), 장평(場坪), 주음(周音), 탑성(塔城), 통천(通川), 풍동(豊洞), 하감(下甘), 하룡운(下龍雲), 하사(下寺), 후창(後昌) * 원래 문산면(文山面)이었다가 광복 직후에 개칭하였다. 이름대로 조선 왕조의 원찰인 [[석왕사]]가 사기리에 있으며, 한반도에 몇 없는 [[선상지]] 지형이 구용지원리에 있다. 강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남산역(강원선)|남산역]], [[광명역(강원선)|광명역]](구 석왕사역), [[룡지원역]]이 있다. 참고로 용지원리는 바로 아래쪽에 있는데 신고산면에 속한다. * '''신고산면'''(新高山面) * 관할 리 : __신대(新垈)__, 강성(江城), 고명(古明), 고산(高山), 구미(九味), 금기(琴基), 내평(內坪), 번지(蕃之), 복곡(洑谷), 사(砂), 산양(山陽), 삼방(三防), 상가동(上佳洞), 상부평(上富坪), 상사현(上沙峴), 상수청(上水靑), 상일온(上日溫), 상주천(上舟川), 서(鋤), 석교(石橋), 성남(星南), 성북(星北), 세포(細浦), 신점(新店), 외평(外坪), 용지원(龍池院), 위동(衛東), 위남(衛南), 위북(衛北), 재천(載川), 종자(種子), 죽근(竹根), 창평(昌坪), 청학(靑鶴), 탄부(炭釜), 하가동(下佳洞), 하부평(下富坪), 하사현(下沙峴), 하수청(下水靑), 하일온(下日溫), 하주천(下舟川), 학소(鶴巢) * 원래 위익면(衛益面)이었다가 광복 직후에 개칭하였다. [[신고산타령]]의 신고산이 바로 이곳이다. [[경원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역이 생긴 지점을 신고산으로 부르게 되면서 2km 떨어진 본래의 고산은 구고산(舊高山)이라 부르게 됐다. 강원선(경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고산역(강원선)|고산역]](구 신고산역), [[동가리역]], [[삼방역]], [[락천역]](구 삼방협역)이 있다. 참고로 삼방리와 청학리는 북한 행정구역상 세포군으로 넘어갔다. * 최남단인 삼방리에는 명승지인 삼방협곡이 있으며, [[삼방역]] 북서 1km 지점에 1886년 현지 주민이 발견한 삼방약수가, 북쪽 4km 지점에 삼방폭포가 있다. * 광복 직전(1944년) 인구가 2만 8천 명으로, 군청소재지인 안변면(1만 4천 명)보다 번성했던 곳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고산군]] 소재지로, 현재도 안변읍보다 고산읍 시가지가 더 크다. * '''신모면'''(新茅面) * 관할 리 : __김천(金泉)__, 공곡(公谷), 공수전(公須田), 구절(九節), 내원산(內元山), 덕산(德山), 두남(斗南), 모창(茅倉), 문곡(文谷), 별산하(別山下), 사근(沙根), 상다전(上多田), 상령(上靈), 상어지(上漁池), 석변(石邊), 수남(水南), 신곤(新坤), 신동(新洞), 신성(新城), 신평(新坪), 신흥(新興), 양명(陽明), 양지(陽址), 율(栗), 이원(利原), 인악(仁岳), 중어지(中漁池), 차산(遮山), 천내(泉內), 판기(板機), 하다전(下多田), 하령(下靈), 하어지(下漁池), 효자(孝子) * 1914년 신리면(新里面)과 모치면(茅峙面)이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 '''안도면'''(安道面) * 관할 리 : __중평(中坪)__, 가평(柯坪), 낭성(浪城), 대와(大瓦), 미덕(味德), 비산(比山), 상덕(上德), 상마(桑麻), 어운(於雲), 오계(梧溪), 용운(龍雲), 월포(月浦), 장현(長峴), 하와(下瓦) * 1914년 상도면(上道面)과 하도면(下道面)이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금강산청년선]]이 지나가며 관내에 [[오계역]]이 있다. 남대천 하구에 있는 낭성리는 안변군에서 유일한 해안지역이다. [[통천군]]과 원산시를 잇는 길목이다. == 출신 인물 == * [[신동파]] - 대한민국의 전 농구선수. * 윤후정 - 한국 최초의 여성 헌법학자. [[이화여자대학교]] 제10대 총장. 1996년 퇴임한 후로 명예총장을 맡고 있다. * [[전형규]] - 북한의 아나운서. [[분류:강원도(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