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파일:AKR20181207092900022_01_i_P4.jpg|width=300]] 安秉佑 [[1954년]] [[8월 17일]] ~ ([age(1954-08-17)]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현재 제19대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공동위원장으로 재임 중에 있다.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공동대표를 오래 역임했다. == 생애 == 1954년 8월 17일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7|태어났다]]. 이후 [[경기도]] [[용인시]]로 이주했다. 1972년 [[서울고등학교]], 1976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국사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학|국사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80715|高麗(고려)의 屯田(둔전)에 관한 一考察(일고찰)]](1983).], 1994년 국사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36908|高麗前期(고려전기) 財政構造硏究(재정구조연구)]](1994).]를 각각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사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1984년 [[한신대학교]] [[사학과|한국사학과]] 교수에 부임하여 2017년 정년퇴임하였다. 교수 재임 시절 1991년부터 1993년까지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교수 퇴임 후 [[덕성여자대학교]] 등을 경영하는 [[학교법인]] 덕성학원 이사에 선임되었다. 그리고 2019년 9월 덕성학원의 14대 이사장으로 [[https://lifenlearning.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19/08/29/2019082901370.html|선출되어]] 2021년 9월 13일까지 맡게 되었으나 중간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으로 부임되어서 2021년 2월까지만 맡고, 이후에는 8월까지 이사직만 유지한 뒤 내려왔다. 고려사에서는 재정사를 중심으로 탁월한 연구성과를 남겼다. 고려사 연구 특성상 한 분야에서 해당 논문을 쓰면 후속 연구가 나오기 이전까지는 계속 인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려 정부의 예산 운용 및 전반적인 경제사적 시각에서 본 논문이 별로 없다. 따라서 지금까지 고려사 연구자들에게 안병우의 논문은 인용된다. 이후 연구 범위를 넓혀 한중관계사 및 고려 개성에 대한 연구, 중세고고학에 대한 논문까지 집필하여 생각보다 고려시대 역사 전반적인 연구 업적을 남긴 바 있다.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의 상임공동대표를 지냈으며,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경기도교육청]] 역사교육위원회 위원장,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동북아역사재단]] 이사 및 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등 한중일 역사 관련한 분야에 집중하여 [[동아시아사]] 교과를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현재 [[천재교육]]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을 맡고 있다. 또한 기록학에서는 국내에서 최고 권위자라 불려도 과언이 아니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무총리실 산하로 만들어진 국가기록관리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2009년 12월부터 2011년까지 한국기록학회 회장을 지냈다. 2010년 11월 한국기록전문가협회가 창립되자 초대 회장에 취임해 2012년까지 지냈고, 그리고 2013년에는 기록관리단체협의회 대표도 맡았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는 [[국가기록원]] 산하 국가기록관리혁신TF 위원장을 맡기도 하였다. 그밖에도 남북역사문제에도 관심이 높아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공동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음성군 출신 인물]][[분류:1954년 출생]][[분류:한국의 역사학자]][[분류:한국사학자]][[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