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산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6455-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원110.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f00><-6> [[파일:안산시 CI_White.svg|width=25]] 안산시 직행좌석버스 11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산 11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선부동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6:30 || || 막차 || 22:55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25~50분 ||<-2> 주말배차 || 35~50분[*토요일] 40~55분[*공휴일] || ||<-2> 운수사명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2> 인가대수 || 11대[* 코로나19로 6대 운행 중.] || ||<-2> 노선 ||<-4> '''선부동차고지 - 석수골 - 동명아파트 - 선부동 - 와동 - 올림픽기념관 - 고잔초등학교'''[* [[안산 버스 7070|안산 7070번(구. 707번)]], [[수원 버스 9090|수원 9090번(구. 909번)]]번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 - 자유센터 - 안산시청 - 스타프라자 - 한양대입구 - [[상록수역]] - 안산테콤단지 - 대명고등학교 - 서수원터미널 - [[수원역]] || == 개요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https://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110&routeId=21700001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원래 1990년대 일반시내버스 [[화성 버스 11|11번]]의 좌석버스 형태으로써 처음에 [[수원여객]], [[신원여객]]이 공동으로 운행했으며, 주요 경로가 엣 11번처럼 경기대 -수원역 - 상록수 - 안산시청 - 반월공단 였고 [[신원여객]] 시절 기점이 그 당시 신시가지로 개발 중인 영통으로 변경됐다. 수원역까지만 기종점인 다른 버스랑은 다르게 11번처럼 안산시내와 수원시내까지 연결됐다. * 신원여객 부도로 [[용남고속]]에 인수됐고, 2005년 1월에 경원여객에 이관되자마자 일반좌석버스노선이 됐다. 직후 수원역~영통 구간을 단축하고, 자유센터 이후 구간을 대폭 변경하여 2년만인 2007년 5월 10일에 재개통을 했다. 이것을 본 [[태화상운(안산)|태화상운]]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후, 2021년 3월부터는 707번의 자매노선 취급을 받는다. * 2021년 11월 6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안산시 일반좌석버스 노선에 직행좌석버스 도색이 입혀진 일명 '사기도색'이 한동안 없어졌다가, 301,320번이 2023년 6월 1일에 다시 일반좌석버스로 전환되어 부활했다.] 이와 함께 일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http://kw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1681|경원여객 공지사항]] 무정차 통과하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구간 || 수원행 || 안산행 || ||<|4> 안산시 || 성어공원.시외버스터미널[br](17047) || [* 시외버스터미널은 정차, 수원행은 성포주공4단지 이용.] || || 푸르지오2차[br](17037) || 삼태기길입구[br](17043) || || 석호초교사거리[br](17058) || 성안중학교[br](17080) || || 상록수체육관[br](17251) || || || 양촌마을 || 건너편앞(17314) || 앞(17315) || || 황제아파트 || 건너편(17316) || 앞(17317) || || 입북동 ||<-2> 입북동입구(02044, 02048) || || 수원시 ||<-2> 더함파크 (02129, 02130)[* 구 농촌진흥청] || == 특징 == * 이 노선만큼은 스피드를 자랑했다. 장거리인데다 경쟁 노선인 [[안산 버스 7070|7070번]], [[수원 버스 9090|9090번]]이 있기 때문이다. * [[수원시]] - [[안산시]] 구간이 수요가 많은데 반해 다른 경쟁노선에 비해 차량대수가 적은 것이 단점이다. 그러나, 수원역-자유센터 구간만 오가는 승객이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 노선의 수요는 주로 상록수역~수원역 구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 노선이 안 오면 [[안산 버스 7070|7070번]], [[수원 버스 9090|9090번]], [[화성 버스 11|11번]]을 타면 그만이기 때문. * [[수인분당선]] 전 구간 개통 전에는 7070번, 9090번보다 배차가 긴 게 단점이었는데, 개통 이후에는 7070번, 9090번이 폭풍감차되면서 전세가 역전됐다.[* 특히 707번은 이전에는 '''단 1대'''로만 운행하다가 2023년 공공버스 전환으로 증차가 이루어져 번호도 707번에서 7070번으로 변경됐다.] 수인선이 닿지 않는 선부동, 와동 구간 때문으로 보인다. * 과거에는 로얄 럭셔리, 에어로 스페이스 차량으로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대차되어 [[현대 유니버스]] 전중문형 차량으로 운행한다. * 공공버스 전환을 위해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가 실패하여 다시 일반좌석버스로 회귀한 동사의 [[안산 버스 301|301번]]과 [[안산 버스 320|320번]]과는 다르게 [[안산 버스 707-1|707-1번]]과 같이 직행좌석버스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 시간표 === [[http://www.kwbus.co.kr/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1897|2022년 8월 16일~]]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상록수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선부역]][* 선부동 다이아몬드 광장 일대의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용 가능]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수원-안산간 버스)] [include(틀:서울특별시 미경유 직행좌석버스)] [include(틀:고속도로 미경유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안산시의 시내버스]][[분류:수원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200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