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안산시/정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안산시 상록구 갑, top2=안산시 상록구 을)] [include(틀:안산시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height=25]]]]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국회의원 || 도의원 || 지역 || ||<|2> [[안산시 상록구 갑|{{{#ffffff 안산시[br]상록구 갑}}}]] || 안산시1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3동 || || 안산시2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반월동 || ||<|2> [[안산시 상록구 을|{{{#ffffff 안산시[br]상록구 을}}}]] || 안산시3 ||'''상록구''' 일동, 이동, 성포동 || || 안산시4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안산동 || == 지역 특성 == 전체적으로 안산의 기본적인 정치 성향을 고스란히 따라간다. 민주당 지지세가 도시 형성 초반부터 매우 강했던 지역으로, 호남 출신 이주민이 타지역보다 비중이 훨씬 높았던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도권 특성상 타 지역 및 원주민들도 여럿 섞여 있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민주당 지지는 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 행보를 보인다. 또한 민주정당의 분열 및 진보정당의 대형 사건 등이 터질 경우 보수정당이 어부지리를 취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러한 구도가 상당히 드러나, 상록구에서는 두 개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긴 했지만 상록구 을 지역에서는 32(새누리):34(더민주):33(국민의당)의 매우 아슬아슬한 득표율이 나오기도 했었다. 특히 호남에서 국민의당이 완승을 거둔 것처럼, 안산에서도 국민의당 비례 득표율이 30%를 넘기는 등 수도권 평균에 비해서도 국민의당이 상당히 선전하면서 야권분열로 인한 피해를 봤다. [[관악구]]와 옆지역 [[단원구]]가 그랬듯이 상당한 야권성향 지역이라 아이러니하게도 새누리당이 반사이익을 얻을 뻔 했던 것. 하지만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보수층에선 씻을 수 없는 치욕적인 사건이 터지면서 구도가 완전히 뒤집혔다. 또한 안산 전체에서 지지세가 강했던 국민의당 역시 탄핵 정국에서 이리저리 간을 보는 행보로 실망감을 안기고 안철수 본인이 대권 정국에서 여러 삽질을 거듭한 까닭에,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43%의 높은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다만 이전 대선에 비해 약 10% 이상의 큰 포인트로 득표율이 하락했다. 안철수 후보 역시 총선에 비하면 득표율이 하락했으나 24%의 높은 지지율로 수도권에서도 순위권 안에 들어 완전히 동력이 가라앉지는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홍준표 후보는 농어촌 지역인 안산동, 반월동을 끼고도 17%에 그치며 3위로 주저앉고 말았다. == 역대 선거 결과 == === 지방선거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기도지사]] 선거 ===== ||<-3> [[상록구|{{{#ffffff {{{+1 '''안산시 상록구'''}}}}}}]][br]{{{#ffffff 상록구 일원[*안산상록 사동, 사이동, 해양동, 반월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 '''득표수''' || '''72,030''' || 62,496 || || '''득표율''' || '''52.38%''' || 45.45%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 '''선거인 수''' ||<-1> 162,776 || || '''투표 수''' ||<-1> 116,964 || || '''무효표 수''' ||<-1> 1,015 || || '''투표율''' ||<-1> 45.50% || ||<:><-5> {{{#FFFFFF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안산 상록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72,030 [br] (52.38%)'''}}} ||<:> '''62,496 [br] (45.45%)''' ||<:> '''+9,534 [br] (△6.93)''' ||<:> '''45.50%''' || || '''일동''' ||<:> {{{#004ea2 '''55.36%'''}}} ||<:> 42.52% ||<:> △'''12.84''' ||<:> 38.77 || || '''이동''' ||<:> {{{#004ea2 51.68%}}} ||<:> 46.22% ||<:> △5.46 ||<:> 36.15 || || '''사동''' ||<:> {{{#004ea2 54.95%}}} ||<:> 42.64% ||<:> △12.31 ||<:> 40.74 || || '''사이동''' ||<:> {{{#004ea2 53.28%}}} ||<:> 44.47% ||<:> △8.81 ||<:> 43.06 || || '''해양동''' ||<:> 48.40% ||<:> '''{{{#E61E2B 49.90%}}}''' ||<:> {{{#808080 ▼1.50}}} ||<:> 49.00 || || '''본오1동''' ||<:> {{{#004ea2 53.45%}}} ||<:> 44.53% ||<:> △8.92 ||<:> {{{#808080 35.12}}} || || '''본오2동''' ||<:> {{{#004ea2 53.33%}}} ||<:> 44.30% ||<:> △9.03 ||<:> 44.09 || || '''본오3동''' ||<:> {{{#004ea2 52.20%}}} ||<:> 45.99% ||<:> △6.21 ||<:> 44.86 || || '''부곡동''' ||<:> {{{#004ea2 52.50%}}} ||<:> 45.17% ||<:> △7.33 ||<:> 39.17 || || '''월피동''' ||<:> {{{#004ea2 53.28%}}} ||<:> 44.77% ||<:> △8.51 ||<:> 40.31 || || '''성포동''' ||<:> {{{#004ea2 49.85%}}} ||<:> 48.26% ||<:> △1.59 ||<:> 52.78 || || '''반월동''' ||<:> {{{#004ea2 49.11%}}} ||<:> 48.75% ||<:> △0.36 ||<:> '''53.00''' || || '''안산동''' ||<:> 48.80% ||<:> {{{#E61E2B 49.20%}}} ||<:> ▼0.40 ||<:> 46.30 || || '''후보''' || [[김동연|{{{#004ea2 '''김동연'''}}}]] || [[김은혜|{{{#E61E2B '''김은혜'''}}}]]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45.21% ||<:> {{{#E61E2B '''47.34%'''}}} ||<:> {{{#808080 ▼'''2.1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5.23%'''}}} ||<:> 41.81% ||<:> △'''13.42''' ||<:> || [[더불어민주당]]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많이 지지하고 있는 지역인 만큼 [[김동연]] 후보가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를 1만표 가까이 앞서며 승리했다. 다만 눈 여겨볼점은 다른 동네에 비해 민주당 지지세가 상당히 강한 동의 투표율이 30%대로, 전국 평균 투표율 50.9%에 비해 해당 동네에 거주하고 있는 많은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가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안산시]] 내에서도 현재의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실망감이 상당히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안산시]]에서도 그렇고 전국적으로 당차원에서 해결해야할 숙제로 남았다. 한편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해양동]]과 [[안산동(안산)|안산동]]에서는 다시 [[국민의힘]]이 재탈환에 성공했다. ===== [[안산시장]] ===== ||<-4> [[|{{{+1 [[파일:안산시 CI_White.svg|width=30px]]}}}]] [[안산시장|{{{#ffffff {{{+1 '''안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제종길|{{{#373a3c,#dddddd 제종길}}}]](諸淙吉) || 119,595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6.45% || 낙선 || ||<|2> {{{#FFFFFF {{{+5 '''2'''}}}}}} || '''[[이민근|{{{#373a3c,#dddddd 이민근}}}]](李民根)''' || '''119,776'''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6.52%''' || '''{{{#000 당선}}}''' || ||<|2> {{{#FFFFFF {{{+5 '''4'''}}}}}} || 김만의 || 1,17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0.45% || 낙선 || ||<|2> {{{#FFFFFF {{{+5 '''5'''}}}}}} || [[윤화섭|{{{#373a3c,#dddddd 윤화섭}}}]](尹和燮) || 16,91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6.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71,619 ||<|3> '''투표율'''[br]45.6% || || '''투표 수''' || 260,586 || || '''무효표 수''' || 3,123 || ||<-6> {{{#FFFFFF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안산시 상록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제종길|{{{#FFFFFF 제종길}}}]] || [[이민근|{{{#FFFFFF '''이민근'''}}}]] || [[윤화섭|{{{#FFFFFF 윤화섭}}}]]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4,688 [br] (47.13%)''' }}} || '''63,244 [br] (46.08%)''' || '''8,698 [br] (6.33%)''' || '''-1,444 [br] (▼1.05)''' || '''138,969 [br] (45.50%)''' || || '''일동''' || {{{#004EA2 '''49.93%'''}}} || 43.81% || 5.83% || ▼6.12 || 38.78 || || '''이동''' || 46.47% || {{{#E61E2B 46.55%}}} || 6.49% || △0.08 || 36.15 || || '''사동''' || {{{#004EA2 48.97%}}} || 43.24% || 7.32% || ▼5.73 || 40.74 || || '''사이동''' || {{{#004EA2 48.54%}}} || 44.11% || 6.89% || ▼4.43 || 43.06 || || '''해양동''' || 42.01% || {{{#E61E2B '''52.65%'''}}} || 5.08% || '''△10.64''' || 49.00 || || '''본오1동''' || {{{#004EA2 48.63%}}} || 44.09% || 6.74% || ▼4.54 || 35.12 || || '''본오2동''' || {{{#004EA2 47.88%}}} || 43.93% || '''7.73%''' || ▼3.95 || 44.09 || || '''본오3동''' || {{{#004EA2 46.81%}}} || 45.68% || 7.20% || ▼1.13 || 44.86 || || '''부곡동''' || {{{#004EA2 48.12%}}} || 45.51% || 5.75% || ▼2.61 || 39.17 || || '''월피동''' || {{{#004EA2 48.35%}}} || 44.95% || 6.25% || ▼3.40 || 40.31 || || '''성포동''' || 42.85% || {{{#E61E2B 50.86%}}} || 5.94% || △8.01 || 52.78 || || '''반월동''' || 44.83% || {{{#E61E2B 48.39%}}} || 6.33% || △3.56 || '''53.00''' || || '''안산동''' || 46.59% || {{{#E61E2B 49.10%}}} || 3.96% || △2.51 || 46.30 || || '''후보''' || [[제종길|{{{#004EA2 제종길}}}]] || [[이민근|{{{#E61E2B '''이민근'''}}}]] || [[윤화섭|{{{#808080 윤화섭}}}]]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1.35% || {{{#E61E2B 46.29%}}} || 10.49% || △4.94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0.69%}}} || 42.51% || 6.10% || ▼8.18 ||||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컷오프된 [[무소속]] [[윤화섭]] 후보의 출마로 인해 어느정도 표가 갈라질 것으로 예상됐고, 역시 '''181표차'''로 [[국민의힘]] [[이민근]] 후보가 승리했다. 다만 [[국민의힘]]이 승리한 [[단원구]]와는 달리 [[상록구]]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표가 갈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동이 많은 것으로 보아 선거일 기준 2년 후에 치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표가 갈라지지 않는 이상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을 것을 알 수 있으며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우여곡절 끝에 당선된 후보들이 뚜렷한 성과를 [[안산시]] 내에서 이뤄내지 않는 이상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본오2동과 본오3동의 [[무소속]] [[윤화섭]] 후보의 득표율이 높은데 이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상록수역]]의 [[GTX-C]] 연장의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해양동]]에서는 [[국민의힘]] 후보의 득표율이 [[성포동]]과 함께 과반을 넘기면서 [[대부동]]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격차로 승리했다. [[월피동]] 다음으로 유권자가 [[상록구]]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동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준 월피동 유권자: 31,883명, 해양동 유권자: 30,694명]인지라 양당 후보가 모두 [[해양동]] 내에 [[신안산선]] 역연장을 공약으로 내세웠는데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된 것으로 보아 인물론이 먹힌 것으로 보인다. === 대선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상록구|{{{#000000 {{{+1 '''안산시 상록구'''}}}}}}]][br]{{{#000000 상록구 일원}}}[*안산상록 일동, 이동, 사1동, 사2동, 사3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반월동, 안산동]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000000 '''문재인'''}}}]] || || '''득표수''' || 97,913 || '''112,075''' || || '''득표율''' || 46.46% || '''53.18%'''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292,424 || || '''투표 수''' || 211,371 || || '''무효표 수''' || 628 || || '''투표율''' || 72.28% || ||<-5> {{{#000000 '''18대 대선 경기 안산 상록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000000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97,913 [br] (46.46%)''' || {{{#000000 '''112,075 [br] (53.18%)'''}}} || '''- 14,162 [br] (▼6.72)''' || '''72.28%''' || || '''일동''' || 45.98% || {{{#ffd400 53.74%}}} || {{{#808080 ▼7.76}}} || 67.22 || || '''이동''' || 44.47% || {{{#ffd400 55.19%}}} || {{{#808080 ▼10.72}}} || 66.69 || || '''사1동''' || 43.91% || {{{#ffd400 '''55.79%'''}}} || {{{#808080 ▼'''11.88'''}}} || 68.55 || || '''사2동''' || 47.05% || {{{#ffd400 52.60%}}} || {{{#808080 ▼5.55}}} || 73.57 || || '''사3동''' || {{{#c01920 50.38%}}} || 49.40% || △0.98 || 79.25 || || '''본오1동''' || 46.11% || {{{#ffd400 53.49%}}} || {{{#808080 ▼7.38}}} || 66.80 || || '''본오2동''' || 46.68% || {{{#ffd400 53.02%}}} || {{{#808080 ▼6.34}}} || 73.39 || || '''본오3동''' || 45.74% || {{{#ffd400 53.95%}}} || {{{#808080 ▼8.21}}} || 73.09 || || '''부곡동''' || 47.34% || {{{#ffd400 52.30%}}} || {{{#808080 ▼4.96}}} || 69.80 || || '''월피동''' || 45.33% || {{{#ffd400 54.28%}}} || {{{#808080 ▼8.95}}} || 71.87 || || '''성포동''' || 47.82% || {{{#ffd400 51.87%}}} || {{{#808080 ▼4.05}}} || 80.32 || || '''반월동''' || 47.85% || {{{#ffd400 51.82%}}} || {{{#808080 ▼3.97}}} || 76.61 || || '''안산동''' || {{{#c01920 '''51.11%'''}}} || 48.49% || △'''2.62''' || 72.30 || || '''후보''' || [[박근혜|{{{#c01920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33.94% || {{{#ffd400 '''65.29%'''}}} || {{{#808080 ▼'''31.35'''}}} || || || '''국내부재자투표''' || 46.87% || {{{#ffd400 51.88%}}} || {{{#808080 ▼5.01}}} ||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상록구|{{{#ffffff {{{+1 '''안산시 상록구'''}}}}}}]][br]{{{#ffffff 상록구 일원}}}[*안산상록]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98,564''' || 39,723 || 55,067 || 14,307 || 16,558 || || '''득표율''' || '''43.74%''' || 17.62% || 24.43% || 6.34% || 7.34% || || '''순위''' || '''1위''' || 3위 || 2위 || 5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305,169 || ||<-3> '''투표 수''' ||<-2> 226,266 || ||<-3> '''무효표 수''' ||<-2> 927 || ||<-3> '''투표율''' ||<-2> 74.14% || ||<:><-8> {{{#FFFFFF '''19대 대선 경기 안산 상록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8,564 [br] (43.74%)'''}}} ||<:> '''39,723 [br] (17.62%)''' ||<:> '''55,067 [br] (24.43%)''' ||<:> '''14,307 [br] (6.34%)''' ||<:> '''16,558 [br] (7.34%)''' ||<:> '''+43,497 [br] (△19.31)''' ||<:> '''74.14%''' || || '''일동''' ||<:> {{{#004ea2 43.66%}}} ||<:> 18.33% ||<:> 24.61% ||<:> 5.51% ||<:> 7.41% ||<:> △19.05 ||<:> 68.67 || || '''이동''' ||<:> {{{#004ea2 44.62%}}} ||<:> 17.77% ||<:> 23.99% ||<:> 6.20% ||<:> 7.03% ||<:> △20.63 ||<:> 66.42 || || '''사1동''' ||<:> {{{#004ea2 '''45.42%'''}}} ||<:> 16.17% ||<:> 24.11% ||<:> 6.35% ||<:> 7.46% ||<:>△'''21.31''' ||<:> 71.06 || || '''사2동''' ||<:> {{{#004ea2 42.68%}}} ||<:> 17.76% ||<:> 25.14% ||<:> 6.76% ||<:> 7.21% ||<:> △17.54 ||<:> 73.39 || || '''사3동''' ||<:> {{{#004ea2 41.65%}}} ||<:> 19.71% ||<:> 24.59% ||<:> '''7.54%''' ||<:> 6.22% ||<:> △17.06 ||<:> 79.65 || || '''본오1동''' ||<:> {{{#004ea2 43.62%}}} ||<:> 17.39% ||<:> 25.21% ||<:> 5.71% ||<:> 7.50% ||<:> △18.41 ||<:> 65.25 || || '''본오2동''' ||<:> {{{#004ea2 43.85%}}} ||<:> 17.74% ||<:> 24.97% ||<:> 5.90% ||<:> 6.97% ||<:> △18.88 ||<:> 73.62 || || '''본오3동''' ||<:> {{{#004ea2 44.24%}}} ||<:> 17.16% ||<:> 23.78% ||<:> 6.57% ||<:> 7.69% ||<:> △20.46 ||<:> 75.0 || || '''부곡동''' ||<:> {{{#004ea2 41.30%}}} ||<:> 18.36% ||<:> '''26.31%''' ||<:> 6.10% ||<:> 7.46% ||<:> △14.99 ||<:> 69.12 || || '''월피동''' ||<:> {{{#004ea2 43.44%}}} ||<:> 17.48% ||<:> 24.63% ||<:> 6.19% ||<:> '''7.84%''' ||<:> △18.81 ||<:> 71.24 || || '''성포동''' ||<:> {{{#004ea2 42.46%}}} ||<:> 19.79% ||<:> 23.71% ||<:> 6.72% ||<:> 6.91% ||<:> △18.75 ||<:> 81.28 || || '''반월동''' ||<:> {{{#004ea2 40.32%}}} ||<:> 22.95% ||<:> 23.81% ||<:> 5.85% ||<:> 6.67% ||<:> △16.51 ||<:> 75.99 || || '''안산동''' ||<:> {{{#004ea2 38.74%}}} ||<:> '''23.77%''' ||<:> 26.20% ||<:> 5.37% ||<:> 5.50% ||<:> △12.54 ||<:> 71.61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004ea2 37.85%}}} ||<:> '''16.88%''' ||<:> '''34.32%''' ||<:> 6.68% ||<:> 2.78% ||<:> △3.5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7.71%}}} ||<:> 12.58% ||<:> 23.18% ||<:> '''7.46%''' ||<:> 8.31% ||<:> △24.53 ||<:> || || '''재외투표''' ||<:> {{{#004ea2 '''63.71%'''}}} ||<:> 5.61% ||<:> 13.59% ||<:> 3.91% ||<:> '''12.77%''' ||<:> △'''50.12''' ||<:>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8> {{{#FFFFFF '''20대 대선 상록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21,488 [br] (55.17%)'''}}} || '''90,654 [br] (41.16%)''' || '''+ 30,834 [br] (△14.00)''' || '''222,254 [br] (73.25%)''' || || '''일동''' || {{{#004EA2 '''59.72%'''}}} || {{{#696969 36.82%}}} || '''△22.90''' || 67.50 || || '''이동''' || {{{#004EA2 54.67%}}} || 41.43% || △13.24 || 64.38 || || '''사동''' || {{{#004EA2 57.02%}}} || 39.21% || △17.81 || 69.98 || || '''사이동''' || {{{#004EA2 55.96%}}} || 40.38% || △15.58 || 71.22 || || '''해양동'''[*A ] || {{{#4169E1 50.08%}}} || '''46.77%''' || {{{#696969 △3.31}}} || 78.80 || || '''본오1동'''[*B ] || {{{#004EA2 59.38%}}} || 37.02% || △22.36 || 64.41 || || '''본오2동''' || {{{#004EA2 56.26%}}} || 40.00% || △16.26 || 71.39 || || '''본오3동''' || {{{#004EA2 54.35%}}} || 42.04% || △12.32 || 74.04 || || '''부곡동''' || {{{#004EA2 57.69%}}} || 38.69% || △18.99 || 68.56 || || '''월피동'''[*C ] || {{{#004EA2 56.86%}}} || 39.38% || △17.48 || 67.89 || || '''성포동''' || {{{#004EA2 51.09%}}} || 45.63% || △5.46 || 78.92 || || '''반월동'''[*D ] || {{{#004EA2 50.49%}}} || 45.84% || △4.65 || 76.50 || || '''안산동'''[*E ] || {{{#004EA2 52.94%}}} || 43.90% || △9.04 || 71.40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7.19%}}} || 43.32% || △3.87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4.52%}}} || 41.25% || △13.27 || || || '''재외투표''' || {{{#004EA2 61.53%}}} || 32.75% || △28.78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안산시 상록구 갑|{{{#004EA2 '''상록구 갑'''[*F ][* 지역구 국회의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3선)]}}}]] || {{{#FFFFFF 54.96%}}} || 41.47% || △13.49 || 71.85 || || [[안산시 상록구 을|{{{#004EA2 '''상록구 을'''[*G ][* 지역구 국회의원: [[김철민(정치인)|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재선)]}}}]] || {{{#FFFFFF 55.67%}}} || 40.77% || △14.9 || 76.60 || 안산고잔푸르지오 6, 7, 9차 아파트와 [[그랑시티자이]]가 속해있는 [[해양동]]과 [[반월동]]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각각 격차 3%, 4% 차이로 나름 [[안산시]]에서 선전했다 볼 수 있으나, 그외 동에서는 민주당 텃밭답게 [[이재명]] 후보가 전부 석권했다. === 총선 === ||<-10> {{{#FFFFFF '''21대 총선 상록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상록구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전해철|{{{#FFFFFF '''전해철'''}}}]] || [[박주원(정치인)|{{{#FFFFFF 박주원}}}]]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59,021 [br] (58.55%)'''}}} || '''38,367 [br] (38.06%)''' || '''+ 20,654 [br] (△20.49)''' || '''101,953 [br] (60.93%)'''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사동''' || {{{#004EA2 '''60.90%'''}}} || {{{#696969 35.40%}}} || '''△25.50''' || 56.48 || || '''사이동''' || {{{#004EA2 58.50%}}} || 38.48% || △20.02 || 59.47 || || '''해양동'''[*A ] || {{{#004EA2 54.90%}}} || 43.28% || △11.61 || '''68.09''' || || '''본오1동'''[*B ] || {{{#004EA2 60.14%}}} || 36.15% || △23.99 || {{{#696969 '''50.87'''}}} || || '''본오2동''' || {{{#004EA2 57.32%}}} || 38.59% || △18.74 || 59.62 || || '''본오3동''' || {{{#004EA2 57.75%}}} || 38.85% || △18.90 || 61.74 || || '''반월동'''[*D ] || {{{#4169E1 53.72%}}} || '''43.39%''' || {{{#696969 '''△10.32'''}}} || 65.28 || || '''후보''' || [[전해철|{{{#004EA2 '''전해철'''}}}]] || [[박주원(정치인)|{{{#EF426F 박주원}}}]]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6.00%}}} || 32.36% || △23.6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5.21%}}} || 30.56% || △34.65 || || || '''재외투표''' || {{{#004EA2 75.22%}}} || 22.01% || △53.21 || || }}}}}}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상록구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철민(정치인)|{{{#FFFFFF '''김철민'''}}}]] || [[홍장표(정치인)|{{{#FFFFFF 홍장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43,599 [br] (57.77%)'''}}} || '''30,747 [br] (40.74%)''' || '''+ 12,852 [br] (△17.03)''' || '''76,660 [br] (59.32%)'''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일동''' || {{{#004EA2 '''60.39%'''}}} || {{{#696969 38.15%}}} || '''△22.24''' || 53.94 || || '''이동''' || {{{#004EA2 57.36%}}} || 41.04% || △16.32 || {{{#696969 '''51.49'''}}} || || '''부곡동''' || {{{#004EA2 57.32%}}} || 40.98% || △16.34 || 55.00 || || '''월피동'''[*C ] || {{{#004EA2 57.67%}}} || 40.74% || △16.93 || 55.05 || || '''성포동''' || {{{#004EA2 54.57%}}} || 44.29% || △10.28 || '''68.44''' || || '''안산동'''[*E ] || {{{#4169E1 53.60%}}} || '''45.16%''' || {{{#696969 '''△8.44'''}}} || 59.88 || || '''후보''' || [[김철민(정치인)|{{{#004EA2 '''김철민'''}}}]] || [[홍장표(정치인)|{{{#EF426F 홍장표}}}]]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5.72%}}} || 42.18% || △13.5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4.98%}}} || 33.20% || △31.78 || || || '''재외투표''' || {{{#004EA2 74.25%}}} || 24.75% || △49.50 ||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FFFF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48,626 [br] (28.48%)''' || {{{#FFFFFF '''65,326 [br] (38.27%)'''}}} || '''16,225 [br] (9.50%)''' || '''11,035 [br] (6.46%)''' || '''9,249 [br] (5.41%)''' || '''- 16,700 [br] (▼9.78)''' || '''178,643 [br] (60.21%)'''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일동''' || 27.10% || {{{#006CB7 40.38%}}} || 9.20% || 5.58% || 5.76% || ▼13.28 || 53.95 || || '''이동''' || 28.79% || {{{#006CB7 38.67%}}} || 9.31% || 6.80% || 4.74% || ▼9.88 || 51.49 || || '''사동''' || {{{#696969 25.69%}}} || {{{#006CB7 39.72%}}} || 10.18% || 6.78% || 5.56% || {{{#696969 '''▼14.03'''}}} || 56.49 || || '''사이동''' || 28.66% || {{{#006CB7 37.34%}}} || 9.37% || 7.30% || 5.53% || ▼8.68 || 59.49 || || '''해양동''' || 32.10% || {{{#4169E1 35.30%}}} || 10.21% || 8.52% || 5.68% || ▼3.20 || 68.08 || || '''본오1동''' || 26.60% || {{{#006CB7 '''40.55%'''}}} || 8.77% || 5.64% || 5.22% || ▼13.95 || {{{#696969 '''50.88'''}}} || || '''본오2동''' || 28.98% || {{{#006CB7 38.57%}}} || 9.08% || 5.88% || 4.85% || ▼9.59 || 59.61 || || '''본오3동''' || 28.99% || {{{#006CB7 37.93%}}} || 9.31% || 6.93% || 5.24% || ▼8.94 || 61.76 || || '''부곡동''' || 28.83% || {{{#006CB7 38.03%}}} || 9.53% || 5.14% || 5.57% || ▼9.20 || 55.00 || || '''월피동''' || 28.27% || {{{#006CB7 39.13%}}} || 9.56% || 5.97% || 5.11% || ▼10.86 || 55.06 || || '''성포동''' || 31.44% || {{{#006CB7 35.69%}}} || 10.19% || 7.33% || 5.25% || ▼4.25 || '''68.45''' || || '''반월동''' || '''33.82%''' || {{{#006CB7 35.37%}}} || 8.45% || 5.54% || 4.70% || '''▼1.55''' || 65.28 || || '''안산동''' || 33.37% || {{{#006CB7 37.30%}}} || 8.29% || 4.24% || 4.49% || ▼3.93 || 59.87 || || '''정당''' || [[미래한국당|{{{#EF426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006CB7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CC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EA5504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003E98 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23.68% || {{{#006CB7 28.70%}}} || 9.56% || 11.00% || 4.06% || ▼5.02 || || || '''관외사전투표''' || 22.58% || {{{#006CB7 40.06%}}} || 10.25% || 6.81% || 7.06% || ▼17.48 || || || '''재외투표''' || 18.26% || {{{#006CB7 39.42%}}} || 9.13% || 3.36% || 17.30% || ▼21.15 ||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안산시 상록구 갑, version=190)][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상록구, version=384)][[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상록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