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기도의 대로)] ||<-4> {{{#fff {{{+1 '''안성대로'''}}}[br] 安城大路 | Anseong-daero }}} || || ← [[평택시|{{{#!html평택}}}]] {{{#!html방면}}}[br][[경기동로]] ||<-2> [[82번 지방도|{{{#!html
82번
지방도
}}}]] || [[평창군|{{{#!html평창}}}]] {{{#!html방면}}} →[br][[신창길]] || || ← [[춘천시|{{{#!html춘천}}}]] {{{#!html방면}}}[br][[신창길]] ||<-2> [[70번 지방도|{{{#!html
70번
지방도
}}}]] || [[청양군|{{{#!html청양}}}]] {{{#!html방면}}} →[br][[미양로]] || || ← [[서울특별시|{{{#!html서울}}}]] {{{#!html방면}}}[br][[만세로(경기도)|만세로]] ||<-2> [[23번 지방도|{{{#!html
23번
지방도
}}}]] || [[천안시|{{{#!html천안}}}]] {{{#!html방면}}} →[br][[망향로]] || ||<-4> '''{{{#fff 노선 번호}}}''' || ||<-4> '''[[82번 지방도]]'''[* 난실교차로~고삼교차로][br]'''[[70번 지방도]]'''[* 고삼교차로~신기교차로][br]'''[[23번 지방도]]'''[* 모산교차로~입장교차로] || ||<-4> '''{{{#fff 기점}}}''' || ||<-4>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난실교차로 || ||<-4> '''{{{#fff 종점}}}''' || ||<-4>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입장교차로 || ||<-4> '''{{{#fff 연장}}}''' || ||<-4> 24.6km || ||<-4> '''{{{#fff 개통일}}}''' || ||<-4> [[2005년]] [[10월 31일]][* 장서교차로~모산교차로 구간][br] [[2013년]] [[7월 31일]][* 모산교차로~입장교차로] || ||<-4> '''{{{#fff 관리}}}''' || ||<-2> [[경기도]] ||<-2> [[안성시]] || ||<-4> '''{{{#fff 왕복 차로 수}}}''' || ||<-4> 4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난실교차로 - 고삼교차로 - 모산교차로 - 신기교차로 - [[남안성IC]] || [목차] == 개요 == [[경기도]] [[안성시]] 난실교차로부터 [[충청남도]] [[천안시]]계(입장교차로)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난실교차로에서 서쪽으로는 [[314번 지방도]]의 양성로, 북쪽으로는 [[82번 지방도]]의 경기동로, 천안시계에서 남쪽으로는 [[23번 지방도]]의 망향로와 연결된다. 전 구간이 [[안성시]] 구간이며, 입체화가 되어있다. == 구간 == ||<:>배경색이 {{{+1 {{{#00ccff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c8c8c8><-5> '''양성로 직결''' || ||<)>|| || 난실교차로 ||→||[[82번 지방도|[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2)]]] [[경기동로]][br]오산, 송전 방면 || ||<)>|| || (노곡교차로) ||→||노곡리, 미리내성지 방면 || ||<)>신창길[br]신창리 방면||←|| (고삼교차로) ||→||[[70번 지방도|[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 [[82번 지방도|[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2)]]] 신창길[br]원삼, 고삼, 고삼저수지 방면 || ||<)>안성맞춤대로[br]고삼 방면||←|| (토현교차로) ||→||안성맞춤대로[br]안성 방면 || ||<)>모산로[br]양성 방면||←|| (보동교차로) ||→||모산로[br]대덕, 안성마춤유통센터 방면 || ||<)>[[23번 지방도|[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23)]]] [[만세로(경기도)|만세로]][br]양성 방면||←|| (모산교차로) ||→||만세로[br]평택, 안성 방면 || ||<)> || || (건지교차로) ||→||중앙로[br]평택, 안성 방면 || ||<)>[[70번 지방도|[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 미양로[br]성환, 미양 방면||←|| (신기교차로) ||→||미양로[br][[안성소방서]], [[안성경찰서]] 방면 || ||<)>[[평택제천고속도로|[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40)]]] [[평택제천고속도로]][br][[남안성IC]]||←|| (녹동교차로) ||→||제2공단1길[br]계륵리, 안성제2,3,4산업단지 방면 || ||<)>안성맞춤대로[br]보체리 방면||←|| (양변교차로) ||→||제4산단로[br]미양산업단지, 제4산업단지 방면 || ||<)>|| || (송산교차로) ||→||솔뫼로[br]서운, 송산리 방면 || ||<#c8c8c8><-5> '''망향로 직결''' || == 역사 == 사실 이 도로는 기존의 도로를 확장해서 만든 도로가 아니다. 과거 안성시에서 동서로는 [[38번 국도]]가 오래 전부터 4차로로 확장이 된 상태에다 안성시내를 우회해서 건설이 되었던 편이었다. 하지만 안성시 남북을 연결하는 도로는 상당히 부족한 편이었다. [[23번 지방도]]가 남쪽으로 천안시와 연결이 되어있었으나 2차선 도로였고, 북쪽으로는 각종 지방도가 양성면, 고삼면, 보개면 일대를 통해 각각 용인시 남사면, 이동면, 원삼면으로 연결이 되어 있었으나 역시 모두 시골도로였다. 그래서 이러한 도로들을 어느 정도 소화하면서 남북을 잇는 도로를 만든 것이 바로 안성대로다. 두 개의 도로 구간으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우선 진행된 구간이 양성-안성간 도로 공사로 장서교차로에서 모산교차로까지의 구간을 1998년 12월 착공한 후 2005년 10월 31일 개통시켰고, 이후 구간은 서운-안성간 도로 공사로 모산교차로에서 입장교차로까지의 구간을 2003년 착공한 후 2013년 7월 31일에 개통하면서 최종적으로 오늘날의 도로 구간이 완성되었다. == [[지방도]] 구간 == 전 구간이 [[지방도]] 구간인데 위에서 언급한 역사대로 여러 구간의 지방도들을 이으고 붙인 까닭에 구간마다 지방도가 모두 다르다. 시점은 난실교차로지만 바로 옆에 [[45번 국도]] [[남북대로]], [[314번 지방도]]의 양성로와 연결되는 장서교차로 일대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봐도 무방한데, 바로 난실교차로에서 [[82번 지방도]]가 고삼면 일대까지 연결이 된다. 고삼교차로에서 [[82번 지방도]]는 고삼호수로로 갈라지고, 여기서 [[70번 지방도]]가 이어진다. [[70번 지방도]]는 이후 모산교차로에서 [[23번 지방도]]와 합류하게 되는데 이 구간이 합류하는 구간인지, 바뀌는 구간인지는 분분하다. 왜냐하면 천안방면으로 가는 도로에서는 [[70번 지방도]]가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나와있지만, 얼마 가지 않아 도로 표지판이 [[23번 지방도]]로 바뀐다. 안성시의 행정지도에도 [[70번 지방도]]가 [[23번 지방도]]와 함께 가는 것으로 나온다. 아무래도 해당 구간의 도로 개통 시기가 달라서 표지판도 혼동스럽게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모산교차로 이후 구간은 [[23번 지방도]]가 되는 것이고, 신기교차로에서 [[70번 지방도]]가 분기된다. 중간에 [[평택제천고속도로]]의 [[남안성IC]]가 바로 접속한다. == 여담 == 참고로 비슷한 구간을 달리는 도로가 있는데 바로 안성맞춤대로다. ~~그런데 '''대로(大路)''' 주제에 '''2차선''' 구간이 거의 전부 다다(...)~~ 이 도로는 철저하게 해당 도로를 이루고 있는 지방도들의 예전 도로들을 따라다닌다. 첫 시점부터가 똑같은 난실교차로이고, 이후 과거 [[82번 지방도]], [[70번 지방도]]가 다녔던 도로로 가다가 안성시내에서 역시 과거 [[23번 지방도]]가 다녔던 도로들을 다녀서 천안시계로 연결된다. [[분류:경기도의 대로]][[분류:안성시의 도로]][[분류:23번 지방도]][[분류:70번 지방도]][[분류:82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