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안성 나들목'''}}}[br]{{{-2 '''安城 나들목'''}}}[br]{{{-2 '''Anseong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안성 요금소'''[br]{{{-2 Anseong Tollgate}}}}}}}}} || || [[구서IC|{{{#!html부산 방면}}}]][br][[북천안IC]][br]← 11.6 km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3]]{{{#!html
경부선}}}]]'''{{{#fff {{{+1 40}}}}}}''' || [[양재IC|{{{#!html서울 방면}}}]][br][[안성JC]][br]4.8 km → || ||<-3>{{{-1 {{{#0047a0,#eee ◀   [[입장거봉포도휴게소]](부산방향)}}}}}} || ||<-3> {{{-1 {{{#0047a0,#eee [[안성휴게소]](서울방향)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안성IC, 너비=100%, 높이=225px)]}}} || ||<-3>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안성 요금소 윗면.jpg|width=100%]]}}} || ||<-3> {{{-2 '''안성 방면으로 찍은 사진'''}}} || ||<-3> {{{#fff '''주소'''}}} || ||<-3>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승두리 || ||<-3> {{{#fff '''관리기관'''}}}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한국도로공사]] 대전충남본부 천안지사 || ||<-3> {{{#fff '''개통'''}}} || ||<-3> [[1969년]] [[9월 29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8)]([[서동대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안성 톨게이트.jpg|width=100%]] || || '''안성 전면 방면 사진''' || '''[[경부고속도로]] 40번.'''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승진길 37 (승두리 산73-4)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안성시]]에서 유래했다. [[서울]]과 오가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도 이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하며,차량증가로 '''2024년3월7일''' 경부고속도로 평일 버스전용차로가 [[안성IC]]까지 연장이 되었으며, [[스타필드]] [[안성]]으로 바로 연결되는 지하차도까지 만들어져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 구조 == === [[양재IC|서울]] 방향 === * 진출 가능: [[서동대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서동대로]] 양방향 === [[구서IC|부산]] 방향 === * 진출 가능: [[서동대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서동대로]] 양방향 == 역사 == * [[1969년]] [[9월 29일]] 경부고속도로 오산 - 천안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63000209206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6-30&officeId=00020&pageNo=6&printNo=14991&publishType=00020|링크]] == 기타 == * 경부고속도로 구간의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소재 최남단 경부고속도로 나들목이다. * 나들목이 [[안성시]]에 있으며, 개통 당시에는 경기도 [[안성]]에 위치해 있기에 고속도로 나들목으로 당연하게도 [[안성IC]]라는 이름으로 만들어 졌다. * 나들목 구조물은 현재의 안성시 관내에 존재하며,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엔 진출입로 주변까지 완벽하게 [[안성]] 지역이다. 하지만 현재는 진출입로와 만나는 [[38번 국도]]([[서동대로]])를 기준으로 북쪽은 평택시 용이동이고, 남쪽은 안성시 공도읍 진사리이다. 원래 안성 땅이었던 진출입로 부근의 안성군 원곡면 용이리가 평택군 평택읍(86년 평택시 승격, 95년 평택시·군,송탄시 통합)로 편입이 되었다. 과거 중대선거구제였던 시절 평택군-안성군 선거구 국회의원인 [[이자헌]], [[유치송]]이 모두 평택 출신이었던 탓에 안성에서는 지금도 '''평택놈들이 작당해서 알짜배기 원곡 땅 뺏어갔다'''며 이를 가는 시선이 있다. 이런 연유에 기인해서인지, 안성 나들목 바로 앞에는 이웃사촌 간의 미묘한 신경전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램프 진출 즉시 관측이 가능한 평택시 영문 PYEONGTAEK 문자 조형물과 홍보기둥이 설치되었고, 안성시 영역에는 안성맞춤이라고 써진 홍보 광고판과 안성시 홍보기둥이 놓여져 있는데, 본래는 PYEONGTAEK 문자 조형물과 안성맞춤 광고판 등만 있었으나 일자 미상 평택시 홍보기둥과 안성시 홍보기둥이 추가 설치되었다. * 서울 방향에서 [[성환읍]], [[둔포면]] 등 [[충청남도]] [[천안시]] 및 [[아산시]] 북부로 갈 때에 실시간 교통 상황에 의거 이 나들목을 이용하기도 한다.[* 2012년 당시까지는 경부선 서울방향에서 천안·아산 최북단지역까지는 무조건 안성IC에서 진출, 평택 [[팽성읍]]을 경유하는 경로가 유일했었지만 2012년 9월 [[북천안IC]] 개통 시점 이후는 태반이 그 나들목으로 나간다. 부산방향 한정 안성 [[미양면]], [[서운면]]도 여기로 빠져나와 가는 것보다 거기로 빠지는 게 접근성이 훨씬 더 용이한 실정.] * 교통혼잡 문제로 이 구간에 지하차도를 공사하여 2013년에 개통하였다. 버스의 경우 평택방향은 지하차도 옆길을 이용하고[* 옆길은 안성 방향은 1차로인데 평택 방향은 무려 3차로나 되어서 지하차도를 통과한 후 정류장에 가기 위해 차로를 3번이나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다.] 안성행은 지하차도에 진입한다. 그리고 용이동삼천리가스삼거리에서 우회전하는 차량들도 구조상 지하차도 오른쪽 옆길로 나가야 한다. * 인근에 [[스타필드 안성]]이 2020년 10월 7일 개장을 하였다. 애초에 안성 나들목 부근은 매 출퇴근시간마다 상습인 정체구간인데 개장 이후 정체가 더 심해졌다. 퇴근시간에 중앙대학교에서 안성IC를 지나 평택시내에 진입하는 데에만 한 시간 가까이 소요될 정도. 2021년 2월 10일에 안성IC에서 스타필드로 바로 연결되는 전용 지하차도가 개통되면서 교통 정체는 그나마 일부 해소되었다. 스타필드 진입로와 안성IC가 가깝다보니 초행길에 잘못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당황하지 말고 서울 방면으로 가다 보면 회차로가 나온다. * 2024년 2월 25일 오후 4시 9분경 경기 [[안성시]] [[공도읍]] 승두리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을 주행하던 25t [[화물]] [[트레일러]]의 뒤편 [[타이어]] 1개가 빠진 뒤 [[중앙분리대]]를 넘어 부산 방향으로 달리던 [[관광버스]] 내부까지 날아드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름 1m가 넘는 타이어가 버스 앞 [[유리창]]을 깨고 운전기사와 기사의 대각선 뒤편 좌석에 앉은 승객을 치고서 중간 통로까지 들어가는 바람에 타이어에 맞은 60대 운전기사와 60대 승객이 사망하고 승객 2명이 중상, 11명이 경상을 입었다. 버스는 총 37명의 승객들을 태우고 경기 [[안산시]]에서 [[광주광역시]]로 향하던 중이었다. 이들은 광주의 한 [[사진작가]]협회 회원들로 안산에서 모임을 마친 뒤 돌아가던 중 사고를 당했다. 소방당국은 구조인력 48명과 구급차 등 장비 17대 등을 투입해 승객들을 구조했다. 화물트레일러는 더 이상 주행하지 못하고 도로에 멈춰 섰다. 사고 현장 수습을 위해 1시간 가량 2개 차로가 통제되면서, 극심한 차량 정체가 빚어졌다. [[https://v.daum.net/v/20240225175803956|#1]] [[https://v.daum.net/v/20240225193626001|#2]]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574351_36515.html|#3]]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549465|#4]]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898587|#5]] [[입건]]된 트레일러 운전자는 "타이어가 갑자기 왜 빠졌는지 잘 모르겠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트레일러 운전자에게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고 [[구속영장]] 신청 여부도 검토하며 정비 불량 등 타이어가 빠진 원인을 확인해 [[과실치사]] 혐의 적용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후 3월 12일 기준 병원에서 치료받던 중상자 1명이 사망하면서 사망자는 총 3명으로 늘었다. 다른 중상자 1명은 아직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경상자도 기존 11명에서 14명이 늘어난 25명으로 증가했다. 사고 이후 뒤늦게 [[목]]이나 [[허리]] 통증 등을 호소하며 [[진단서]]를 제출한 이들이 있었기 때문. 경찰은 사고를 낸 화물 트레일러 운전자를 교통사고 처리 특례법 위반(치사) 혐의로 형사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는 사고 차량 및 빠진 바퀴에 대한 정밀 감정을 진행 중이다. [[https://v.daum.net/v/20240312193845926|#]] 2024년 4월 9일 [[한문철의 블랙박스 리뷰]]에서 해당 사고를 다루었다. [[https://youtu.be/K319On2iRnM|영상(18분 32초부터)]]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경부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경부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