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농구 선수, rd1=안세영(농구선수))]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0 도쿄 올림픽/배드민턴)] ---- ||<-2> '''{{{+1 안세영}}}[br]安洗瑩|An Se-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640H480_안세영 상반신 수정본.jpg|width=100%]]}}} || ||<|2> '''출생''' ||[[2002년]] [[2월 5일]] ([age(2002-02-05)]세) || ||[[전라남도]] [[나주시]] [[이창동(나주)|이창동]][*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8216|기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풍암초등학교 {{{-2 (졸업)}}}[br]광주체육중학교 {{{-2 (졸업)}}}[br][[광주체육고등학교]] {{{-2 (졸업)}}}|| || '''종목''' ||[[배드민턴]] || || '''주 종목''' ||여자 단식 || || '''세계 랭킹''' ||'''1위'''[* 2023년 7월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 투어 슈퍼 750 일본 오픈에서 우승하면서 세계 랭킹 포인트 10만 3914점을 쌓아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배드민턴)|야마구치 아카네]](10만1917점)를 제치고 2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7/31/2023073190145.html| ]]] || || '''신체''' ||170cm, 62kg[* 2023년 7월 네이버 프로필 기준 [[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query=%EC%95%88%EC%84%B8%EC%98%81&sm=mtp_hty.top&where=m| ]]] || || '''MBTI''' ||[[INFJ]] || || '''소속''' ||[[삼성생명 배드민턴단]] || || '''장비''' ||[[요넥스]] 아스트록스 77 pro || || '''후원사''' ||[[요넥스|요넥스코리아]](국가대표팀 스폰서)[br]테크니스트(소속 고단 스폰서) || || '''가족''' ||아버지 안정현[* 복싱 선수 출신이다.][br] 어머니 이현희[br] 남동생 [[https://www.instagram.com/a._.ys0108/|안윤성]]^^(2003년생)^^[* 같은 소속팀인 삼성생명 배드민턴 선수이며, 주 종목은 복식이다.]|| || '''링크''' ||[[https://www.instagram.com/a_sy_222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현재 대한민국 배드민턴 여자 단식의 각종 기록을 써내려가는 선수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세영/선수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가장 큰 무기는 강한 체력, 끈끈한 수비력과 넓은 코트 커버력으로 비록 스피드는 세계 랭커들 중 평범한 수준으로 평가 받지만 특유의 투지와 수비력으로 상대보다 한 발짝 더 뛰면서 범실을 유도해내는 플레이가 일품이다. 다만 스윙 스피드가 느려 공격력이 그만큼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체력을 기반으로 한 플레이를 선호하는 만큼, 세심한 몸관리와 파워의 보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2023년에는 1세트의 질식수비로 상대의 체력을 소비시키고 이어 2세트 부터는 강한 체력을 바탕으로 마치 기어를 올리는 것 같이 빠르고 공격적으로 게임 스타일을 바꿔 경기를 지배하면서 승리하는 걸 거의 매경기(92% 승률) 볼 수 있다. 강력한 수비 위주의 플레이로 상대의 범실을 유도하거나 대각 반스매싱 위주의 단조로운 공격 패턴에서 벗어나, 뛰어난 풋워크를 이용한 강력한 수비에 더해, 공격에서도 드롭샷, 드롭샷에 이은 푸쉬 혹은 헤어핀 공격, 직선 스매싱, 대각 스매싱 등이 많이 좋아졌다. 스매싱의 세기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코스 선택이 좋아서 상대가 받아내기 어렵고 범실이 거의 없다.[* 세기보다는 정확성, 공격후 리턴을 준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그동안 부족했던 공격력을 보강하며 2023년 7월까지만 7개의 대회에서 우승하고 세계 랭킹 1위까지 올라갔다.[* 한국 여자 선수로는 1996년 방수현 이후 처음이다.] 여기에 더해 경기 운영과 완급 조절까지 좋아지며 무결점 선수가 되어가고 있다.[* 세계배드민턴 연맹이 월드 투어 뉴스에서 무결점(Impeccable)이라고 칭할 정도이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8&aid=0000966331|#]]] == 방송 출연 == || '''{{{#000 연도}}}''' || '''{{{#000 방송일}}}''' || '''{{{#000 방송사}}}''' || '''{{{#000 제목}}}''' || '''{{{#000 영상}}}''' || || '''2023년''' || 3월 8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https://youtu.be/cege_Qk-WM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3년''' || 10월 11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50]]]] || 9시 뉴스 || [[https://youtu.be/guolBeWE2-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수상 기록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23 코펜하겐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2023 코펜하겐]] || 여자 단식 || || 동메달 || [[2022 도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2022 도쿄]] || 여자 단식 || ||<-3> {{{#ffffff 아시안게임}}} || || 금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여자 단식 || || 금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단체전 || ||<-3> {{{#ffffff 아시아 선수권}}} || || 은메달 || 2023 두바이 || 여자 단식 || || 동메달 || 2022 마닐라 || 여자 단식 || ||<-3> {{{#ffffff 아시아 팀선수권}}} || || 은메달 || 2020 마닐라 || 단체전 || || 동메달 || 2018 알로르스타르 || 단체전 || ||<-3> {{{#ffffff 수디르만 컵}}} || || 은메달 || 2023 쑤저우 || 혼성 단체전 || || 동메달 || 2021 반타 || 혼성 단체전 || ||<-3> {{{#ffffff 우버 컵}}} || || 금메달 || 2022 방콕 || 단체전 || || 동메달 || 2020 오르후스 || 단체전 || || 동메달 || 2018 방콕 || 단체전 || 2023년 10월 현재, 만 21세의 나이에 이미 올림픽을 제외한 수상할 수 있는 대부분의 메이저 대회 수상을 이뤄냈다. * 세계 선수권: 2023년 우승했으며, 올림픽과 더불어 세계배드민턴연맹(BWF) 랭킹 포인트가 가장 높은 대회다. * Super 1000급 BWF 월드 투어: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다음으로 랭킹포인트가 높은 4개의 대회들이며, 인도네시아 오픈을 2021년, 전영 오픈과 차이나 오픈을 2023년 각각 우승했다. [* 특히 전영오픈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회 중 하나답게 그 권위가 매우 높다] 아직 말레이시아 오픈만을 남겨둔 상태. [* 단, 말레이시아오픈은 투어 등급이 처음 나뉜 2011년~2013년, 2018년~2022년에는 한단계 아랫급이었어서 다른 세 대회에 비해 상징성이 다소 떨어진다] * BWF 월드 투어 파이널: 상기한 Super 1000급과 랭킹포인트는 동일하며, 2021년 우승했다. * 아시안 게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 단체전은 올림픽에는 정식종목이 아니지만 보통 여자대회인 우버 컵과 남녀혼성대회인 수디르만 컵, 그리고 아시안게임 단체전을 보통 빅3으로 꼽는데, 안세영은 우버컵을 2022년, 아시안게임 단체전을 2023년 각각 우승했다. 결과적으로, 흔히 말하는 개인전 슈퍼그랜드슬램 달성까지 올림픽 우승만이 남아 있으며 2023년 각종 메이저 대회 우승을 휩쓸며 절정의 폼을 과시한 상태에서 올림픽이 바로 1년 후인 만큼 [[2024 파리 올림픽]]은 안세영에게 굉장히 중요한 대회가 될 것이다. == 여담 == * 前 배드민턴 선수이자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단식 금메달리스트인 [[방수현]]에게 후계자로 [[https://www.youtube.com/watch?v=4AyA5P-JIZ0|인정 받았다]]. * 실력의 비결 중 하나로 초등학생 때부터 계속해서 써오고 있는 배드민턴 훈련 일지를 꼽았다. * 가장 친한 친군 유아연, [[이소율(배드민턴)|이소율]], 정희수라고 한다. * 2021년 SBS 드라마 [[라켓소년단]]에서 [[라켓소년단/등장인물#한세윤|한세윤]] 캐릭터의 모티브가 됐다. 안세영이 최연소 국가대표로 선발된 점을 본 따 한세윤 역시 최연소 국가대표가 꿈인 캐릭터다. 또한 안세영의 세레머니 역시 극 중 한세윤이 주니어 국제대회에서 우승한 후 따라하기도 했다. * 2021년 9월 7일 E채널 [[노는 언니|노는 언니 2]] 1회 게스트로 출연했다. * 출생지인 [[전라남도]] [[나주시]]에서는 '''나주의 딸'''로 통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8&aid=0000987446|기사]]] * 눈을 찡그리듯이 깜빡이는 버릇이 있다. 경기 뿐만 아니라 인터뷰에서도 그런 것을 보면 흘러내리는 땀 때문에 그런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 *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부상 투혼으로 2관왕에 오르며, 수많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14060?sid=102|방송 출연과 인터뷰, 광고 제안이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면서 큰 화제가 되었다. “여러분이 아는 안세영은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그저 평범한 운동선수”라면서 “메달 하나로 특별한 연예인이 된 건 아니다. 오늘 하루 잘 이겨나가며 묵묵히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수많은 선수들과 똑같은, ‘선수 안세영’일 뿐”이라며 개인 SNS에 입장을 밝혔다. 뜨거운 관심에 대해 감사의 뜻을 나타내면서도 선수로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2> '''국가대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세영 도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세영 항저우.jpg|width=100%]]}}} || || '''{{{#fff 2020 도쿄 올림픽}}}''' || '''{{{#fff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분류:2002년 출생]][[분류:나주시 출신 인물]][[분류:광주체육중학교 출신]][[분류:광주체육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드민턴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배드민턴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배드민턴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