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안초교와 안양/관악역을 잇는 9번 마을버스, rd1=안양 마을버스 9)] [include(틀:안양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양 9번 현대차량.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3_1382.png|width=100%]]}}} || || 9번 || 9-3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안양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안양시 일반시내버스 9번(반시계방향)}}} || ||<-2>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충훈부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충훈부종점) || ||<|2> 종점[br]행 || 첫차 || 04:45 ||<|2> 기점[br]행 || 첫차 || 05:45 || || 막차 || 22:50 || 막차 || 23:45 || ||<-2> 평일배차 || 8~10분 ||<-2> 주말배차 || 9~13분 || ||<-2> 운수사명 || [[삼영운수]] ||<-2> 인가대수 || 19대[* 실제로는 15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충훈부차고지]] → 석수초등학교 → [[안양1번가]].[[안양역]] → 비산사거리.이마트 → [[안양종합운동장]]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관문체육공원.과천성당 → [[남태령역]] → [[사당역]] → 낙성대입구 → [[서울대입구역]] → 봉천사거리.[[봉천역]].관악초등학교 → 에이치 플러스 양지병원 신림사거리.[[신림역]] → 난곡입구 → KT구로지사 → 금천우체국 → 시흥사거리 → [[석수역]] → [[관악역]] → 석수초등학교 → 충훈부종점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양 9, 9-3 노선도.png|width=100%]]}}} || ||<-6> [[파일:안양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안양시 일반시내버스 9-3번(시계방향)}}} || ||<-2>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충훈부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충훈부종점) || ||<|2> 종점[br]행 || 첫차 || 04:45 ||<|2> 기점[br]행 || 첫차 || 05:45 || || 막차 || 22:50 ||<:>막차|| 23:45 || ||<-2> 평일배차 || 6~10분 ||<-2> 주말배차 || 9~12분 || ||<-2> 운수사명 || [[삼영운수]] ||<-2> 인가대수 || 21대[* 실제로는 20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충훈부차고지]] → 석수초등학교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 난곡입구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사당역]]4번출구 → [[남태령역]] → 관문체육공원과천성당 → [[정부과천청사역]] → [[인덕원역]]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이마트안양점 → 안양1번가.[[안양역]] → 석수초등학교 → 충훈부종점 || == 개요 == [[삼영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충훈부차고지]]를 기점으로 안양시 북부와 서울시 남부(금천구, 관악구)를 한 바퀴 도는 순환 노선이다. 또한 진정한 의미의 시흥과 과천을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36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9&routeId=208000019|9번]],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9-3&routeId=208000020|9-3번]]) 다른 9번대인 9-1번과 9-2번은 [[안양시 버스 목록/폐선]] 문서를 참조. == 역사 == * 1980년대부터 삼영운수에서 운행하던 오래된 노선이다. 이 당시에는 적/청 분리로 운행했고 적색 노선은 현재 노선이고, 청색 노선은 [[박달동]]을 경유했다. * 광명역이 개업하면서, 2004년 4월 1일부터 청색 노선이 [[광명역]]에 들어갔다가 나오게 되었다. [[http://www.geumcheon.go.kr/program/board/detail.jsp?boardTypeID=4&menuID=001004004001¤tPage=6&boardLines=10&boardID=48876|관련 공지사항]] * 2006년 2월 21일에 청색 노선이 폐선되었다. [[http://www.tdaily.co.kr/skin/news/basic/view_fb.php?v_idx=1507|관련 기사]] 원래는 11일에 폐선하려 했지만, 시와 업체 간 협의를 위해 연기되었다. [[http://www.inews.org/Snews/articleshow.php?Domain=ngoanyang&No=16840|관련 기사]] * 과천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후 9번이 사당역사거리에서 직진해서 U턴후 우회전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8년 11월 3일부터 9번이 [[서울 버스 5528|5528번]], [[서울 버스 5530|5530번]]과 같이 사당역9번출구 정류소에 정차한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97523|관련 게시물]] * 2018~2019년 일자 미상으로 9번이 독산고개 가변차로 정류장에서 문성초등학교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안양에서 [[신림동]]·[[봉천동]]을 잇는 세 개의 노선들(9, 9-3, [[서울 버스 5530|5530]]) 중 하나로 9번과 9-3번은 [[충훈부차고지|충훈부]] 종점에서 안양, 과천, 사당동, 신림동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9번은 충훈부 종점 → 안양 → 인덕원 → 과천 → 사당역 → 봉천동 → 신림동 → 독산동 → 시흥동 → 충분부 종점을 순환하는 노선(반시계 방향, 외선 순환)이며 9-3번은 9번의 역방향 순환 노선(시계 방향, 내선 순환)이다. * 과천에서 [[사당역]]으로 가는 노선 중 유일하게 관악구 방향으로 간다. 대다수는 종착 아니면 [[동작대로]] 방향으로 운행한다. * 9번과 9-3번은 반대로 운행한다는 것 외에는 두 군데를 빼고 노선이 같은데, 바로 [[관악역]], [[사당역]] 구간이다. 9번은 [[안양 버스 80]]번처럼 관악역 1번출구 바로 앞에 세워주는 반면, 9-3번은 [[안양 버스 5]]번처럼 산정아파트 맞은편(동아제약 물류센터 앞)에 세워준다. 이유는 1번출구 건너편에는 인도가 없기 때문이다. 남태령 중앙차로 개통으로 사당역 구간도 살짝 달라졌다. 9번은 사당역(중)과 사당역 9번출구 2곳에 정차하나, 9-3번은 4번출구 한 곳만 정차한다. * 안양 시내와 사당역을 오갈 때는, 정차 정류장이 많고 [[신림역]], [[인덕원역]]을 경유하여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굴곡이 큰]] 이 노선보다 [[강남순환로]]를 통해 최단 경로로 이어주는 [[광역급행버스 M5556|M5556번]]을 이용하거나, 환승을 동반하더라도 2호선이나 4호선 등 전철을 활용하는 것이 이 노선보다는 훨씬 더 빠르다. 다만 남부순환로 상에서의 중단거리를 이동한다면 서울 버스들은 [[에코시스템|연비절감 장치]]의 영향으로 저속 운행을 하다보니 이 노선이 더 빠르다. * 9번보다 9-3번의 수요가 높고 이에 따라 9-3번의 운행댓수가 좀 더 많은데, 이는 남태령의 상행 방향의 정체가 심하기 때문이다. 남태령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된 후로도, 9-3번은 사당역 구간에서 남부순환로에서 우회전하여 곧바로 4번출구에 서지만, 9번은 사당역 중앙차로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수역 방면으로 직진 후 유턴, 9번출구 경유 후 다시 우회전하는데 여기서만 시간을 10분 정도 까먹다보니 9-3번의 우위가 있다. 그 외에도 9-3의 우위는 전철과의 비교에서 착석보장 문제도 크다. 서울 관악구 지역에서 출발해서 전철을 타고 사당역 환승 시 퇴근시간대에는 4호선이 매우 혼잡하여 착석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RH 시간대의 9번과 이동 패턴이 대응되는 2호선 사당->신림 방향은 다소 혼잡도가 낮고 착석도 용이하다보니 4호선 또는 아무 버스로 사당역에 온 뒤 2호선을 이용하는 것이 쾌적하면서도 시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9-3이 출퇴근시간대에 혼잡한 상황이더라도, 사당역, 신림역 등에서 물갈이가 종종 되는 만큼 착석 기회는 많다. * 구형 LED의 경유지에 '''남부경찰서'''가 있는데, 이는 현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정류장 인근에 [[서울남부경찰서]](현 [[서울금천경찰서]])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경찰서의 명칭이 바뀐 건 2006년이고 경기도 버스의 LED 도입은 2008~9년이므로 명백한 명칭 오류이다. 게다 2018년에는 경찰서 청사 자체도 다른 곳(금천구청 옆)으로 옮겨갔다.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저상 포함)]]로 운행한다. 과거에는 [[대우 BS|BS106]], [[대우 BC|BC211M]]도 운행하였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영운수, 문단=6.2)] 2014년 6월 14일, 1급 시각장애인이 안내견을 동반하여 탑승하려고 하자, 기사가 고성을 지르며 이를 거부한 사건이 발생했다.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406191027501|기사]] 이에 대해 대표이사가 [[http://www.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30|공식 사과]]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양역]][*A 안양1번가.안양고용센터 안양중앙시장 하차.],[[관악역]], [[석수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사당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 [[남태령역]], [[과천역]], [[정부과천청사역]], [[인덕원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 * 일반 철도역: 안양역(무궁화호)[*A] == 둘러보기 == [include(틀:안양-사당역간 시내버스)] [[분류:안양시의 시내버스]][[분류:과천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안양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