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 안토니오 뤼디거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프리츠 발터 메달|[[파일:Fritz-Walter-stiftung.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a76d; font-size: 0.9em" [[틀:2012 프리츠 발터 메달|{{{#ffffff '''2012 프리츠 발터 U-19 금메달'''}}}]]}}}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ffffff '''UCL 시즌의 스쿼드'''}}}]]}}} ||<-3>[[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20-21 베스트팀|2020-21]] · [[틀:UEFA 챔피언스 리그 2021-22 베스트팀|2021-22]] || || [[틀:2021-22 PFA 올해의 팀|[[파일:PFA_UK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2021-22 PFA 올해의 팀|{{{#c18e33 '''2021-22 PFA 올해의 팀''' }}}]]}}} || [[ESM 올해의 팀|[[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height=3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21-22 ESM 올해의 팀|{{{#ffffff '''2021-22 ESM 올해의 팀'''}}}]]}}}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tonio Rüdiger(23-24).png|width=100%]]}}} || ||<-3> '''레알 마드리드 CF No. 22''' || ||<-3> '''{{{#050047 {{{+2 안토니오 뤼디거}}}[br]Antonio Rüdiger}}}''' || ||<-2><|2> '''출생''' ||[[1993년]] [[3월 3일]] ([age(1993-03-03)]세) || ||{{{-1 [[베를린|베를린주]] [[노이쾰른구|노이쾰른]]}}}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include(틀:국기, 국명=시에라리온)] || ||<-2> '''신체'''[* [[https://www.realmadrid.com/en/football/squad/antonio-rudiger-|레알 마드리드 CF 공식 프로필]]] ||[[키(신체)|키]] 190cm / [[체중]] 86kg || ||<-2> '''포지션''' ||[[센터백]] || ||<-2> '''주발''' ||오른발 || ||<|2> '''소속''' || '''유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08~2011)[br][[VfB 슈투트가르트]] (2011) || || '''선수''' ||[[VfB 슈투트가르트 II]] (2011~2012)[br][[VfB 슈투트가르트]] (2012~2015)[br]'''[[AS 로마]] (2015~2017)'''[br] '''[[첼시 FC]] (2017~2022)'''[br] '''[[레알 마드리드 CF]] (2022~ )''' || ||<-2> '''국가대표''' ||66경기 3골[* 2023년 11월 22일 기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2014~ )^^ || ||<-2>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niRuediger, 크기=28)]|[[https://www.instagram.com/toniruedig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https://www.facebook.com/toni.ruedige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8]]]]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등번호'''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2번''', 16번[br][[VfB 슈투트가르트]] - 24번, 30번[br][[AS 로마]] - '''2번'''[br][[첼시 FC]] - '''2번'''[br][[레알 마드리드 CF]] - '''22번''' || ||<-2> '''종교''' ||[[이슬람]] || ||<-2> '''후원사''' ||[[언더아머]]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국적의 [[레알 마드리드 CF]]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VfB 슈투트가르트]]에서 데뷔해서 [[AS 로마]]를 거쳐 [[첼시 FC]]로 이적한 뒤에 팀의 [[UEFA 챔피언스 리그|UCL]] 우승에 큰 기여를 했고, [[토마스 투헬]] 감독 체제에서 기량이 완전히 만개하여 2022-23 시즌에 본인의 드림 클럽인 [[레알 마드리드 CF]]로 이적했다. == 선수 경력 == === [[안토니오 뤼디거/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토니오 뤼디거/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10년, 독일 18세 이하 청소년 대표팀에 선발된 이후 연령별 대표팀을 거쳤다. 어머니가 [[시에라리온]] 출신이기 때문에 [[시에라리온 축구 국가대표팀|시에라리온 대표팀]]으로 차출될 수도 있었으나, 본인은 자신이 태어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을 선택했고, 2014년 5월 13일에 열린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와의 친선 경기를 통하여 [[A매치]]에 데뷔하였다. 이후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UEFA 유로 2016]]에서 독일 국가대표팀 최종 명단에 선발된 뤼디거는 대회 개막 직전 훈련 중 무릎 전방 [[십자인대]] 부상으로 유로 출전이 불가능해졌고, 결국 [[프랑스]]에 가지 못했다. 뤼디거의 대체자로는 [[요나탄 타]]가 선발되었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우승팀 자격으로 [[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에 자국 대표팀이 참여하게 되었는데, 뤼디거도 선발되었다. 좋은 활약을 펼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유럽)/C조|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아제르바이잔]]과의 홈 경기에서 A매치 데뷔 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에 일조하였다. [[2018년 FIFA 월드컵 러시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에 소집되었다. 엔트리 멤버 경합을 벌이던 도중 [[요주아 키미히]]와 마찰을 빚었다. 물론 팀 코치 [[미로슬라프 클로제]]가 중재해서 일단락되었다.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전에 [[마츠 훔멜스]]의 부상으로 인해 선발 출전했다. 전반전에는 선제골을 먹힐 당시 속절없이 녹아버리며 절망적인 모습을 보여줬으나, 후반에 독일이 변형 스리백을 운영하면서 후방에 뤼디거만 두고 공격을 가하는 전술을 펼쳤는데, 상대의 공격을 전부 차단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제롬 보아텡]]이 퇴장당하고 나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수비하며 극적인 역전승에 이바지했다. 하지만 실점의 여파가 컸는지 그날의 경기 워스트 11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의 [[장현수]]와 함께 올라왔고, 첼시는 브라질의 [[윌리안]], 아르헨티나의 [[윌리 카바예로]]와 함께 워스트만 셋이나 배출해내는 기염을 토했다. ==== [[UEFA 네이션스 리그/2018-19 시즌|2018-19 UEFA 네이션스 리그]] ==== [[UEFA 네이션스 리그/2018-19 시즌/리그 A|A조]] [[UEFA 네이션스 리그/2018-19 시즌/리그 A#s-2.1.1|1라운드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뱅자맹 파바르]]와 공을 다투는 상황에서 왼발이 파바르의 목을 밟으며 파바르에게 [[찰과상]]을 입게 했었다.[* 이날 경기는 [[독일]]의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의 홈구장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려 [[무승부|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https://naver.me/GA6JuxJl|#]] ==== [[UEFA 유로 2020]] ==== [[토마스 투헬]]이 첼시에 부임한 이후 소속 팀에서 폼을 되찾아 대표팀에서 선발 출장을 이어갔고 그 결과 [[UEFA 유로 2020]] 최종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마츠 후멜스]], [[마티아스 긴터]]와 함께 수비진을 구성하며 전 경기에 풀 타임 출전했지만, 16강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전에서 부진하였고 결국 조국의 이른 탈락으로 이어졌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1차전인 일본전에서 선발 출전했다. 전반전에는 일본의 공격수들을 완벽하게 틀어막으며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후반전에는 정반대로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안일한 플레이가 연달아 나오면서 수비 불안을 유발하더니 결국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독일 vs 일본|팀의 1:2 역전패]]의 원흉이 되어 버렸다. 또 이 날 경기에서 [[아사노 타쿠마]]와 경합하던 중 터치 라인 근처에 다다르자 [[2008 베이징 올림픽]] 100m 결승전에서 벌어진 [[우사인 볼트]]의 골인 직전 모습과 흡사한 [[타조|겅중겅중 뛰는 이상한 스프린트]][* 사실 뤼디거는 그 전부터 EPL, 라리가, 챔피언스리그 등에서 이런 돌출행동을 종종 했었기 때문에 아주 뜬금없는 것은 아니었다. 이 행동에 대해서는 일본의 크로스를 저지하기 위해 한 것이라는 의견과 뤼디거는 평소에도 상대방에게 심리전을 거는 것을 즐기고 [[트래시 토크]] 식의 행동을 잘하는 선수이기 때문에 조롱이 맞다는 의견으로 나뉜다. 이를 본 축구인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이었는데, 독일 축구 레전드이자 뤼디거의 선배이기도 한 [[디트마어 하만]]은 그의 플레이를 기만이라고 지적했고, 잉글랜드의 토니 카스카리노는 뤼디거는 아사노를 조롱했다면서 우스꽝스럽게 달리면서 웃고 있었다고 말했고, 맞상대국인 일본의 [[혼다 케이스케]]도 "지금 모습은 조금 성격이 나빠 보인다!"라고 이야기한 뒤 "(아사노를) 바보로 만드는 주법이다!"라고 비판했고, [[KBS]] 해설을 맡은 [[대한민국]]의 [[구자철]]도 "저 행동은 무시하는 것이다. 난 이렇게 뛰어도 널 이길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라고 역시 비난했다. 뤼디거의 의도가 뭐였든 간에 제3자가 보았을 때 팀의 태도에 도움을 주지 않는 불필요하고 상대를 약올리는 행위로 비쳐보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독일이 일본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이 날 뤼디거의 모습은 SNS에서도 두고두고 놀림감이 되었다.]도 한 차례 보여줬는데, 그 상황 당시에는 성공적으로 수비를 하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독일이 얼마나 안일한 플레이를 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 상징적인 장면이 되어버렸다. [[https://n.news.naver.com/sports/qatar2022/article/216/0000125047|#]] 스페인과의 2차전에서는 전반 39분에 스페인의 골망을 흔들었지만, [[VAR(축구)|VAR]] 결과 오프사이드여서 득점이 취소되었고, 경기는 후반전에 스페인이 먼저 한 골을 넣고 이어 독일이 동점골을 넣으면서 1대1 무승부로 끝났다. 팀의 승리가 절실한 상황에서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와 3차전을 치르게 됐는데, 이 경기에서 고군분투하며 코스타리카를 2골 차로 이기는 데에 성공했으나, 스페인이 일본 상대로 이겨야 독일이 진출하는 상황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독일이 이기면 스페인은 이길 필요가 없는 상황'''이 연출되며 실제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일본 vs 스페인|일본이 스페인을 2대1로 제압]]해버리자 자동으로 탈락이 확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신이 얕잡아본 일본'''에게 얻어맞은 것이 매우 뼈아픈 후회로 남게 될 것이다. 경기 종료후 매우 침통해 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3voBU5jrEI)]}}} || 주 포지션은 [[센터백]]으로 유사시에는 [[풀백(축구)|풀백]]과 [[수비형 미드필더]]에 위치할 수 있다. 190대의 매우 단단하고 탄력적인 피지컬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상회하는 매우 빠른 주력을 갖추고 있다.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최고 속력이 무려 시속 '''36.7km'''라고 하는데,[* 이게 어느 정도의 스피드인가 하면, 발 빠른 것으로 유명한 [[제이미 바디]], [[사디오 마네]], [[모하메드 살라]]의 최고 속력을 넘는다.] 속도가 중요시되는 현대 축구에서 발 빠른 자원이 적은 중앙 수비수가 이러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은 상당한 메리트이다. 실제로 많은 발 빠른 공격수들이 1대1 상황에서 안토니오 뤼디거를 제치려고 시도했으나, 오히려 뤼디거의 단단한 피지컬과 빠른 스피드에 역으로 당한 경우가 다수일 정도로 뛰어난 대인수비 능력을 보여준다. 첼시 FC 시절 PL에서 빠르기로 자자한 [[모하메드 살라]]를 만날 때마다 틀어막은 것이 그 예. 세트피스 및 오버래핑 이후 수비 라인으로 복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마치 [[슬램덩크]]의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가 [[백코트]]를 하는 모습이 연상될 정도. 사기적인 운동능력과 피지컬을 갖추고 있지만, 발밑도 부드러워서 후방 [[빌드업]]에도 능숙해 현대 축구 트렌드에 잘 부합하는 선수라고 볼 수 있다. 강한 전방 압박을 [[축구도사]]처럼 척척 풀어내는 탈압박 능력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반대편으로 길게 뿌려주는 중장거리 롱패스 능력이 상당히 좋아 뤼디거의 방향 전환 패스 후 득점이 만들어진 적도 종종 있을 정도. 왼발도 잘 사용해서 최전성기였던 [[토마스 투헬]] 체제의 첼시에서 3백의 왼쪽 [[스토퍼]]로 출전해 양발을 가리지 않고 질 좋은 패스를 뿌려주었다. 뭐니 뭐니 해도 뤼디거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이러한 롱패스 능력과 저돌적인 공격 가담을 통한 '''전진하는 플레이'''다. 첼시에서는 3백 시스템에서 이러한 뤼디거의 장점이 백프로 발휘되었는데, 중장거리 패스를 통한 공격 전개능력이나 [[세트피스]] 상황에서의 헤더는 물론, 빠른 발을 활용하여 하프스페이스를 따라 직선 돌파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볼을 운반하는 모습은 웬만한 미드필더들보다 파괴력이 좋았고 공간이 나오면 과감하게 중거리 슈팅을 시도하기도 했다.[* 투헬 체제의 3백에서 이 부분이 다시 살아나며 공격 가담이이 아예 첼시의 정규 공격 옵션으로 자리잡았다. 센터백이 웬만한 [[윙어]]급 스피드로 돌진하니 상대 수비에 균열이 생길 수 밖에 없다.] 플레이 스타일상 센터백이지만 공격에 가담할 때는 어지간한 공격수보다 더 무섭게 몰아붙인다. 유망주 시절 슈투트가르트와 AS 로마 시절에는 수비 상황에서의 집중력이 안 좋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로마 시절을 거친 후 집중력이 많이 올라간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첼시 이적 후에도 가끔식 큰 실수들을 만들어내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첼시 초반 시절에는 파트너였던 [[다비드 루이스]]도 비슷한 성향을 보유하고 있어 둘이 폼이 안 좋거나 정줄을 놓아버리는 타이밍이 겹쳐버리면 대참사가 일어나는 것을 걱정했을 정도.] 투헬 체제의 첼시와 [[카를로 안첼로티]] 체제의 레알 마드리드에서는 이러한 수비 집중력 문제에서 문제를 거의 드러내지 않고 있다. 선수 자체가 달려드는 수비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에 카드 수집을 잘한다는 점도 약점이다. 다만, 나이가 들면서 수비 스킬이 완숙해지고 지능적인 플레이가 발전하면서 오히려 이를 역이용하기 시작했다. 플레이하는 동안 상대 팀 선수의 성질을 긁으면서 자신은 카드를 받지 않고 오히려 상대가 카드를 받게 하는, 즉 말레 라차를 통한 심리전을 이용하는 등 카드 수집이 줄어든 것은 물론 지능적인 수비와 상당히 저돌적이고 단단한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상대일 때는 매우 짜증나지만 동료일 때는 매우 든든한 스타일로 마치 [[레알 마드리드]] 시절의 [[페페(축구선수)|페페]]가 떠오른다는 팬들이 많다. 뤼디거의 또 다른 문제점이었던 잦은 부상은 첼시 입단 후 풀 타임 출전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여전히 팬들의 의구심을 사게 했었지만 투헬 체제 이후에는 부상도 잘 안 당하면서 말 그대로 무결점 센터백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지속된 무릎 부상으로 인해 추후 재발로 폼이 다시 떨어질 수 있는 시한폭탄인 것은 변함이 없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첼시 FC]] (2017~2022) * [[FA컵(잉글랜드)|FA컵]]: 2017-18 * [[UEFA 유로파 리그]]: 2018-19 * [[UEFA 챔피언스 리그]]: 2020-21 * [[UEFA 슈퍼컵]]: 2021 * [[FIFA 클럽 월드컵]]: 2021 * [[레알 마드리드 CF]] (2022~ ) * [[코파 델 레이]]: 2022-23 * [[UEFA 슈퍼컵]]: 2022 * [[FIFA 클럽 월드컵]]: 2022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7 === 개인 수상 ===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스쿼드]]: 2020-21, 2021-22 * [[PFA 올해의 팀]]: 2021-22 * [[ESM 올해의 팀]]: 2021-22 * [[프리츠 발터 메달]] U-19 금메달: 2012 == 여담 == * 애칭은 '토니'라고 한다. 레알 마드리드 이적 후에는 토니라는 이름을 가진 [[토니 크로스]]가 있기 때문에 '루디'라고 불린다고 한다. * [[AS 로마]]에서 [[첼시 FC]]로 넘어오면서 자신이 [[프리미어 리그|PL]]로 온 이유 중 하나가 [[세리에 A]]의 극성맞은 [[인종차별]] 응원 문화라고 한다. 더비전인 [[SS 라치오|라치오]]전에서 험한 꼴을 자주 본 모양. 그런데 문제는 이적하자마자 한 팬이 SNS에 남긴 멘트가 "Welcome Rudi'''niger'''"였다. * 팀메이트 2.0 첼시 TV 인터뷰에서 [[페드로 로드리게스|페드로]]가 가장 [[춤]] 잘 추는 팀원으로 지목했다. * 독일인은 딱딱하고 무뚝뚝하다는 고정관념과는 정반대로, [[제프 마이어]], [[마누엘 노이어]], [[토마스 뮐러]]를 연상케 하는 [[똘끼]]를 가지고 있다. 경기 내외로 엽사가 많이 찍히며(...) 첼시 관련 영상에서 춤추는 모습, 장난치는 모습에서 상당한 똘끼를 찾을 수 있다. * 로마 시절 동료였던 [[모하메드 살라]]와 친하지만 경기장에서는 살라가 가장 까다로워하는 마크맨 중 하나이다. * [[티모 베르너]]에게 첼시 이적을 강하게 추천했다고 한다. 그러나 티모 베르너는 첼시에서 기대 이하의 실력을 보여준다고 판단되어, [[RB 라이프치히|라이프치히]]로 되돌아간다. 베르너 이후 [[카이 하베르츠]]도 영입하기 위해 뤼디거가 직접 나섰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16&aid=0000107386|#]] 심지어 [[제롬 보아텡]], [[니클라스 쥘레]] 등 독일 센터백들이 링크가 뜨고 있는데 자신의 경쟁자가 될 수 있는 선수들임에도 불구하고 도움이 필요하다면 대화를 해보겠다는 리얼 [[에이전트]] 마인드를 보여주었다. * 상술하다시피 하지만 나오는 경기마다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독일의 불안한 행보때문에 해외 및 국내에서는 '타조 스텝, 타조'란 이명으로 불리고 있다. * 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승부욕이 매우 강하고 한 성깔 하는 듯하다. 상대 선수와 경합을 하다가 자주 신경전을 벌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안티가 많지만, 첼시, 레알 마드리드 팬들에겐 팀 분위기를 올려주는 좋은 선수이다. * 챔피언스 리그 우승 이후 둘째를 출산하는 겹경사를 맞았다. 둘째의 이름은 '[[빅 이어|트로피]] 뤼디거'이다. [[https://www.instagram.com/p/CPoK_5agicV/?igshid=YmMyMTA2M2Y=|#]] * [[풋볼 매니저]]에서는 피지컬, 점프, 주력 쪽으로 스탯 분배가 잘 되어 있어서 성능이 매우 좋지만 [[일카이 귄도안]], [[뱅자맹 멘디]]와 함께 십자인대 개노답 삼형제를 형성 중이라 은근 쓰기 힘들다. * [[피파 온라인 4]]에서는 최고의 센터백으로 평가받고 있다. 빠른 속도, 큰 키, 걸출한 피지컬로 피파 온라인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코어 스탯이 모두 좋기 때문. 심지어 팀컬러도 TOP4에 들어가는 첼시, 레알이다. 그 중에서도 20 챔스 뤼디거는 성능에 비해 급여도 낮아서 오버롤 대비 가격이 매우 비싸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 [include(틀: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분류:1993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베를린 출신 인물]][[분류:시에라리온계 독일인]][[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VfB 슈투트가르트 II/은퇴, 이적]][[분류:VfB 슈투트가르트/은퇴, 이적]][[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첼시 FC/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현역]][[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독일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수비수]][[분류:센터백]][[분류:독일의 무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