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RPoint.jpg|width=500]] Map size: 128×128 Map tile: Jungle Player: 4 ||||<#FF2400> '''{{{#white 사용된 MSL,스타리그 목록}}}''' || |||| [[CYON MSL]] [br] [[So1 스타리그 2005]] || ||||<#FF2400> '''{{{#white 종족별 밸런스}}}''' || ||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란 : 저그]] || '''98:59''' || ||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란 : 프로토스]] || 56:57 || ||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그 : 프로토스]] || 43:49 || * 맵 다운로드: [[https://cafe.daum.net/asiashoo/Lulz/428]] [[스타크래프트]]의 맵. 원래는 [[팀리그#s-2]] 전용으로 제작된 맵이었으나, 팀리그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와 합병되면서 개인리그 맵으로 전환된 케이스. 처음에는 스니커즈 올스타 리그에서 쓰였다가 이후 So1 스타리그, CYON MSL에 도입되었다. 지금도 맵 설명에 보면 그 때의 흔적이 남아 있다. 제작 후 수정된 적이 없으니 설명도 수정하지 않은 듯. 전형적인 [[테란맵]]으로, 특히 [[저그]]가 [[테란]] 상대로 [[3해처리 운영]]을 강제당하는 맵이라 테저전 밸런스가 좋지 않았다. [[플레인즈 투 힐]]처럼 센터 주위에 자원이 다소 적은 제3멀티가 4군데가 있는데 '''반언덕형이라서 탱크에 극도로 취약하기 때문에''' 선수들이 실제 경기에서 멀티를 한 적은 거의 없다. [[프로토스]]의 경우 그럭저럭 할 만한 맵이지만, 이 맵 사용 당시 유행했던 [[FD테란]]과 워낙 궁합이 잘 맞는 맵이라 토스들도 초반에 테란에게 피를 보긴 했다. 특히 각 스타팅의 두 번째 가스멀티(3시 아래쪽과 9시 위쪽 멀티)는 프로토스가 깨러 들어가면 테란이 병력들을 완전 포위하는 게 가능해서 병사들이 사라지는 진짜 알 포인트라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희생자는 [[안기효]].[* So1 스타리그 16강에서 유리했음에도 마인에 병력들을 헌납하면서 임요환에게 희대의 역전패를 당했다.] 이런 구도는 FD테란 [[파해|파해법]]이 나오면서 간신히 밸런스가 맞춰졌다.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vs. [[이병민]]의 말도 안 되는 SCV 학살이 벌어진 전장이기도 하다. 그외에도 최초로 사신토스라고 불리게 되는 [[오영종]] vs. [[홍진호]]의 다템러시와 [[임요환]] vs. [[이윤열]]의 밀봉[[관광#s-2.1|관광]]도 이 맵에서 나왔다. 또한 [[박성준(1986)|박성준]] vs. 이윤열의 저글링&드론 러시도 이 맵에서 나왔다. 이윤열은 홍진호에게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최종 결승 5경기를 이 맵에서 내주며 우승에 실패하기도 했다. 임요환이 이 맵에서 승률이 잘 나와서 '임포인트'라고도 불렸는데, So1 스타리그 때 이 맵에서 모든 선수[* 그 상대들이 [[안기효]], [[박정석]],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오영종]]으로, 전부 프로토스였다. 이 중 오영종은 So1 스타리그 우승자이지만, 결승전의 알포인트 경기에서는 임요환이 이겼다.]를 잡아냈다. 자매품은 [[레퀴엠(스타크래프트)|레퀴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알 포인트, version=267)]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