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4년 출생]][[분류: 독일의 축구선수]][[분류:SG 디나모 드레스덴/은퇴, 이적]][[분류:FC 바이에른 뮌헨/은퇴, 이적]][[분류:FC 레드불 잘츠부르크/은퇴, 이적]][[분류:LASK/은퇴, 이적]]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50031, #d50031 20%, #ffffff 20%, #ffffff 80%, #d50031 80%, #d50031);" {{{+1 [[RB 라이프치히|{{{#d50031 '''RB 라이프치히'''}}}]]}}}}}} || ||<-3> {{{#ffffff '''RasenBallsport Leipzig e.V.'''}}}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exander-zickler-co-trainer-g3676347.jpg|width=100%]]}}} || ||<-2> {{{#cc0033 ''' 이름 ''' }}} || {{{+1 '''알렉산더 치클러'''}}}[br]'''Alexander Zickler''' || ||<-2> {{{#cc0033 ''' 출생 ''' }}} ||[[1974년]] [[2월 28일]] ([age(1974-02-28)]세) /[br]{{{-1 [[동독]] [[튀링겐]]주 바트 잘충겐}}} || ||<-2> {{{#cc0033 ''' 국적 ''' }}} ||[[독일]]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2> {{{#cc0033 ''' 신체 ''' }}} ||[[키(신체)|키]] 188cm || ||<-2> {{{#cc0033 ''' 직업 ''' }}} ||축구선수([[공격수]] / ^^은퇴^^)[br][[코치(스포츠)|축구코치]] || ||<|2> {{{#cc0033 ''' 소속 ''' }}} || {{{#cc0033 ''' 선수 ''' }}} ||[[SG 디나모 드레스덴]](1980~1992 / ^^유스^^)[br][[SG 디나모 드레스덴]](1992~1993)[br][[FC 바이에른 뮌헨 II]](1993~1995)[br]'''[[FC 바이에른 뮌헨]](1993~2005)'''[br][[FC 레드불 잘츠부르크]](2005~2010)[br][[LASK]](2010~2011)[br]ASV Taxham(2012) || || {{{#cc0033 ''' 지도자 ''' }}} ||[[FC 레드불 잘츠부르크|레드불 잘츠부르크]](2012~2014/^^유스보조^^)[br][[FC 레드불 잘츠부르크|레드불 잘츠부르크]](2014~2017/^^유스^^)[br][[FC 리퍼링]](2017/^^코치^^)[br][[FC 레드불 잘츠부르크|레드불 잘츠부르크]](2017~2019/^^코치^^)[br]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2019~2021/^^수석코치^^)[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2021~2022/^^수석코치^^) [br][[RB 라이프치히]](2022~/^^수석코치^^)|| ||<-2> {{{#cc0033 ''' 국가대표 ''' }}} ||12경기 2골^^([[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98~2002)^^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코치]]. == 선수 경력 == === [[FC 바이에른 뮌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icklermunich.jpg|width=100%]]}}} || 구 [[동독]] 출신으로 [[디나모 드레스덴]] 유스시절을 거쳐 독일의 명문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했고 이후 장장 12시즌을 함께했다. 선수생활 내내 잔부상을 달고 살았고 정강이뼈도 세 차례나 골절당했던 만큼 활약한 기간에 비해 출전수가 적고 인지도가 크게 떨어지는데다 [* 특히 독일 국가대표로 출전이 12회밖에 되지 않으며 단 한번의 메이저 대회에도 참여하지 못했다.] 득점 수도 많지는 않으나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중 한명으로 현재까지도 사랑받고있다. 12년간 바이에른 선수로 활약하며 7회의 [[분데스리가]] 우승, 4회의 [[DFB-포칼]] 우승, 1995/96 시즌 [[UEFA 유로파리그]]의 전신인 [[UEFA컵]] 우승, 그리고 2000/01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기록했다. 바이에른 뮌헨 소속으로 [[분데스리가]]에서 214경기 출전 51골을 기록했고, 프로 통산 기록은 531경기 145골 51도움을 기록했다. (트랜스퍼마르크트 기준) == 국가대표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98년에서야 데뷔했는데, 2000년 8월 친선경기 스페인전에서 기록한 멀티골이 유이한 A매치 득점기록이다. 국가대표 출장은 총 12경기였으며, 2002년 은퇴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가공할 스피드와 슈팅 파워를 겸비한 전천후 공격수였다. 선발출장시에는 4-3-3의 왼쪽날개를 주로 맡았으며, 그 외 [[카르스텐 얀커]]와 [[지오반니 에우베르]]의 빈자리를 메꾸었다. 역습 상황에서 가공할 스피드를 이용해 긴 패스를 받아 그대로 득점이나 어시스트를 쌓는 상황을 자주 연출했으며, 키도 커서 공중볼 경합도 매우 강력했다. 다만 테크닉이 특출나게 뛰어나진 않아서 치클러를 활용할 수 있는 공격루트는 제한되어 있었고, 주로 역습에 의한 득점, 번뜩이는 오프더볼에 의한 득점, 공중볼을 통한 득점이 주 공격 루트였다. == [[타이틀]] == * [[분데스리가]] 우승 : 1993–94, 1996–97, 1998–99, 1999–2000, 2000–01, 2002–03, 2004–05 * [[DFB-포칼]] 우승: 1997–98, 1999–2000, 2002–03, 2004–05 * DFB-리가포칼: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3–04 *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2000–01 * [[UEFA컵]]: 1995–96 * 인터콘티넨털컵: 200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006–07, 2008–09, 2009–1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득점왕: 2006–07, 2007–08 * 오스트리아 올해의 축구 선수: 2005–06 * 오스트리아 축구선수 협회 올해의 선수: 2006–07 == 지도자 경력 == [[2012년]]부터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U-16 팀에서 코치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2017년]]부터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의 감독이었던 [[마르코 로제]] 사단에 합류하여 공격 코치를 맡기 시작했다. [[2019년]] 여름부터는 전술코치 [[르네 마리치]]와 체력코치 [[파트리크 아이벤베르거]]와 함께 [[마르코 로제]]를 따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로 합류하였다. [[마르코 로제]]가 2021년 도르트문트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도르트문트로 합류하였다. 2022년 마르코 로제가 경질되고 라이프치히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그의 뒤를 따라 라이프치히에 합류하였다. == 기타 == 선수시절 지클러는 구글에 사진 몇장 검색해봐도 알 수 있듯 선수를 그만두고 당장 모델이나 영화배우를 해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정말 잘생겼'''었'''다. 그러나 [[탈모]] 이후에는 쌈박한 아저씨가 되고 말았다.(...) [[파일:90193.jpg|width=300]] 묘하게 [[킬리언 머피]]와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