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캐나다 총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38, #00006b 20%, #00006b 80%, #000038)" '''제1대 애슬론 백작[br]제16대 캐나다 총독[br]제4대 남아프리카 연방 총독[br]{{{+1 알렉산더 케임브리지}}}[br]Alexander Cambridge, 1st Earl of Athlon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00px-Prince_of_Teck_LCCN2014696394.jpg|width=100%]]}}}|| || '''이름''' ||알렉산더 어거스터스 프레더릭 윌리엄 알프레드 조지 케임브리지[br](Alexander Augustus Frederick William Alfred George Cambridge)|| || '''출생''' ||[[1874년]] [[4월 14일]][br][[잉글랜드]] [[런던]] [[켄싱턴 궁전]]|| || '''사망''' ||[[1957년]] [[1월 16일]] (향년 82세)[br][[잉글랜드]] [[런던]] [[켄싱턴 궁전]]|| || '''학력''' ||[[이튼 칼리지]][br][[영국육군사관학교|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4> '''재임''' ||<#E7E7E7>제16대 [[캐나다]] 총독|| ||[[1940년]] [[6월 21일]] ~ [[1946년]] [[4월 12일]]|| ||<#E7E7E7>제4대 [[남아프리카 연방]] 총독|| ||[[1924년]] [[1월 21일]] ~ [[1930년]] [[12월 21일]]|| || '''배우자'''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 ,,(1904년 결혼),,|| || '''자녀''' ||메이, 루퍼트, 모리스|| || '''아버지''' ||[[프란츠 폰 테크|테크 공작 프란츠]]|| || '''어머니''' ||[[메리 애들레이드|케임브리지의 메리 애들레이드 공녀]]|| || '''형제''' ||[[테크의 메리|메리]], 아돌푸스, 프랜시스||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군사 경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복무''' ||[[영국 육군]] {{{-2 (1894년 ~ 1931년)}}} || ||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 || '''주요 참전''' ||제2차 마테벨레 전쟁[br][[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br][[제1차 세계 대전]]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군인이자 귀족. [[캐나다]]의 제16대 [[총독]]과 [[남아프리카 연방]] 제4대 총독을 지냈다. 영국의 국왕 [[조지 5세]]의 왕비인 [[테크의 메리]]의 막내동생이자 [[에드워드 8세]]와 [[조지 6세]]의 외삼촌이다. == 생애 == 1874년 [[켄싱턴 궁전]]에서 테크 공작 [[프란츠 폰 테크]]와 케임브리지의 [[메리 애들레이드]]의 3남이자 막내로 태어났다. 가족들 사이에선 애칭인 알지(Alge)로 불렸다. 1883년 가족이 빚 때문에 유럽 대륙을 전전했다. 이때 형 두 명은 영국의 기숙학교에 남았으며, 어린 알렉산더는 누나 [[테크의 메리]]와 주로 시간을 보냈다. 영국으로 돌아온 뒤 [[이튼 칼리지]]에서 재학했다. 1892년에 육군 학교에 들어간 알렉산더는 군인이 되어 제2차 마타벨레 전쟁과 [[보어 전쟁|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1903년 11월 16일에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의 딸인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와 약혼했다. [[에드워드 7세]]는 조카 앨리스를 통치 가문에 시집보내고 싶어했지만, [[혈우병]] 보인자인 앨리스와 혼담을 나누고 싶어하는 가문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알렉산더는 앨리스와 사랑에 빠져 1904년 2월 10일에 [[윈저 성]] 성 조지 성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두 사람 사이에서 2남 1녀가 태어났다. 1914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벨기에]]와 [[프랑스]] 전선에서 활약하면서 1915년 12월에 [[중령]]으로 진급했다. 전쟁으로 영국에서 반독일 감정이 극심해지자 1917년 7월에 원래 성인 폰 테크(von Teck)를 포기하고 형과 함께 케임브리지(Cambridge)로 성을 바꾸었다. 1917년 11월 7일에 매형인 [[조지 5세]]로부터 애슬론 백작과 트레마톤 자작 작위를 받았다. 종전 후 퇴역한 알렉산더는 연구 기관을 지원하는 등, 여러 민간 사회 활동을 했다. 그러나 1923년에 조지 5세는 알렉산더를 [[중장]]으로 승급시키고 남아프리카 연방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1924년에 남아프리카 연방에 도착한 알렉산더는 총독직을 수행했다. 당시 남아프리카 연방의 정치가들은 독립을 원했는데 알렉산더는 독자적인 국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이들의 요구를 적절하게 수용하고 조율하면서 정치가들의 신뢰를 얻었다. 총독직에 있는 동안 가터 기사로 임명되어 직무를 완료하고, 영국에 돌아온 1923년에 가터 기사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리고 다음 해에 [[런던 대학교]]의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혼란스러운 1940년에 [[캐나다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캐나다에서 모병 활동을 독려하고 군인들을 위한 의료 사업에 지원하면서 전쟁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여러 왕족들이 캐나다로 피신했기에 [[네덜란드]]의 [[빌헬미나 여왕]], 당시 왕세자였던 [[노르웨이]]의 [[올라프 5세]]와 [[스웨덴의 메르타 공주|메르타 왕세자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부르봉파르마의 지타 공녀|지타 황후]] 등, 많은 왕족들이 알렉산더를 방문했다. 1946년에 총독 직이 끝나고 영국에 돌아와 켄싱턴 궁전에서 노후를 보냈다. 말년에도 공무를 수행했으며, [[런던 대학교]] 총장[* 일반적으로 영국 대학교의 총장은 명예직으로 실권은 부총장과 이사회에 있다.]으로 1955년까지 재직했다. 1957년 1월 16일에 사망해 프로그모어 왕립 묘지에 안장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FFA3A5,#5c0001> 본인 ||<#FFDBAE,#512c00> 부모 ||<#FFFFAE,#505100> 조부모 ||<#AEFFC6,#005118> 증조부모 || ||<#FFE4E1,#330500><|13> 애슬론 백작 알렉산더 케임브리지[br]{{{-2 (Alexander Cambridge,[br]The Earl of Athlone)}}} ||<|6> [[프란츠 폰 테크|테크 공작 프란츠]][br]{{{-2 (Francis, Duke of Teck)}}} ||<|3> [[뷔르템베르크]]의 공작 알렉산더[br]{{{-2 (Duke Alexander of Württemberg)}}} || || [[뷔르템베르크]]의 공작 루트비히[br]{{{-2 (Duke Louis of Württemberg)}}} || || 나사우베일부르크의 공녀 헨리에테[br]{{{-2 (Princess Henriette of Nassau-Weilburg)}}} || ||<|3> 키스레데 여백작 레데이 클라우디아[br]{{{-2 (Countess Claudine Rhédey[br]von Kis-Rhéde)}}} || || 키스레데 백작 레데이 라슬로[br]{{{-2 (Count László Rhédey von Kis-Rhéde)}}} || || 나지바라드 여남작 인즈디 아그네스[br]{{{-2 (Baroness Agnes Inczédy von Nagy-Várad)}}} || ||<|7> [[메리 애들레이드|케임브리지의 메리 애들레이드 공녀]][br]{{{-2 (Princess Mary Adelaide[br]of Cambridge)}}} || ||<|3> [[아돌푸스 프레드릭|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푸스 왕자]][br]{{{-2 (Prince Adolphus, Duke of Cambridge)}}} || || [[조지 3세]][br]{{{-2 (George III)}}}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럿|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여공작 샬럿]][br]{{{-2 (Duchess Charlotte[br]of Mecklenburg-Strelitz)}}} || ||<|3> 헤센카셀의 공녀 아우구스타[br]{{{-2 (Princess Augusta of Hesse-Kassel)}}} || || 헤센카셀의 공자 프리드리히[br]{{{-2 (Prince Frederick of Hesse-Kassel)}}}[* [[조지 2세]]의 외손자이다.] || || 나사우우징겐의 공녀 카롤리네[br]{{{-2 (Princess Caroline of Nassau-Usingen)}}}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레이디 메이 아벨 스미스[br]{{{-2 (Lady May Abel Smith)}}} || [[1906년]] [[1월 23일]] || [[1994년]] [[5월 29일]] || 헨리 아벨 스미스[br]슬하 1남 2녀 || || '''1남''' || 트레마톤 자작 루퍼트 케임브리지[br]{{{-2 (Rupert Cambridge, Viscount Trematon)}}} || [[1907년]] [[4월 24일]] || [[1928년]] [[4월 15일]] || || || '''2남''' || 테크의 공자 모리스[br]{{{-2 (Prince Maurice of Teck)}}} || [[1910년]] [[3월 29일]] || [[1910년]] [[9월 14일]] || [br] || == 여담 == * 1939년에 [[축구협회(잉글랜드)|축구 협회]]의 협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축구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축구 협회의 협회장이 된 최초의 케이스이다. 이후 축구 협회장은 계속해서 왕족들이 임명되었다. * 막내인 모리스는 유아기에 사망하고 [[혈우병]] 환자였던 첫째 아들 루퍼트는 20살에 교통사고로 인한 뇌출혈로 사망하면서 애슬론 백작가의 남계는 단절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테크의 메리, version=349)] [[분류:영국의 군인]][[분류:영국의 백작]][[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테크 가문]][[분류:캐나다 총독]][[분류:런던 대학교 재직]][[분류:켄싱턴 출신 인물]][[분류:이튼 칼리지 출신]][[분류:가터 훈장]][[분류:1874년 출생]][[분류:1957년 사망]][[분류:프로그모어 안장자]][[분류:로열 빅토리아 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