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서부군관구 사령관)] ||<-3> '''제4대 서부군관구 사령관[br]{{{+1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주라블료프}}}[br]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Журавлёв'''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eksandr_Zhuravlyov.jpg|width=100%]]}}} || ||<|2> '''출생''' ||[[1965년]] [[12월 2일]] ([age(1965-12-02)]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튜멘주]] 골리시마노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학력''' ||첼랴빈스크 고등전차지휘학교[br]말리놉스키 기갑군사관학교[br][[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사관학교]]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상장(계급)|상장]] || ||<|6> '''경력'''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집단 사령관 || ||[[2016년]] [[7월]] ~ [[12월]]|| ||동부군관구 사령관 || ||[[2017년]] [[11월 22일]] ~ [[2018년]] [[11월]]|| ||서부군관구 사령관 || ||[[2018년]] [[11월 12일]] ~ [[2022년]] [[9월]]|| || '''참전''' ||[[제1차 체첸 전쟁]][br][[제2차 체첸 전쟁]][br]다게스탄 대테러전[br][[시리아 내전]][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군인이다. == 생애 == 1965년 12월 2일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튜멘주 골리시마놉스키구 골리시마노보에서 대학교를 갓 졸업한 아버지 알렉산드르와 어머니 갈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Zhuravlyov.jpg|width=100%]]}}} || || '''{{{#gold 어린 시절 주라블료프}}}''' || 아버지는 체육 교사로 노보베레좁스카야 학교에서 감독을 역임했고 어머니는 러시아어 및 문학 교사로 일했다. 알렉산드르는 승리의 날에서 열병식을 진행하는 군인을 보며 군인이 되기로 마음먹고 1982년 첼랴빈스크 고등전차지휘학교에 입학하여 1986년 졸업했다. 졸업 후 중앙군집단에 배치되었으며 1996년 말리놈스키 기갑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말리놉스키 기갑군사관학교 졸업 후에는 제1차 체첸 전쟁, 제2차 체첸 전쟁, 다게스탄 대테러전 등에 참전했다. 2008년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사관학교 졸업 후 [[제58제병협동군]] 제1부사령관 및 참모장에 부임했다. 2010년 6월 28일 제2근위제병협동군 사령관에 부임했다. 2013년 중앙군관구 부사령관에 부임했고 2015년 5월 [[남부군관구]] 제1부사령관 및 참모장에 부임했다. 9월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집단 참모장에 부임해 [[시리아]]에 배치되어 IS 소탕에 참여했으며 2016년 7월부터 12월까지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집단 사령관을 역임하게 되었다. 귀국 후 IS 격퇴에 대한 공로로 [[러시아 연방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으며 부총참모장에 부임했고, 2017년 2월 상장으로 진급하게 되었다. 또한 9월부터 [[동부군관구]] 사령관직을 권한대행으로 맡게 되었고, 11월 정식으로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2018년 11월 12일 제4대 서부군관구 사령관에 임명되었으나 2022년 임명 악 4년차에 우크라이나군의 가을공세로 하르키우주 대부분이 탈환되자 해임되었다. [[분류:1965년 출생]][[분류:튜멘주 출신 인물]][[분류:러시아의 군인]][[분류:러시아 연방 영웅]][[분류: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