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영국 함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Bulwark.jpg|width=100%]] || || [[파일:RN_Albion-Class_LPD_1.jpg|width=100%]] || || {{{#white '''''Albion''-class Landing Platform Dock'''}}} || [목차] == 개요 == 알비온급은 [[피어리스급 상륙함]][* [[포클랜드 전쟁]] 당시 [[영국군]]의 수송과 상륙 작전을 주도하여 주목을 받았었다.]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하여 1996년에 주문되어 BAE 시스템즈 해양사업부[* 前 빅커스 조선공학.]가 건조한 영국 해군의 신형 도크형 상륙함으로, 조기 퇴역이 예정된 [[오션급 강습상륙함]]을 이어 영국군의 주력 수송함이 될 예정이다. 특히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모두 취역하고 항모 타격단 2개의 편성이 완료된다면 2척의 알비온급과 베이급 상륙지원함은 순수하게 해병대/육군의 중장비 수송에 쓰일 수 있게 될 것이므로 영국군은 여단급 이상의 상륙작전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파일:RN_Albion-Class_LPD_2.jpg]] 각 함 내부에는 325명의 승조원이 탑승하고, 405명의 해병대원들이 승선하며, 그리고 차량 데크에는 다수의 중장비들을 탑재시킬 수 있다. 단시간에 병력들과 차량을 해안에 상륙시키기 위해서 총 8척의 [[상륙정]]들을 비행갑판 하부의 웰 덱 안에 수납하고 있으며, 그 중 4척은 주력전차를 해안에 바로 접안시킬 수 있는 [[로로선]] 형태의 LCM Mk.10 이고, 다른 4척은 35명의 해병대원 또는 트럭 2대를 실을 수 있는 LCVP이다. 웰 덱과 차량 데크 위에는 2기의 대형 [[헬리콥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비행갑판이 있어 상륙작전시 공중 강습 등에 활용될 수도 있으나, 헬기 격납고 및 유지보수 시설이 없어서 평시엔 그냥 임시 착륙장 처럼 쓰이고 전속된 항공기는 없다. 래이다 및 센서 시트는 [[23형 호위함]]의 것과 비슷한 것을 사용하는데, 켈빈 휴즈社의 1007/8형 항법 및 항공기 착함 유도 레이다와 996형 3차원 대공 레이다를 탑재하였다. 이후 2011년에는 구형 996형 레이다를 철거하고 신형 ARTISAN 레이다를 탑재하여 대공 탐지 능력이 항상되었다. 지휘 통제 및 통신 시스템으론 BAE社의 ADAWS 2000 전투 데이터 처리 시스템, CSS 지휘 보조 시스템과 위성 통신 장치가 탑재된다. 이 중 ADAWS 2000은 대공 전투 관제 및 피아식별 추적이 가능하고, 미군의 시스템과 호환되는 링크 16으로 대체되었다. 영국 해군의 CSS 시스템은 영국 해군 함선들과 일부 지상 기지에 설치되어 있는데, 알비온급의 CSS는 총 72개의 단말기로 구성 되어 있어 해군 테스크포스와 상륙부대의 지휘를 맡을 수 있어 [[강습상륙함]]처럼 해당 작전 지역의 아군에게 통합적인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알비온급 상륙함이 [[일본]]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주일영국대사관이 '''[[알비온(기동전사 건담 0083)|건담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며 드립을 쳤다.[[https://www.sankei.com/world/news/180803/wor1808030021-n1.html|#]] 와중에 [[건담 시작 2호기|이미 탈취되어서 없다]]는 드립도 있다. == 제원 == ||<-5><:> '''{{{#FFFFFF {{{+1 알비온급 상륙함}}} [br] ''Albion''-class Landing Platform Dock}}}''' || ||||<:> '''함종''' ||<(><-3> [[LPD]] || ||||<:> '''이전급''' ||||||<(> 피어리스급 || ||||<:> '''다음급''' ||||||<(> 미정 || ||||<:> '''기준배수량''' ||<(><-3> 14,000톤 || ||||<:> '''만재배수량''' ||<(><-3> 19,560톤 || ||||<:> '''길이''' ||<(><-3> 176m || ||||<:> '''폭''' ||<(><-3> 28.9m || ||||<:> '''[[흘수선]]''' ||<(><-3> 7.1m || ||<:><|3> '''동력''' ||<:> '''방식''' ||<(><-3> 디젤-전기 추진 || ||<:> '''기관''' ||<(><-3> 바르질라 바사 16V32E 디젤 발전기 2기 [br] (각 8,920마력) [br] 바르질라 바사 4R32E 디젤 발전기 2기 [br] (각 2,230마력) [br] 전기 모터 2기 || ||<:> '''추진''' ||<(><-3> 프로펠러 샤프트 2기 [br] 함수 스러스터 || ||||<:> '''속도''' ||<(><-3> 18노트 || ||||<:> '''항속거리''' ||<(><-3> 13,000km || ||||<:> '''승무원''' ||<(><-3> 승조원 325명 [br] 해병대원 410명 (최대 715명)|| ||<:><|2> '''레이다''' ||<:> '''3차원 대공''' ||<(><-3> [[BAE Systems|BAE]] 996형 3차원 대공 탐지/표적 지시 레이다 (철거) [br] [[BAE Systems|BAE]] 997형 ARTISAN 3차원 중거리 대공/대수상 탐지 레이다 || ||<:> '''항법''' ||<(><-3> 캘빈 휴즈 1007/8형 I밴드 항법 레이다 2기 || ||<:><|2> '''대응 장비''' ||<:> '''디코이''' ||<(><-3> Seagnat 디코이 발사기 8기 [br] [[BAE 시스템스|BAE]] DLH 디코이 [br] [[BAE 시스템스|BAE]] DLJ 디코이 || ||<:> '''[[ECM|ESM/ECM]]''' ||<(><-3> 탈레스 UAT(1) ESM || ||<:><|3> '''무장''' ||<:> '''기관포''' ||<(><-3> 쌍열 30mm 기관포 2기 || ||<:> '''CIWS''' ||<(><-3> [[시그널 사|시그널]] [[SGE-30 골키퍼]] 2문 (철거) [br] [[레이시온]] [[팰렁스|Mk.15 팰렁스 Block 1B]] 2문 (탑재 예정)|| ||<:> '''기타''' ||<(><-3> [[FN MAG|L7A2]] 7.62mm 다목적 기관총 4~6정 || ||<-2><:> '''항공 시설''' ||<(><-3> 비행갑판 (격납고 없음)[* CH-47급 대형 헬기 2대 동시 이착륙 가능.] || ||<-2><:> '''탑재 항공기''' ||<(> [[CH-47|치누크 HC.6]] 2기 ||<:> 또는 ||<:> [[AW101|멀린 HC.4A]] 2기 || ||<-2><:> '''탑재 수상정''' ||<(><-3> 퍼시픽 22 Mk.2 [[고속단정|RIB]] 2척 [br] LCVP Mk.5 4척 [br] LCU Mk.10 4척 || ||<-2><:> '''탑재 기갑차량''' ||<(><-3> 대형 군용트럭 31대 + 전술차량 36대 [br] 또는 [br] [[MRAP]] / [[FV430|FV432]] 30대 + [[챌린저 2|FV4034 챌린저 2]] [[주력전차|MBT]] 6대 || == 동형함 목록 == ||<-8><:> {{{#FFFFFF '''영국 왕립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모항''' ||<:> '''상태''' || ||<:> 1 ||<:> L14 ||<:> HMS 알비온 (Albion) ||<:> 1998.5.23. ||<:> 2001.3.9. ||<:> 2003.6.19. ||<:> 데번포트 ||<:><|2> 현역 || ||<:> 2 ||<:> L15 ||<:> HMS 불워크 (Bulwark) ||<:> 2000.1.27. ||<:> 2001.11.15. ||<:> 2004.12.10. ||<:> 데번포트 || 알비온급은 전부 [[센토어급 항공모함]]의 함명을 계승했다. 1번함 알비온은 센토어급 2번함 알비온에서, 2번함 불웍은 센토어급 3번함 불웍에서 따왔다. 마침 센토어급은 60년대에 LPH로 개장되기도 했다. 센토어급 3번함 불웍은 영국 최초의 LPH이기도 하다. [각주] [[분류:해상 병기/현대전]] [[분류:상륙함]] [[분류:200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