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알툴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이스트소프트)] [include(틀:알툴즈 제품군)] [[파일:알툴즈 로고.svg|width=250&align=right&theme=light]][[파일:알툴즈 로고 화이트.svg|width=250&align=right&theme=dark]] [목차] == 개요 == [[이스트소프트]]에서 만들어진 제품군. == 특징 == 알툴즈의 장점은 그래픽뷰어, AV, FTP 등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통합 관리한다는 점이다. 즉, 프로그램에 대해서 이렇다 할 지식이 없어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접근성이 강점이다. 귀찮고 복잡한 것을 꺼리고 빠르고 간편한 것을 찾는 한국인의 입맛에 제대로 부응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자신에게 쓸모없는, 사실상 정크 프로그램이 유입되는 창구가 되기도 한다.[* 다른 기업들도 이것에 감명을 받았는지 비슷한 것을 내놓고 있는 상태이다. [[네이버]]는 가장 먼저 알툴즈와 유사한 '네이버 툴즈'란 것을 내놓기도 했다. 성능은 알툴즈처럼 그 프로그램 하나만으로 자사의 다른 프로그램들을 통합 관리하는 것.] 2000년대까지는 대한민국에서 알툴즈 프로그램을 많이 쓸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2010년대 이후로는 방만한 운영과 경쟁 프로그램들(반디집, 꿀뷰 등)의 약진으로 영향력을 잃었다. == 제품군 일람 == 이하 대표적인 제품군들. * [[알집]] * [[알씨]] * [[알송]] * [[알약(백신)|알약]] * [[알FTP]] → [[알드라이브]][* 명칭 변경.] * 알키퍼: 컴퓨터에 있는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프로그램. 어지간히 [[듣보잡]]인지 존재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사실은 개인보다는 기업에서 사내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유통으로 인한 피해를 막는 데 쓰라고 만든 프로그램이니 개인이 굳이 이걸 쓸 필요는 없지만, 자기 컴퓨터에 자신도 모르는 개인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에는 나름 쓸모가 있다. 하지만 검색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게 문제. * 알캡처: 이 프로그램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윈도10에 기본 탑재된 캡처 도구, 캡처 및 스케치보다 작업 효율이 좋은데, 캡처들은 없는 캡처 후 바로 저장 옵션이 있기 때문. * 알PDF: [[PDF]] 변환/편집 프로그램. 기능이 지나치게 많아서 그런지 속도가 [[Adobe Acrobat]]에 비해 느리다. 하지만 Adobe Acrobat은 Reader를 제외하면 유료인데 이쪽은 무료다. Acrobat Pro와 비교하자면 속도는 느리되, 기능은 거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해외에서도 PDF 변환/편집 프로그램 중 무료는 드물고 있다 하더라도 페이지 수 제한 등 제한이 많기 때문에, 무료 PDF 변환/편집 프로그램 중에는 상당히 유용한 편이다. * 알마인드: 마인드맵을 만드는 프로그램. Lite 버전은 개인, 기업 모두 무료이고, Pro 버전은 둘 다 라이선스 구매을 해야 한다. 두 버전의 차이는 저장할 수 있는 포맷 중 PDF와 한글파일을 지원하냐 안 하냐 차이와 클립아트 가짓수 정도다. * 알툴즈 업데이트: 위의 제품들을 통합 관리하고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하나라도 설치하면 같이 설치되며, 현재 컴퓨터에 어떤 제품이 깔려있는지, 최신 버전인지 보여준다. * 알키보드: 모바일 키보드 입력 앱. 각종 스킨을 제공하고 초기 설정이 간편하다. 알 시리즈 중 제일 나은 모바일 프로그램. 모바일용 알집은 용량 제한이 있다. * [[페인트샵]] 프로 for 알툴즈 : [[코렐]]과 제휴해 낸 동명의 그래픽 프로그램의 한국어판. 2020이 초판이고 최신 제품은 2021.[[https://www.altools.co.kr/Download/PaintShop.aspx|#]] === 서비스 종료/종료 예정 === * 알패스: 각종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그런데 2017년 9월 5일에 14만건의 아이디/비밀번호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해서 방통위로부터 조사를 받았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1160252|관련 기사]] 2018년 3월 26일 서비스 종료되었다. * 알쇼핑: [[다나와]]와 같은 가격 비교 사이트. 2012년 7월 21일자로 서비스 종료. 다만 이스트소프트에서 자회사로 독립한 줌인터넷의 쇼핑줌이 기능을 계승하였다. * [[알백]]: 순간 복구 프로그램. 현재 시점을 저장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저장한 시점으로 바로 복구할 수 있다. [[https://www.altools.co.kr/support/notice_contents.aspx?idx=1388|2015년 10월 1일 서비스 종료.]] * 알GIF: 2005년 이후 업데이트가 중단되었고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에서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네이버나 다음 같은 대형 포털사이트의 자료실에서 간간히 발견된다. * [[알맵]]: 2005년 이후 업데이트가 중단되었고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에서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 알쇼: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 [[곰플레이어]]보다 훨씬 단순미적인 디자인을 가져 동영상의 내용에 집중하기 매우 용이하다. 코덱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고 지원하는 동영상 파일이 매우 많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시 뜨던 [[https://blog.aladin.co.kr/common/popup/printPopup/print_Paper.aspx?PaperId=568790|영화 포스터 패러디]]도 백미였다. 그러나 2013년 5월 14일에 서비스 종료 공지가 나왔고 현재 서비스가 중지되었다. * 알서핑: 모바일 전용 [[웹 브라우저]]. 장점으로 내세우는 건 알툴바하고 연계된다는 것. 자동 로그인, 온라인 즐겨찾기가 알툴바와 연계된다. 아이폰용은 2012년 2월 7일, 안드로이드용은 2012년 2월 8일에 나왔다. *알씨앨범: 내 사진을 앨범처럼 만들 수 있다. [[https://www.altools.co.kr/support/notice_contents.aspx?idx=1474|2016년 5월 3일 서비스 종료]] * [[알툴바]]: [[Internet Explorer]] 전용이라 Internet Explorer의 지원이 종료되는 [[https://www.altools.co.kr/support/Notice_Contents.aspx?idx=1980|2022년 6월 15일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공지했지만 [[https://www.altools.co.kr/support/Notice_Contents.aspx?idx=1991&page=3&t=|이후 공지]]를 통해 기술 지원 종료로 변경되었다. * 알람이: 알람앱. 알람음을 사거나 직접 만들 수 있는데 샵에서 지원하는 알람음 중 전문 성우[* [[양정화]], [[김승준(성우)|김승준]], [[정재헌]], [[김영선(성우)|김영선]], [[홍범기]],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등.]가 녹음 한 음성이 상당히 많아서 성우팬들 사이에선 유명한 앱. 현재는 서비스 종료.[* 정확히는 스토어 기능만 종료된 것이지 기능 자체는 이용 가능.] * 알메모: [[메모장]]와 [[Samsung Notes]]랑 비슷한 프로그램. [[https://www.altools.co.kr/brand/almemo/default.aspx|2016년 5월 12일에 서비스 종료]] * [[알약(백신)|알약]] 익스플로잇 쉴드: 현재 알툴즈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https://www.estsecurity.com/enterprise/security-center/notice/view/421?category-id=1|2019년 5월 2일에 서비스 종료]] * 알키보드: 모바일 키보드 입력 앱. 각종 스킨을 제공하고 초기 설정이 간편하다. 알 시리즈 중 제일 나은 모바일 프로그램. 모바일용 알집은 용량 제한이 있다.[[https://www.altools.co.kr/support/notice_contents.aspx?idx=1989|2022년 5월 16일에 서비스 종료]]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스트소프트, version=478)] == 알툴즈 제품군 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스트소프트, 문단=4)] == 대체 프로그램 == 알툴즈 제품군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아래의 프로그램들을 쓸 수도 있다. [[프리웨어/목록]] 문서도 참고. 이쪽은 말 그대로 무료인지라 기업이나 관공서에서 사용해도 탈 없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아래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개인[* 비상업 목적에 한정. 개인이더라도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라이센스를 구매해야 함.] 및 기업[* 자연인으로서의 개인을 제외한 모든 단체, 즉 일반 영리단체 및 학교 및 교육기관, 관공서, 비영리법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 개인과 기업은 사용장소를 기준으로 구분. 개인 소유의 노트북이더라도 회사건물 안에서 사용하면 기업 라이센스를 구매해야 함.]에서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기업체 사용 허가 여부를 조사 중이나 완벽하지 못하며, 라이센스 정책은 수시로 바뀔 수 있으니 '''사용 전 반드시 라이센스를 확인해야 한다.'''|| 아래 목록 중 [[AMD64]](★), [[AArch64]](☆) 네이티브 지원이 있을 경우 표시. * [[알집]] 대체 * [[반디집]]★☆ - [[https://www.bandisoft.com/bandizip|홈페이지]] alz, egg 포맷 압축 해제 가능. 201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서 '''알집을 사실상 완전히 대체한 압축 프로그램'''이다. * [[7-Zip|7zip]]★☆ - 범용 압축 포맷으로는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는 .7z 압축이 가능한 오픈소스 무료 압축 프로그램. * 피집(Peazip) - [[https://peazip.github.io|홈페이지]] 프리 파스칼로 작성된 오픈소스 GUI 압축 프로그램. 라이센스는 LGPL. 기능은 7zip과 비슷하며 이쪽은 리눅스도 지원한다. * unalz - alz 포맷 압축 해제 전담. zlib 라이센스에 따라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 [[WinRAR]]★ -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가장 신뢰성 있는 셰어웨어 압축 프로그램. 단, 무료가 아니라 [[셰어웨어]]므로 대체 프로그램이라고 하기에는... * [[V3 Zip|V3 ZIP]]★ - [[안랩]]에서 만든 압축 프로그램. alz 해제 역시 가능하지만 역시 기업에서는 유료. * [[알씨]] 대체 * [[알씨#s-4|해당 문서]] 참고. * [[알드라이브]] (舊 [[알FTP]]) 대체 * [[FileZilla]]★☆ - 무료 FTP의 최고 히트작. * [[Xftp]] - 개인 및 학교에서는 무료. 상용 소프트웨어라 퀄리티가 좋은 편. 한때 무료 버전에서는 창당 서버 탭을 2개까지만 열 수 있었으나 현재는 제한이 해제된 상태다. * [[알송]] 대체 과거 2000년대에 유행하였다가 2010년대 이후 [[반디집]], [[꿀뷰]]가 등장하며 완전히 몰락한 [[알집]], [[알씨]] 등의 다른 알툴즈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알송은 2021년 현재까지 인기를 유지하는 유일한 알툴즈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알송은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체하기 어려운데, 이는 알송엔 초강력한 킬러 콘텐츠라 볼 수 있는 '''방대한 노래 가사 DB'''를 다른 프로그램에선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점 때문이다. 알툴즈 프로그램에 이를 바득바득 가는 사람이라도 알송은 한국어 가사를 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실, 플러그인을 지원한다면 그걸로 끌어다 쓰면 된다. foobar2000의 일부 스킨에서 실제로 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위법'''이다. * [[곰오디오]] - [[곰앤컴퍼니]]에서 제공하는 음악 재생 플레이어. 해당 문서 참고. * [[Winamp]] - [[NASA]]에서 우주선 탑재 컴퓨터에 사용한다. [[http://forums.winamp.com/showthread.php?t=297520|#]]. 이외에도 많은 피트니스 클럽이나 음식점에서 사용중. 즉, 상업적인 사용 가능. [[http://forums.winamp.com/showthread.php?t=304239|#]][* 서방권 미디어 플레이어들은 대부분 업체 사용이 가능하지만, '''플레이하는 매체가 불법이 아니라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즉, 매체가 더 중요하지 플레이어가 중요한 게 아니다. 반례로, Pro 버전을 회사 돈으로 사서 정품CD 리핑해서 음악 틀면 불법이다.] 아쉽게도 2013년 12월 20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지만 레디오노미에 인수되어 되살아난 덕에 지금도 다운로드 가능. * [[http://www.jetaudio.com/download/|제트오디오]] - [[COWON]]에서 개발한 음악 플레이어. [[http://www.cowon.com/|코원 공식 사이트]]와는 별도로 개설된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우리가 아는 그 코원 제트오디오 맞으니 영문 사이트라고 너무 당황하진 말자. [[프리웨어]]로 배포되는 무료 버전인 Basic 버전과 BBE [[음장]]을 비롯한 몇몇 기능이 좀 더 추가된 유료 버전인 Plus VX 버전의 두 버전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 중 업데이트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는 쪽은 무료 버전인 Basic 버전 쪽인 듯하다. * [[foobar2000]]★ * [[AIMP]] - [[http://aimp.ru/|홈페이지]] 기업, 단체 무료 * 대부분의 동영상 플레이어 - 동영상 플레이어는 대부분 음악 재생을 지원한다. 하지만 재생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꽤 있으니 주의. * [[Windows Media Player]] - 그냥 MP3를 재생하는 용도라면 나쁘지 않다. Xiph.Org 재단에서 만든 코덱을 [[http://www.xiph.org/dshow/|여기]]에서 다운받아 설치하면 FLAC과 Ogg Vorbis도 재생 가능하다. [[윈도우 10]] 사용자라면 굳이 코덱을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FLAC 과 Ogg Vorbis를 들을 수 있다. *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플레이어]] - 가사 지원 기능 때문에 알송을 사용했던 사용자라면 멜론 플레이어도 대안이 될 수 있다. MP3 파일 내에 아무런 태그가 되어 있지 않을 때는 가사를 찾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합법적인 경로로 다운받은 파일들은 큰 문제 없이 가사 지원이 된다. * [[아이튠즈]] * JRiver Media Center★- 30일 무료 체험이다. jrmc로 줄여서도 불린다. 라이센스 코드 파일 확장자 .mjr로 시작된다. 2012년 기준 pc 음악 플레이어 1등을 했다. * [[http://www.syncios.com/|Syncios]] - iOS환경의 기기에서 음원을 추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iOS 14도 지원한다고 한다. * 알쇼 대체[* 곰플레이어, 팟플레이어, KMPlayer는 GPL 위반 의혹이 있다.] * [[곰플레이어]] - 기업 무료(비영리 목적에 한함). * [[팟플레이어]]★ * [[KMPlayer]]★ * [[Media Player Classic]]★ - HC는 프로젝트가 중단됐으므로 BE를 쓰면 된다. * [[VLC]] 미디어 플레이어★☆ * [[MPlayer]] - SMPlayer * [[알약(백신)|알약]] 대체 * [[무료백신]] 참고. * 알마인드 대체 * [[http://freemind.sourceforge.net/wiki/index.php/Main_Page|Freemind]] * 알캡처 대체 * [[픽픽]](한국 한정 기업/개인 무료) * 알메모 대체 *[[삼성 노트]]★☆ == 역대 로고 == || [[파일:알툴즈 구로고.png|width=100%]] || [[파일:알툴즈 로고 주황.svg|width=100%]] || [[파일:알툴즈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알툴즈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 ? ~ 2013년경 || 2014년경 ~ 2023년 6월경 || 2023년 7월경 ~ 현재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스트소프트, version=480)]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