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교회 한국대교구장]][[분류:그리스의 정교회 주교]][[분류:정교회 수도자]][[분류:재한 그리스인]][[분류:1960년 출생]][[분류:에기나 출신 인물]][[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재직]][[분류:아테네 대학교 출신]] [Include(틀:역대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3> {{{#efbc00 '''2대 정교회 한국대교구장'''[br] '''{{{+1 암브로시오스 조그라포스}}}'''[br] '''趙聖巖 | Αμβρόσιος Ζωγράφος'''}}}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2017021701032939173001_b_99_20170217120304.jpg|width=100%]]}}} || || '''본명''' ||<-2>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br](Αμβρόσιος Αριστοτέλης Ζωγράφος) || ||<|2> '''출생''' ||<-2>[[1960년]] [[3월 15일]] ([age(1960-03-15)]세) || ||<-2>[[그리스 왕국]] 에기나 섬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2> '''주교임명일''' ||<-2>[[2004년]] [[4월 20일]] 보좌주교 임명[* 질론의 주교, 전임 교구장 [[소티리오스 트람바스]] 대주교가 뉴질랜드 대교구 소속의 보좌주교로 한국을 사목하던 시절의 교구장 명의를 승계했다] || ||<-2>[[2008년]] [[7월 20일]] 교구장[* 일본 대리구장 겸직] 임명, 대주교 승품 || ||<|2> '''재임기간''' ||한국대교구장 ||[[2008년]] [[7월 20일]] ~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장 ||[[2016년]] ~ [[2017년]] || || '''학력''' ||<-2>[[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스 대학교]] {{{-2 (신학 / 학사)}}}[br]보스턴 성십자가 그리스 정교회 신학교 {{{-2 (교부학 / 석사)}}}[br][[프린스턴 대학교]] {{{-2 (교회사·예술사 / 석사)}}}[br][[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스 대학교]] {{{-2 (신학 / 박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 대주교는 제2대 [[정교회#s-5|정교회 한국대교구]]장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캠퍼스#s-2|글로벌캠퍼스]]에 위치한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국제지역대학|국제지역대학 학부]] 산하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국제지역대학#s-3|그리스·불가리아학과]]의 외국인 전임 교수이기도 하며,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한국 이름은 '''조성암(趙聖巖)'''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 생애 == * 1960년 3월 15일 그리스 에기나섬 출생 * 1983년 아테네 신학대학 졸업 * 1985년 보제 서품 * 1991년 사제 서품 * 1998년 12월 11일 아테네 신학대학 박사학위 취득 * 1998년 12월 23일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주임사제 * 2004년 주교 서품(질론의 명의주교) * 2008년 5월 27일 정교회 한국대교구장으로 선출 * 2008년 7월 20일 정교회 한국대교구 대주교좌 승좌 == 저서 및 논문 == * “정교회의 사순절 영적 여행 코스”, 오늘 문화매거진, 서울, 2003, 34-35. * “정교회 성화에서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분으로서 또 하늘보다 더 넓으신 분으로서의 테오토코스”, 영성생활, 서울, 도서출판 영성생활, 2003, 50-66. * “영감의 예술”, The Russian Icons, Inspired Art, 서울, 석경미술연구소, 2003. * “서미경의 비잔틴 성화, 모자이크”, 미술시대, 서울, 2004, 120-121. * 비잔틴 성화, 영성 예술, 한국 정교회 출판부, 2004. * “거룩함의 의미”, 사로브의 천사 세라핌 성인, 서울, 한국정교회 출판부, 2007, 3-10. * “성 요한 크리소스톰과 선교”, 성 요한 크리소스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안식 1600주년 기념 심포지엄 (407-2007), 한국 정교회 대교구, 2007, pp. 32-42. * “역사 교과서 내용의 수정에 대한 제의”, HUF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ign Studies, 1 (2008) pp. 279-288. * 그리스도인의 죽음, 목회-사목적 접근, 2012. * “정교회 확산(Diaspora)의 본보기, 한국”, 한국에서 만나는 러시아 정교, 고려대학교 ‘한러대화’ 문화예술분과, 2012, pp. 28-36. * 성 에프렘 기도, 영적 정화를 위한 실천적 지침, 정교회 출판사, 2013. *“영성의 예술, 정교회 예술의 상징과 의미”, 문화영성대학원 10주년 기념특강, 가톨릭대학교, 2013. * “일치를 위한 정교회와 로마가톨릭교회의 분투”,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를 위한 신앙, 실천, 영성, 제 14회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포럼, 한국 그리스도교 신앙과 직제협의회, 2014. * “정교회와 이콘”, 세계문화유산 속으로 1. 그리스편, 2014년 인문아카데미 봄학기 금요강좌, 예술의 전당, 2014. * “박해받고 있는 정교회”, 제550호 회보,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2014. * “성화; 정교회의 하나의 귀중한 영적 보물”, 그리스의 역사와 문화, 세계문화과정 제30기 강의교재, LH[[토지주택박물관]], 2014. * “분열인가, 개혁인가? 동 서방 교회 대분열(1054)의 가장 주된 원인”,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아카데미 자료묶음, 2015년 1월 22일 – 4월 30일, pp. 15-21. == 여담 == *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이 작은 관계로 그의 1층 집무실을 성당 마당에서 볼 수 있다. 창문 속을 자세히 보면 책상에 앉아 집무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 종파를 막론하여 대주교를 가까이 뵐 수 있는 점은 이색적으로 다가오기도 하며, 작은 규모인 한국 정교회이기에 정겨운 느낌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 [[정교회]] * [[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