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InvitationtoaDarkSleep-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어둠의 잠을 청하는 루시퍼'''|| || 일어판 명칭 ||<-4>'''[ruby(暗黒, ruby=あんこく)]の[ruby(眠, ruby=ねむ)]りを[ruby(誘, ruby=さそ)]うルシファー'''|| || 영어판 명칭 ||<-4>'''Invitation to Dark Sleep'''||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불명 || 불명 || 1500 || 1800 || ||<-5>카드가 바깥으로 드러나면 몬스터 한마리를 잠들게 한다.|| 원작에서는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개최 직전에 [[카이바 세토]]가 듀얼 컴퓨터와의 듀얼 중 사용. 듀얼 컴퓨터의 [[푸른 눈의 백룡]]을 대항하기 위해 소환했으나, 다음 턴에 컴퓨터가 드래곤족을 대상으로 한 효과를 막는 [[드래곤의 제왕]]을 꺼내는 바람에 그대로 막혀버렸다. 이후 [[철완 골렘]]과 함께 카이바가 소환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효과 발동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이 카드의 역할이 [[용살자(유희왕)|용살자]]로 대체되면서 등장하지 않는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InvitationtoaDa-DM3-JP-VG.png]] || 한글판 명칭 ||<-4>'''암흑의 잠을 청하는 루시퍼'''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暗黒, ruby=あんこく)]の[ruby(眠, ruby=ねむ)]りを[ruby(誘, ruby=さそ)]うルシファー'''|| || 영어판 명칭 ||<-4>'''Invitation to Dark Sleep'''||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6.] || 환상마족 || 마법사족 || 1500 || 1800 || ||<-5>암흑의 구름을 불러내어 상대의 몬스터를 잠재워버린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암흑의 구름을 불러내어, 적의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잠재우는 효과를 가졌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다음 턴 행동 종료 상태로 만드는 효과를 가졌으며, 이로써 효과를 받은 몬스터는 공격이나 표시 변경은 물론 제물로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다만 하급 몬스터인 [[잠자는 아이]]가 자기 몬스터까지 영향을 끼치긴 해도 유사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기에 제물을 요구하는 이 카드가 쓰이는 일은 많지 않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暗黒の眠りを誘うルシファ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암흑 수면으로의 초대, 일어판 명칭=暗黒(あんこく)(ねむ)りを(さそ)うルシファー, 영어판 명칭=Invitation to Dark Sleep, 레벨=5,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18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2=●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대상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성공시 몬스터 1장을 대상 지정하여 '''대상 몬스터에게 공격을 봉쇄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부여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능력치는 상급 몬스터로서는 영 좋지가 못하고, 특수 소환을 노리려 해도 정작 효과는 특수 소환에 대응하지 못하니 쓰려면 릴리스를 경감시키거나 정직하게 어드밴스 소환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효과는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봉인시켜준다고는 해도 따로 제거하는 것도 아니고,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시키는 것도 아니다 보니 써먹기가 힘들다. 일단 [[카이저 콜로세움]]과 같이 사용하여 공격 / 몬스터의 소환을 어느 정도 봉인할 수는 있지만, 하급 몬스터인데다 효과도 무효화시켜주는 [[EM(엔터메이트)#EM 체인지라프|EM 체인지라프]], [[홀딩 암즈]] 같은 카드들이 더 쓰기 쉽다는 건 부정할 수 없다. 특수 소환으로 꺼냈다 하더라도 [[달의 서]] 등으로 뒷면 표시로 바꾼 뒤에 다시 반전 소환하면 효과를 사용해볼 수는 있다. 공격을 봉쇄하는 효과는 잔존 효과가 아니라 유발 효과의 효과 처리로 얻는 지속 효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적용 후에 [[스킬 드레인]] 등으로 효과가 무효화되면 이 공격 봉쇄도 도로 해제되어 버린다. 발매 당시의 몬스터 카드는 레벨 설정에 상술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능력치가 낮음에도 상급 몬스터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았고[* DM3이 아닌 원작 능력치를 따라간 [[한니발 네크로맨서]]나 [[기동요새의 기어 골렘]] 같은 사례도 존재는 한다.], 따라서 [[바포메트(유희왕)|바포메트]]와 마찬가지로 원작과는 달리 상급 몬스터가 되어버렸다. 원본의 이름을 직역하자면 '암흑의 잠으로 유인하는 [[루시퍼]]'지만, 국내판의 경우 영문판의 번역을 따라 마법 카드스러운 작명이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Thousand Eyes Bible -千眼の魔術書- || TB-32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海馬編-]] || KA-15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3 || DL3-028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海馬編- Volume.2]] || SK2-050 || [[노멀]] || 일본 || || || 遊戯王OCG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 KC01-JP025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파라오의 사도|Pharaoh's Servant]] || PSV-EN08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파라오의 사도]] || PSV-KR08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