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BlacklandFireDragon-JP-Manga-DM-color.png|width=300]] || 한글판 명칭 ||<-4>'''암흑의 드래곤왕'''[* 원작 만화의 초기 한국판에서는 그냥 '''암흑의 드래곤'''이라 번역했으나, 2022년도 애장판에서는 OCG 명칭을 반영했다.]|| || 일어판 명칭 ||<-4>'''[ruby(暗黒, ruby=あんこく)]の[ruby(竜王, ruby=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4>'''Blackland Fire Drago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4.] || 어둠 || 드래곤족 || 1500 || 800 || 원작 코믹스에서 [[무토우 유우기]]가 '''최초로''' 소환하는 장면이 나온 몬스터. 작중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죠노우치가 소환한 [[좀비(유희왕)|좀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시엔의 무사]].]를 파괴하자 죠노우치는 자신이 이길 수 없는 강력한 몬스터라고 좌절하기도 했다. 그 후 [[카이바 세토]]와의 1차전 듀얼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처음 소환하는 몬스터로 등장. 카이바가 첫 턴에 소환한 [[가고일(유희왕)|가고일]]을 파괴했으나, 다음 턴에 자신도 카이바의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의 공격에 격파당했다. 공격명은 '화염의 브레스(炎のブレス)'. 이후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에서 [[만죠메 쥰]]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도 등장. 원작 코믹스의 후속작이지만 여기서는 OCG와 마찬가지로 하급 몬스터로 나왔다.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을 전투로 파괴했으나, 다음 턴에 [[날개 크리보#날개 크리보 LV10|날개 크리보 LV10]]의 효과로 파괴되면서 만죠메가 패배하게 되었다. 일어판 명칭으로는 '암흑의 용왕'이라고 쓰고 '암흑의 드래곤'이라고 읽는데, 국내 발매판에서는 이 둘을 적절히 섞어 번역했다. 초기 번역명은 암흑의 드래곤으로 루비를 번역했다. [[멸망의 폭렬질풍탄 |루비를 무시하고 한자를 직역]]하던 초기판치고는 특이 케이스. === 반다이판 === [[파일:BlacklandFireDragon-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암흑의 드래곤왕'''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暗黒, ruby=あんこく)]の[ruby(竜王, ruby=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3>'''Blackland Fire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용족 || 2100 || 1600 || ||<-4>입에서 뿜는 화염이 최대의 무기!|| ||<-4>'''~룰 ⑥~'''[br]적을 쓰러뜨려도, 수비력이 적의 공격력보다 낮으면 자신도 쓰러진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BlacklandFireDragon-DM2-JP-VG.png|width=100%]] || [[파일:BlacklandFireDra-DM4-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 || 한글판 명칭 ||<-4>'''암흑의 드래곤왕'''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暗黒, ruby=あんこく)]の[ruby(竜王, ruby=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4>'''Blackland Fire Drago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흑마족 || 드래곤족 || 1500 || 800 || ||<-5>깊은 어둠 속에서 서식하는 드래곤. 시력은 별로 좋지 않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042084_1.jp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yu-Kishin_and_Blackland_Fire_Dragon_alive.png|width=500]]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권의 48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암흑의 드래곤왕, 일어판 명칭=暗黒(あんこく)竜王(ドラゴン), 영어판 명칭=Blackland Fire Dragon, 레벨=4,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500, 수비력=800, 효과외1=깊은 어둠 속에서 서식하는 드래곤. 시력은 별로 좋지 않다.)] [[데블 드래곤]]보다 수비력이 처지는 하위호환. 하지만 [[스켈곤]]의 융합 소재로 지정되어 있으니 융합 소재 서포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차별점이 있다. 가장 유효하게 활용할 만한 덱이라면 [[천상의 용기사 가이아]]를 주축으로 한 덱 정도가 있겠다.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고 샐비지하거나 묘지 융합으로 연계할 수 있으며, 랭크 4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으니 [[다이가스타 에메랄]]로 [[용기사 가이아]], [[암흑 기사 가이아]] 등을 소생시킬 수 있다. 이 덱은 같은 레벨을 전개하기가 생각보다 어렵다 보니 엑스트라 덱 압박은 크게 신경쓸 정도는 아니고, [[예상외]]로 리크루트해오기 쉽다는 점도 있다.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융합 소재도 되어 주니 야수족과 같이 이용해보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정작 융합 형태인 [[스켈곤]]은 유용성이 떨어지지만, 이 카드가 패에 잡혀도 레벨이나 속성에 따라 어느 정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니 묘지로 보내기 위해서만이라도 투입해봐도 좋을 듯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6]] ||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METAL RAIDERS-]] || ME-02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4 || DL4-002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BE2-JP036 || [[노멀]] || 일본 || 절판 || || エントリーパック || EN01-JP005 || [[노멀]] || 일본 || 절판 ||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 MRD-EN06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 DB2-EN036 || [[노멀]] || 미국 || || || Astral Pack Five || AP05-EN014 || [[노멀 레어]] || 미국 || || || [[강철의 습격자]] || MRD-K06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 BP2-KR036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스켈곤]] === 암흑의 드래곤왕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켈곤, version=15)]